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체육과 스포츠복지 정책 전달체계 : 정책 효과성 증대를 위한 거버넌스의 가능성 탐색
System for sports welfare policies: Explore the potential for policy effectiveness of governan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8 no.1, 2021년, pp.147 - 156  

김한범 (부산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  이장원 (중원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활체육 정책은 스포츠복지 정책의 개념적 범주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스포츠복지의 개념을 넘어서 일반적인 복지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될 수 있어야 스포츠복지 정책이 가지는 효과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상자인 국민에게 스포츠복지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하기 위해서는 스포츠복지 정책이 다른 복지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국가적 차원의 전달체계 안에 편입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복지 정책이 국가적 차원의 전달체계에 편입되는 방안 중 하나로 스포츠복지 거버넌스의 구성과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스포츠복지 조직을 신설하는 복지전담 독립형 정책 모델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for life-sports to develop sports policies need to be addressed in the conceptual categories of sports welfare policies. Beyond the concept of sports welfare, it must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part of general welfare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ports welfare policies. And ...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체육 정책을 스포츠 복지에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 복지가 한국 사회에서 제공되고 있는 ‘복지’ 서비스의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방안을 문헌 고찰을 토대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방안은 스포츠복지 정책 전달체계에 대한 학술적 논의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스포츠복지 정책 전달체계와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폭제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생활체육 및 스포츠 복지정책의 발전을 위해 고민하고 연구해왔던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따라서, 보는 사람에 따라서 연구를 통해 주장하고 있는 내용은 다소 급진적인 차원의 아이디어로 비춰질 수 있다.
  • 인식하고 있는 것인가? 연구에는 한국의 생활체육 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 인원인 중 하나로 생활체육 정책 전달체계의 미흡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7, 8, 9].
  • 그리고 대상자인 국민에게 스포츠복지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하기 위해서는 스포츠복지 정책이 다른 복지서비스와 마찬가지로 국가적 차원의 전달체계 안에 편입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복지 정책이 국가적 차원의 전달체계에 편입되는 방안 중 하나로 스포츠복지 거버넌스의 구성과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스포츠복지 조직을 신설하는 복지전담 독립형 정책 모델을 제안하였다.
  •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대체로 스포츠복지의 개념을 첫째, 모든 국민이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보장[31], 둘째, 취약계층에게 특별히 제공되는 스포츠활동 혜택의 기회[32], 셋째, 광의의 개념으로서 전문체육인의 기본적인 생존권의 보장 등의 3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스포츠의 복지 선행연구의 개념적 범위 중 모든 국민이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보장 그리고, 취약계층에게 특별히 제공되는 스포츠활동 혜택의 기회 제공이라는 범위를 중심으로 스포츠 복지 정책 전달체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 그리고 당장은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도 생각된다. 하지만, 단시간 내에 스포츠복지 정책 전달체계의 패러다임이 변하지 않더라도, 스포츠복지로서 생활체육 정책 전달체계가 가져야 할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해본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연구자는 몇 가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고자 한다.
  • 향후, 스포츠 정책 전달체계에 대한 활발한 학술적 논의가 진행되기를 바라면서 본 고를 정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K. H. Lee, "A study on policy factor for invigoration of older adult's ports for all", Journal of Wellness, Vol.14, No.1 pp. 91-101, (2019). 

  2. K. B. Koo, Y. B. Jeon, "Assessment of mid- to long-term sports policies by regional governments using IPA",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Vol. 53, pp. 133-147, (2020). 

  3. H. S. Song, "A Study on the semantics of sports which were the practical base of the support policies for 'sports for all'",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Vol. 28, NO.2 pp.17-30, (2020). 

  4. K. H. Jung, R. B. Kim, "The critical review of sports policy for elderly in the plan for ageing societ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80, pp.123-134, (2020). 

  5. S. J. Son, "Study on the processing sport for all policies and future direction",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Vol.19, No.4 pp.69-89, (2016). 

  6.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The Basic Plan for Promoting National Sports. (2018). 

  7. H. C. Kim, "A reformative plan of policy communication system for expanding sports circle", The Korean Journal of Sport, Vol.10, No.2 pp.149-160, (2012). 

  8. E. K. Ji,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Journal of Korea Social Science, Vol.31, No.2 pp.55-86, (2012). 

  9. R. Parrish, Sports Law and Policy in the European Un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3). 

  10.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ports Welfare Concept and Policy Direction, (2015). 

  11. H. D. Chli, "Analysis of the Sports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Sports Vouchers".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Vol. 14, No.5 pp.131-146, (2020). 

  12. M. K. Kim, J. R. Song, "An exploring on policy factor for revitalization of sports welfare". Korean Journal of Sport Studies, Vol.57, No.3 pp.263-279. (2018). 

  13. Y. K. Noh, K. A. Yeo, Y. T. Kwon,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sports welfare and the proposal of models",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Vol.26, No.6 pp.35-48, (2017). 

  14. H. T. Kim, T. D. Kim,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s of sports welfare in gangwon province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Vol.13, No.8 pp.411-424, (2019). 

