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성 인삼상인의 근대기업화와 ESG 경영이념
Modern Enterprise & ESG Management philosophy of Gaeseong Ginseng Merchant 원문보기

인삼문화 = Journal of ginseng culture, v.3, 2021년, pp.90 - 118  

옥순종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성은 18세기 들어 성행한 인삼 재배와 교역으로 막대한 자본이 축적되면서 근대적 자본주의가 발달할 조건을 갖추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인삼 상인들은 인삼에서 나온 자본을 단순히 지주자본에 묶어두지 않고 산업자본, 금융자본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근대 기업가로 활동한다. 20세기 초반 설립된 개성전기주식회사, 대한천일은행, 개성양조주식회사, 송고실업장 등은 인삼상인들이 주축이 되어 공동 투자하고 공동경영을 맡았다. 이들은 기업이윤만을 추구하지 않고 사회 지도층으로서 개성상업학교 건립, 고려시보 창간, 개성좌 운영 등 개성의 교육, 문화발전을 위해 후원자로 나서 지역발전을 견인한다. 자유주의 경제학에서는 주주이익 우선이 기업의 목적이었지만 21세기 들어와서는 이해관계자(stakeholder)에 대한 사회책임을 강조한다. 또 재무적 성과를 중시하는 던 경향에서 비재무적 요소가 더 중시되는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이 중요해지고 있다. ESG 경영은 환경을 생각하고 사회가치를 창출 공유하며 기업의 투명성을 중시한다. 과거에는 돈을 잘 버는 기업이 좋은 기업이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사회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좋은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20세기 초반 인삼상인들의 기업활동에서는 현대 경영의 필수요소인 기업가 정신과 ESG 경영이 실현되고 있었다. 이들이 시대를 앞서 현대적 경영이념을 실천할 수 있었던 것은 개성의 지역성에서 비롯된다. 개성인들은 조선왕조의 정치적 차별로 관직 진출의 길이 막혀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엄격한 신분제하에서 양반, 지식인이 상업의 길로 들어설 수밖에 없었다. 우수한 인력이 대거 상업으로 진출하면서 개성의 상업은 더욱 활발했고 상인의 가치관도 선진적이었다. 대표적인 인삼상인 손봉상, 공성학은 상인이면서 유학자, 문인이었다. 인삼상인 2-3 세대들은 해외에서 고등교육을 받고 개성으로 돌아와 삼업을 잇고 인삼에서 나온 자본을 기반으로 근대적 기업을 설립했다. 20세기 초반 인삼상인들의 상업활동을 분석하면 ESG 경영이념이 배여 있는 선구적 기업가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인삼처럼 개성 인삼상인의 상업활동과 근대 기업화에서는 사람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eseong fostered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modern capitalism, as huge capital was accumulated through the cultivation and trade of ginseng, which were activities that flourished in the 18th centu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ginseng merchants were not simply limited to acquiring landowne...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41)

  1. 대동야승(大東野乘), 제71권, (민족문화추진회, 1971) 

  2. 미호집(渼湖集). 한국고전종합DB 

  3. 개성전기, 개성전기 연혁사, (1936) 

  4. 개성시민회, 송도 157,162,186호 

  5. 경제교육연구회, 역사와 쟁점으로 읽는 현대자본주의, (시그마프레스, 2009) 

  6. 공진항, 이상향을 찾아서, (탁암 공진항 희수기념문집발간위원회, 1970) 

  7. 조기준, 한국경제사 신강, (일신사.1994) 

  8. 김성수, CEO, 공자에게 길을 묻다. (매일경제신문사, 2013) 

  9. 박완서, 내고향 개성이야기 한국역사비평 봄호 (한국역사 비평, 2001) 

  10. 신동한, 대한민국에너지 산업 어디로 가는가, (생각비행, 2018) 

  11. 이승렬, 제국과 상인, (역사비평사,2007) 

  12. 장석윤 외 한국근세과학기술 100년사 조사연구-섬유분야, (한국연구재단, 1992) 

  13. 장영은, 나혜석, 글쓰는 여자의 탄생. (민음사, 2018) 

  14. 전우용, 한국회사의 탄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1) 

  15. 조기준, 한국기업가사, (박영사, 1973 ) 

  16. 조기준, 한국경제사 신강, (일신사.1994) 

  17.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책과 함께, 2019) 

  18. 최문진, 개성인삼개척소사, (조선산업연구회, 1940) 

  19. 권혁래, 고전문학에 그려진 개성상인 형상연구, 열상고전연구 64집(열상고전연구회, 2018) 

  20. 고동환, 조선 후기 개성의 도시구조와 상업, 지방사와 지방문화12(1)(역사문화학회, 2009) 

  21. 고동환, 자본주의 맹아론과 조선후기 상업변동, 한국사 연구(147) (한국사연구회, 2009) 

  22. 고동환, 조선시대 개성과 개성상인, 역사비평 제54호(한국역사연구회, 2001, 봄) 

  23. 김남석. 일제강점기 개성지역 문화의 거점, 영남학 26호 (경북대영남문화연구원,2014) 

  24. 김영수, 한국 자본주의 가치관의 역사적 전통, 동아연구 21권 2호(서강대 동아연구소,2002) 

  25. 김조형, 인삼왕 손봉상의 업적을 통해본 개성인삼개척사, 인삼문화2권(고려인삼학회,2020) 

  26. 김창원, 근대개성의 지리적 배치와 개성상인의 탄생, 국제어문 제64집(국제어문학회,2015) 

  27. 김택영, 소호당집, 한국고전문학전집 9(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28. 김혜숙, 해방 이후 충남강경의 개성상인과 면직물 직조업, 역사민속학 제 56호(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29. 김흥순, 인구지표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도시화 성격-일제 강점기와 그 전후시기의 비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3권 제2호(한국지역개발학회, 2011) 

  30. 노관범, 근대 초기 개성 문인의 지역 운동, 한국사상사학 49권20호(한국사상사학회, 2015) 

  31. 노혜경, 조선후기 개성상인의 경쟁과 상생, 경영사학 제27집 제2호 통권62호(한국경영사학회, 2012) 

  32. 박평식, 조선전기 개성상인의 상업활동, 조선시대 사학보 30호(조선시대사학회,2004) 

  33. 변광석, 조선시대 개성 출신인의 지역인식,역사와 세계 43 (효원사학회, 2013) 

  34. 오미일, 한국근현대사 연구동향: 근대한국의 자본가들, 한국현대사광장 4권0호(대한민국역사박물관,2014)) 

  35. 양정필, 1930년대 개성지역 신진 엘리트연구, 역사와 현실 제63호(한국역사연구회, 2007) 

  36. 양정필, 1910-20년대 개성상인의 백삼상품화와 판매확대 활동, 의사학20-1(대한의사학회,2011) 

  37. 양정필, 근대 개성상인의 상업적 전통과 자본축적,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8. 이선규, 기업가 정신이 조직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한국융합학회10권11호 (한국융합학회,2019) 

  39. 이은주, 일제 강점기 개성상인 공성학의 간행사업 연구, 어문학 제118집 (한국어문학회, 2012) 

  40. 정종현, 일본제국기 개성의 지역성과 (탈)식민의 문화기획. 동방학지 제151집(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2010) 

  41. 조기갑, 대한제국기 개성상인의 대한천일은행 참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