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스메슈티컬 적용을 위한 흑호두 과피의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y of the Extract of Junglans nigra Shells for the Cosmeceutical Appli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8 no.1, 2021년, pp.29 - 36  

이현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향장품학협동과정) ,  옥승호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미생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물 중 시판되지 않고 대부분 버려지는 흑호두(Juglans nigra) 과피를 추출하여 화장품 적용 가능성과 생리 활성 및 효능을 조사하였다. 흑호두 과피 열수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00㎍/mL에서 76.06%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0 ㎍/mL에서 61%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흑호두 과피 추출물을 피부 각질 세포인 HaCaT 세포에 적용했을 때 250 ㎍/mL에서 92.6%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히 낮았고 500 ㎍/mL 농도에서 67.35%의 nitric oxide(NO)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100 ㎍/mL 농도에서 비타민 C보다 31배 더 높은 Hyaluronidase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흑호두 과피 추출물은 코스메슈티컬 응용 및 식품, 향료, 헬스 케어, 제약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고부가 가치 천연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natural products, the shells of black walnut(Juglans nigra), which are not used commercially and mostly discarded,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and the efficacy for the cosmetic applica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of black walnut shell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흑호두(Juglans nigra) 과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실험을 통해 코스메슈티컬 소재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흑 호두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결과 300 µg/mL 농도에서 76.
  • 흑호두 과피 추출물이 안전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HaCaT cell에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 미토콘드리아의 산 S.
  • 흑호두는 항산화와 항균성을 나타내는 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풍부한 항산화제의 원천이자 건강상 이점이 있는 것으로 입증됨에 따라[8] 상업적인 면에서 잠재적 가능성을 가진 천연자원이지만 과피는 부산물로 가공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농산폐기물로 버려진다. 흑호두 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9], 흑호두 외피 추출물의 항균 활성[10] 에탄올 개질제와 함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추출한 흑 호두껍질의 항산화 잠재력[1] 등이 보고되었으나 향장 소재로의 활성 평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흑호두 과피의 열수 추출을 이용한 항산화와 항염증 효능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향후 코스메슈티컬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활용성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 Ticar, Z. Rohmah, M. Bat-Erdene, S. H. Park and B. D. Choi, "Evaluation of Antioxide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scidian Tunic Carotenoids As a Source of Color Cosmetics", The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ol.28, No.1 pp. 36-41, (2013). 

  2. M. G. Hertog, E. J. Feskens, P. C. Hollman, M. B. Katan, D. Kromhout, "Dietary antit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The Lanset, Vol.342, No.8878 pp. 1007-1011, (1993). 

  3. Y. H. Kim, "Clinical Application of Antioxidants", Surgical Metabolism and Nutrition, Vol.2, No.1 pp. 11-15, (2011). 

  4. Peterson, George A. Petrides, A Field Guide to Trees and Shrubs: Northeastern and North-Central United States and Southeastern and South-Central Canada (2nd.). Boston: Houghton Mifflin Harcourt, (1972). 

  5. S. E. Owumi, O. A. Odunola, M. A. Gbadegesin, K. L. Nulah, "Protective effect of Juglans nigra on sodium arsenite-induced toxicity in rats", Pharmacognosy Res., Vol.5, No.3 pp. 183-188, (2013). 

  6. G. H. Shahidi Bonjar, S. Aghighi, A. K. Nik,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survey in plants used in indigenous herbal-medicine of south east regions of Ir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Vol.4, No.3 pp. 405-412, (2004). 

  7. A. Peralbo-Molina, F. Priego-Capote, M. D. Luque de Castro, "Characterization of grape seed residues from the ethanol distillation industry" Analycal Methods, Vol.5, No.8 pp. 1922-1929, (2013). 

  8. J. Wenzel, C. S. Samaniego, L. Wang, L. Burrows, E. Tucker, N. Dwarshuis, M. Ammerman, A. Zand, "Antioxidant potential of Juglans nigra, black walnut, husks extracted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ith an ethanol modifier", Food Science&Nutrition, Vol.5, No.2 pp. 223-232, (2017). 

  9. K. V. Ho, K. L. Schreiber, D. C. Vu, S. M. Rottinghaus, D. E. Jackson, C. R. Brown, Z. Lei, L. W. Sumner, M. V. Coggeshall, and C. H. Lin, "Black Walnut (Juglans nigra) Extracts Inhibit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From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Human Promonocytic Cell Line U-937", frontiers in Pharmacology, Vol.10, pp. 1059, (2019). 

  10. K. V. Ho, Z. Lei, L. W. Sumner, M. V. Coggeshall, H. Y. Hsieh, G. C. Stewart, C. H. Lin, "Identifying antibacterial compounds in black walnuts (Juglans nigra) using a metabolomics approach", Metabolites Vol.8, No.4 pp. 58-76 (2018). 

  11. J. D. Hwang, J. S. Choi, J. B. Kim, Y. S. Lee.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Extracts from Kalopanax pictu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Vol.7, No.4 pp. 329-337, (2011). 

  12. Y. A. Jang, S. H. Park, B. A. Kim, J. Y. Park, Y. O. Jeoung, J. T. Le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Lotus Rhizome and node of Lotus Rhizome",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4, No.3 pp. 657-665, (2017). 

  13. K. I. Han, M. R. Kim, B. K. Jo, M. J. Kim, M. J. Kang, K. H. Park, Y. E. Koo, B. S. Kim, E. G. Jung, M. D. Han,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Walnut (Juglans regia L.) Green Husk", Journal of Life Science, Vol.25, No.4 pp. 433-440, (2015). 

  14. R. L. Prior, X. Wu, K. Schaich,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53, No.10 pp. 4290-4592, (2005). 

  15. J. K. Kundu, Y. J. Surh, "Emerging avenues linking inflammation and cancer",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Vol.52, No.9 pp. 2013-2050, (2012). 

  16. D. H. Kim, S. J. Park, J. Y. Jung, S. C. Kim, S. H. Byun,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Hwangnyenhaedok-tang in LPS-activated macrophage cell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ol.24, No.4 pp 39-47, (2009). 

  17. AS. Noman, N. Koide, F. Hassan, I. I-E-Khuda, J. Dagvadorj, G. Tumurkhuu, S. Islam, Y. Naiki, T. Yoshida, T. Yokochi, "Thalidomide inhibits lipopolysaccharide -induced tumor necrosis factor-α production via down-regulation of MyD88 expression", Innate Immunity, Vol.15, No.1 pp. 33-41, (2009). 

  18. M. B. Grisham, D. Jourd'heul, D. A. Wink, "Nitric oxide. I. Physiological chemistry of nitric oxide and its metabolites:implications in inflamma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Vol.276, No.2 pp. 315-336,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