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령수술 공개에 따른 명예훼손에 관한 판례 고찰 및 시사점 : 서울고등법원 2020. 9. 11. 선고 2019노2201 판결 중심으로
A Study on Precedents about Defamation by Ghost Surgery Disclosure and Its Impli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634 - 644  

전병주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한혜숙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한국에서 유령수술에 대한 징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는 증대되고 있지만, 정부의 관리는 다른 의료법 위반행위와 비교해 소극적이고, 그에 대한 처벌도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때로는 유령수술의 피해자가 인터넷 게시판에 자신의 피해 상황을 알리고 억울함을 호소하지만, 의료기관은 책임을 회피하며 명예훼손 가능성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어 피해자는 또 다른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형외과 의사가 인터넷 게시판에 유령수술을 시행하는 병원명과 사망자 수, 합의 내용 등을 작성하여 정보통신망법 위반(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다. 항소심에서는 피고인이 적시한 사실이 다수 시민의 생명과 건강이라는 공공의 이익에 관련된 것이어서 비방할 목적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하였고, 피고인은 무죄가 확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령수술의 피해와 관련한 내용을 인터넷 게시판에 작성하여 기소된 사건을 처음으로 살펴봄으로써 유령수술 공개에 따른 명예훼손에 대한 법·제도적 쟁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령수술이 지속되는 사회적 실태에 대해 법원이 얼마나 공익적 차원에서 엄중하게 접근하는지 파악하고, 유령수술 공개에 따른 사실의 적시와 공공의 이익에 규명함으로써 명예훼손 처벌의 판단기준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유령수술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여 국민의 건강권을 담보하는 한편 수술실 CCTV 설치에 대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논의 및 합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increased social demand for strengthening the punishment for ghost surgery in Korea, the governmental management is very passive compared to other offenses of medical law, and the punishment for ghost surgery is insufficient, so that medical malpractices are continuously occurring. A 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를 통하여 유령수술이 지속되는 사회적 실태에 대해 법원이 얼마나 공익적 차원에서 엄중하게 접근하는지 파악하고, 유령수술 공개에 따른 사실의 적시와 공공의 이익에 규명함으로써 명예훼손 처벌의 판단기준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유령수술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여 국민의 건강권을 담보하는 한편 병원 수술실 CCTV 설치에 대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논의 및 합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유령수술의 피해와 관련한 내용을 인터넷 언론기사의 댓글 게시판에 작성하여 「정보통신망법」위반(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사건을 처음으로 살펴봄으로써 공익적 차원에서 유령수술 공개에 따른 명예훼손에 대한 법·제도적 쟁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유령수술의 피해와 관련한 내용을 인터넷 언론기사의 댓글 게시판에 작성하여 「정보통신망법」위반(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사건을 처음으로 살펴봄으로써 공익적 차원에서 유령수술 공개에 따른 명예훼손에 대한 법·제도적 쟁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령수술이 지속되는 사회적 실태에 대해 법원이 얼마나 공익적 차원에서 엄중하게 접근하는지 파악하고, 유령수술 공개에 따른 사실의 적시와 공공의 이익에 규명함으로써 명예훼손 처벌의 판단기준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유령수술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여 국민의 건강권을 담보하는 한편 병원 수술실 CCTV 설치에 대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논의 및 합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보건복지부, '2016-2020' 무면허 의료행위 관련 행정처분 현황, 2020. 

  2. 성수연, "유령수술에 대한 미국 판례 동향,"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8권, 제3호, pp.296-313, 2015. 

  3. 황만성, "유령수술 행위의 형사책임," 의료법학, 제16권, 제2호, pp.27-53, 2015. 

  4. https://www.fnnews.com/news/202005171108537666/ 2020. 10. 2. 

  5.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401717/ 2020. 10. 11. 

  6. 표지희, 한영주, 옥민수, "의료사고 피해 유가족의 의료소송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상담학연구, 제19권, 제5호, pp.5-29, 2018. 

  7. 김은진, "근거이론을 이용한 병원 의료분쟁 위기관리 PR분석," 커뮤니케이션이론, 제8권, 제3호, pp.53-107, 2012. 

  8. 박경신, "명예의 보호와 형사처벌 제도의 폐지론과 유지론," 서강법학, 제11권, 제1호, pp.357-380, 2009. 

  9. 권순민, "명예훼손죄의 비범죄화에 대한 논의와 그 대안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제40권, 제2호, pp.135-159, 2016. 

  10. 김성진, "Cyber 명예훼손죄와 위법성조각사유로서의 공익성," 중앙법학, 제7권, 제2호, pp.151-170, 2018. 

  11. 김신규, "사이버 명예훼손.모욕행위에 대한 형사규제의 개선방안," 비교형사법연구, 제19권, 제4호, pp.583-632, 2018. 

  12. 이원상, "허위사실 유포 관련 범죄에 대한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24권, 제3호, pp. 57-84, 2013. 

  13. 이희경, "명예훼손죄에 관한 연구: 명예보호의 한계," 법학논집, 제13권, 제2호, pp.255-270, 2019. 

  14. 大谷實, 刑法講義各論, 成文堂, 2013. 

  15. 山口厚, 刑法各論, 有斐閣, 2010. 

  16. 전병주, 곽현주, 최은영, "직장 내 업무상 위력에 의한 추행에 관한 판례 고찰 및 시사점," 치안정책연구, 제33권, 제3호, pp.253-291, 2019. 

  17. 배상균,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에 있어서 진실성의 착오에 관한 검토," 외법논집, 제40권, 제2호, pp.91-107, 2016. 

  18. 임복희, "의료분쟁 판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294-303, 2010. 

  19. 전병주, "의료인 성범죄 사건에 관한 판례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610-618, 2017. 

  20. 이경은, "아동학대 가해부모의 법적 조치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3호, pp.183-202, 2015. 

  21. 전병주, "신종 감염병 전염과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제11권, 제3호, pp.1979-1990,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