$\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 장애인의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ADL and QoL for the Osteoporosis and Non-osteoporosis in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2 no.1, 2021년, pp.1 - 9  

김예순 (국립재활원 건강보건연구과) ,  남영희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compares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ADL),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QoL) among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3,113 persons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년마다 이루어지는 장애인실태조사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 노인의 골다공증 유병률을 알아보고, 일상수행능력과 삶의 질 중심의 건강 관련 특성이 어떠한지를 살폈다. 장애 노인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전체 노인에 비해 높았고,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장애 노인 대상의 골다공증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연구는 골다공증 유무별 장애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장애 노인의 골다공증 관리 및 예방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 노인의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건강 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이차 자료인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를 이용한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골다공증 유무별 장애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장애 노인의 골다공증 관리 및 예방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국내 골다공증 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골다공증 장애인 노인의 효과적인 골다공증 관리를 위해서 선행적으로 골다공증 장애 노인의 규모와 골다공증 유무별 건강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장애 노인의 건강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골다공증 장애인 노인의 효과적인 골다공증 관리를 위해서 선행적으로 골다공증 장애 노인의 규모와 골다공증 유무별 건강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장애 노인의 건강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orba-Pinheiro, C. J., de Alencar Carvalho, M. C. G., Lima da Silva, N. S., Janotta Drigo, A., Pereira Bezerra, J. C., & Dantas, E. H. M. (2010). Bone densit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of postmenopausal women taking alendronate participating in different physical activity programs. Therapeutic advances in musculoskeletal disease, 2(4), 175-185. 

  2. Center, J. R., McElduff, A., & Beange, H. (1994). Osteoporosis in group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ustralia and New Zealand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4), 251-258. 

  3. Choi, P. B. (2011). Long-term combined exercise has effect on regional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f the elderly with osteoporosis. J Korean Gerontol Soc, 31, 355-369. 

  4. Chung, H. Y. (2008). Osteoporosis Diagnosis and Treatment 2007. 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 23(2), 76-108. 

  5. Drake, M. T., Clarke, B. L., & Lewiecki, E. M. (2015).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Clinical Therapeutics, 37(8), 1837-1850. 

  6. Ha, Y. C. (2016). Epidemiology of osteoporosi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9(11), 836-841. 

  7. Hong, H., Kim, J., Shin, J., & Kim, J. H. (2019).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Activ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Mental Health-Using the National Surve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2017.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4(3), 27-37. 

  8. Hong, S., & Choi, W. H. (2011). Osteoporosis and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have associated with the reduced quality of life. Osteoporosis, 9(2), 175-179. 

  9.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 

  10. Kim, D. H., Cho, J. K., & Kang, H. (2018).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handgrip strength, and osteoporotic status in elderly women. Exercise Science, 27(2), 134-139. 

  11. Kim, J. Y., & Yang, Y. (2020).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en Osteoporosis Patients over 50 Yea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2(2), 145-155. 

  12. Kim, S. H., Lee, Y. H., Oh, U. K., Hwang, J. H., Oh, M. A., Lee, M. K., Oh, H. K. (2017). National Surve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20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9). Prevalence of osteoporosis [Prevalence of Self-Recognition On Chronic Disease and Doctor's Diagnosis Rate by General Feature of older persons(Over 65 Years Old)]. 

  14. Kulik, C. T., Ryan, S., Harper, S., & George, G. (2014). Aging populations and management. 

  15. Nam, Y. H. (2020).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f Elderly in Rural Areas on Life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urrent Research and Review, 12(16), 154-162. 

  16. Lin, L. P., Hsu, S. W., Yao, C. H., Lai, W. J., Hsu, P. J., Wu, J. L., ... & Lin, J. D. (2015). Risk for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institution-dwelling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6, 108-113. 

  17. Park, A. H., & Park, H. R. (2019). Relationships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in Elderly Women with Osteoporosis Aged over 60.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2(2), 95-103. 

  18. Park, E. J., Joo, I. W., Jang, M. J., Kim, Y. T., Oh, K., & Oh, H. J. (2014).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the Korean population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Yonsei medical journal, 55(4), 1049-1057. 

  19. Park, K. S., Yoo, J. I., Kim, H. Y., Jang, S., Park, Y., & Ha, Y. C. (2017).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improves osteoporosis knowledge and changes calcium and vitamin D dietary intake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BMC Public Health, 17(1), 966. https://doi.org/10.1186/s12889-017-4966-4 

  20. Park, M., Kim, S., Cho, E., Park, S., & Kang, H.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elf-regulated Exercise Maintenance Program for Osteoporotic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2), 419-437. 

  21. Schrager, S. (2004). Osteoporosis in wom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women's health, 13(4), 431-437. 

  22. Smeltzer, S. C. (2006). Preventive health screening for breast and cervical cancer and osteoporosis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Family & community health, 29(1), 35S-43S. 

  23. Smeltzer, S. C., Zimmerman, V., & Capriotti, T. (2005). Osteoporosis risk and low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3), 582-586. 

  24. Smith, E. M. (2011). Treatments for osteoporosis in people with a disability. PM&R, 3(2), 143-152. 

  25. Statistics Korea. (2017). Future population special estimate. Seoul: Statistics. Retrieved November 1, 2020, from 

  26.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1-5, 2008. 

  27. Yang, H. T., & Shin, W. W. (2011).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Korean J Gerontol Soc Welf, 52(52), 255-278. 

  28. Yoshimura, N., Muraki, S., Nakamura, K., & Tanaka, S. (2017). Epidemiology of the locomotive syndrome: The research on osteoarthritis/osteoporosis against disability study 2005-2015. Modern rheumatology, 27(1), 1-7. 

  29. Yoshimura, N., Muraki, S., Oka, H., Mabuchi, A., En-Yo, Y., Yoshida, M., ... & Ishibashi, H. (2009).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lumbar spondylosis, and osteoporosis in Japanese men and women: the research on osteoarthritis/osteoporosis against disability study. Journal of bone and mineral metabolism, 27(5), 620-628. 

  30. Wagemans, A. M. A., Fiolet, J. F. B. M., Van Der Linden, E. S., & Menheere, P. P. C. A. (1998). steoporosis and intellectual disability: is there any relatio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2(5), 370-374. 

  31. Wilkins, C. H., & Birge, S. J. (2005).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in the elderly.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8(11), 1190-1195. 

  32. Zylstra, R. G., Porter, L. L., Shapiro, J. L., & Prater, C. D. (2008).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9(2), 109-1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