  15. J. H. Joo, The Process of Policy: Theory and practice. Seoul, Daeyoung, (2016). 

  16. K. W. Kim, Policy of Social Welfare, Seoul, Hakjisa. (2017). 

  17. K. S. Sim, "Formation of sportwelfare concept: In centred change of social functions of sport".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Vol.21, pp.55-74, (2012). 

  18. K. I. Kim, M. L. Kim, J. H. Lee, "Sports Welfare : Developing the conception and the model for the underprivileged",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40, No.1 pp.197-205, (2010). 

  19. K. S. Sim, "A plan for professionalism strengthening of youth worker's using the youth welfare paradigm of Korea and sport welfare concept", Korean Society of Exercise Rehabilitation, Vol.8, Nop.3 pp.93-106, (2012). 

  20. C. U. Lim, D. H. Kim, "The legal definition of the sports welfare and systemized consistency of sports law",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8, No.3 pp.93-106, (2012). 

  21. J. S. Oh, "Social implication of active aging as sport welfar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56, No.5 pp.57-72, (2017). 

  22. M. K. Kim, S. J. Park, B. K. Park, "An analysis of priority assessment on policy factor for revitalization of sports welfare cultur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Vol.24, No.4 pp.633-657, (2018). 

  23. H. W. Jung, D. H. Kim,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an integrated perspectives on sports welfare",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Vol.55 pp.73-89, (2020). 

  24. H. J. Jung, H. S. Kim, "Study on the welfare state regims and sports policies",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Vol.21, No.2 pp.3-31, (2018). 

  25. M. M. Kim, S. W. Yang, "Integrated rehabilitation sports welfare model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Korean Journal of Sport, Vol.18, No.1 pp.151-156, (2018). 

  26. H. D. Choi, "Analysis of the sports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sports voucher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14, Vol.5 pp.131-146, (2020). 

  27. J. H. Lee, "The meaning of"sport for all"in terms of social welf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Vol.15, No.3 pp.45-58, (2007). 

  28. S. K. Kim,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assignments on sport welfare".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Vol.10, No.1 pp.125-147, (2007). 

  29. S. K. Kim, "Right to sports and the Korean sports law system", Public Land Law Review, Vol.54, pp.439-460, (2011). 

  30. E. S. Lee, K. S. Sim, "Meta analysis for building up the concept of sport welfare in Korea".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Vol.7, No.1 pp.29-39, (2011). 

  31. S. Y. Kim, Sport Social Welfare. (2006) 

  32. S. W. Kim, S. J. Kim, S. H. Kang, "Welfare policy preference in South Korea: growth versus redistribution and targeting versus universalism".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Vol.30, No.2 pp.67-90. (2014). 

  33. G. H. Pak, D. H. Cho, "Universal versus selective welfare: A role of altruistic perceptions on change in welfar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 26. No.1 pp.29-52. (2014) 

  34. J. H. Park. Policy of Social Welfare. Seoul, U-ga, (2021). 

  35. U. M. Kang, "Universal welfare state in the Korean welfare policy debate: Can Korean welfare policy be universality?", Hyonsang-gwa-Insik, Vol.42, No.3 pp.41-72, (2018) 

  36. S. Y. Kwon. "Conceptualizing sport-for-all for enhancing social quality".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23, No.4, pp.13-28, (2010). 

  37. K. C. Yoo, M. H. Seo, W. S. Lim, A Study on the Harmonic Development of Universal and Selective Welfar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38. C. H. Kang, Welfare Supply Theory, Seoul, Jibmundang, (2019). 

  39. J. J. Huh, S. H. Ahn, S. Y. Kim, S. W. Kim, Y. M. Kim, S. H. Baek, S. Y. Lee, W. Y. Jo, H. S. Jeo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Welfare Integrated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Korea Labor Institute(KLI), (2012). 

  40. C. H. Huh. "Innovation of Korean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Decentralization Governance Welfare State". Social Science Research, Vol.34, no.1 pp.1-33. (2018). 

  41. S. K. Ha. "A trend-study on the determinants of non-compliance in policy target group".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Vol.14, No.2 pp.157-178, (2010). 

  42. H. W. Lee, "A study on the typification of policy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Focused on the spontaneity of the policy target group to policy directive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27, No.4 pp.241-267, (2017). 

  43. B. Y. Kim, "A theocratical exploration of governance, as a paradigm for social welfare delivery". Social Welfare Policy, Vol.40, No.3 pp.107-132, (2013). 

  44. J. Y. Moon, K. H. Kim,. "Conceptual Approach to the Client-centered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for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Budget and Policy, Vol.3, No.1 pp.163-207. (2014). 

  45. O'Toole. "Research on policy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prospect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10, No.2 pp.263-288, (2000). 

  46. Bokjiro(2021). Homepage Information [internet]. Seoul(South Korea: Bokjiro[cited 2021 Feb 8], Available From: http://www.bokjiro.go.kr/nwel/bokjiroMain.do 

  4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ocial Welfare Office Pilot Project, (2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