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보철치료를 요하는 환자에서의 수면질과 스트레스 반응 평가
Evaluation of sleep quality and stress response in patients requiring dental prosthetic treatmen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9 no.2, 2021년, pp.181 - 189  

전혜미 (부산대학교병원 치과진료센터) ,  정경화 (부산대학교병원 치과진료센터) ,  최나래 (부산대학교병원 치과진료센터) ,  송재민 (부산대학교병원 치과진료센터) ,  이소현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김소연 (부산대학교병원 치과진료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치아를 상실하여 치료를 받기 위해 내원하는 보철과 환자를 대상으로 처음 내원할 당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과 수면의 상태가 어떤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부터 2년간 부산대학교병원 보철과에 신환으로 접수한 236명의 성인 환자(남자 94명, 여자 142명, 24 - 86세)를 대상으로 검사 및 상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잔존치 수, 무치악 여부, 저작 가능 여부, 향후 보철치료 방향을 기록하였으며, 시각화 아날로그형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스트레스 반응 척도(Stress reponse inventory, SRI) 및 불면증 심각도 지수(Insomnia severity index, ISI)를 도구로 사용하여 환자의 주관적 구내불편감, 스트레스 반응, 수면 상태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보철과 신환에서 SRI 의 7개 항목 중 '피로'가 유의하게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고 '공격성'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1). 무치악자와 완전유치악자는 VAS로 측정한 구내 불편감 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4). 20개 미만의 치아가 잔존한 경우, 스스로 저작이 불가능한 경우, 가철성 보철물을 치료계획을 잡게 되는 환자의 경우는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하여 VAS 값, SRI 중 '우울'과 '피로' 값이 유의하게 높게 드러났다 (P < .05). VAS 수치가 심각에 해당하는 환자의 경우 심각에 해당하지 않는 환자에 비하여 SRI 항목 중 '긴장', '신체화', '우울', '피로', '좌절'의 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P < .05). 임상적 불면증은 전체 환자 중 11.4%에서 나타났고, 여자가 남자보다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 (P = .044). 불면증을 가진 사람은 정상수면자에 비해 VAS값과 7가지 모든 SRI 항목에 대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P < .05). 결론: 보철 신환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검사(SRI)를 시행하였을 때 7가지 스트레스 반응 항목 중 '피로' 항목이 높게 나타났으며, 잔존치 수와 저작 기능으로 나타나는 구강 상태, 불면증 유무는 주관적 구내불편감, 스트레스 반응 항목 및 정도에 영향을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 response and sleep state of the new patients who visit the hospital for prosthodontic treatment due to tooth loss to make reference to further treatment di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Examinations, consultations, and surveys wer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과 보철과에 치료를 받기 위하여 처음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과 스트레스 반응을 분석하였다. 전체 환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7가지 중, ‘피로’가 나머지 6가지와 비교하여 높은 수치를 기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12 정과 이13의 연구에서는 총의치 만족도 설문과 Hopkins Symptom Check list (HSC)를 이용하여 환자의 정신의학적, 심리학적 변수를 조사하였고 신체화(somatic), 강박증(obsessive-compulsive), 대인관계 민감증(interpersonal sensitivity), 우울증 (depression), 불안증(anxiety)의 5가지 증상 척도와 의치 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 항목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불안증의 설문군이 유의성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 등14에 의해 개발된 스트레스 반응 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 SRI)을 이용하여 스트레스 반응 중 평가, 대처 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 인지적 요소 들을 주요 항목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SRI는 비교적 쉬운 문항들로 구성된 스트레스 측정 척도로서 기존에 있던 외국 척도들의 번역본이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의 언어와 심리 적 특징을 고려하여 자체적으로 개발된 검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치과 보철과에 초진으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초진 상담 전 주관적 구내불편감, 스트레스 반응과 불 면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전체 환자의 스트레스 반응 설문(SRI) 결과, 전체 7가지 항목 중 ‘긴장’, ‘신체화’, ‘분 노’, ‘우울’, ‘좌절’의 다섯 항목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데 비해 ‘피로’는 다른 6가지 항목에 대해 유의하게 높은, ‘공 격성’은 다른 6가지에 대해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Zitzmann NU, Krastl G, Hecker H, Walter C, Waltimo T, Weiger R. Strategic considerations in treatment planning: deciding when to treat, extract, or replace a questionable tooth. J Prosthet Dent 2010;104:80-91. 

  2. Cushing AM, Sheiham A, Maizels J. Developing socio-dental indicators-the social impact of dental disease. Commun Dent Health 1986;3:3-17. 

  3. McGrath C, Bedi R. A national study of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o life quality to inform scales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Qual Life Res 2004;13:813-8. 

  4.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 Dent Health 1994;11: 3-11. 

  5. Williams JR. Gerontologic nurse practitioner care guidelines: sleep management in elderly patients. Geriatr Nurs 2004;25: 310-2. 

  6. Tau S, Lowental U. Some personality determinants of denture preference. J Prosthet Dent 1980;44:10-2. 

  7. Kalmbach DA, Anderson JR, Drake CL. The impact of stress on sleep: Pathogenic sleep reactivity as a vulnerability to insomnia and circadian disorders. J Sleep Res 2018;27:e12710. 

  8. Lord C, Sekerovic Z, Carrier J. Sleep regulation and sex hormones exposure in men and women across adulthood. Pathol Biol (Paris) 2014;62:302-10. 

  9. Ham BJ, Kim L, Suh K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hronic insomniac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37:234-42. 

  10. Simonelli G, Mantua J, Gad M, St Pierre M, Moore L, Yarnell AM, Quartana PJ, Braun A, Balkin TJ, Brager AJ, Capaldi VF. Sleep extension reduces pain sensitivity. Sleep Med 2019; 54:172-6. 

  11. Ancoli-Israel S. Insomnia in the elderly: a review for the primary care practitioner. Sleep 2000;23:S23-30; discussion S36-8. 

  12. Shin HC. Measuring stress with questionnaires. J Korean Med Assoc 2013;56:485-95. 

  13. Chung MK, Lee SW. Psychological aspect of patient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complete dentures.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9;37:494-505. 

  14. Koh KB, Park JK, Kim CH, Cho S.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Psychosom Med 2001;63:668-78. 

  15. Cho YW, Song ML, Morin CM.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 Clin Neurol 2014;10:210-5. 

  16. Gagnon C, Belanger L, Ivers H, Morin CM.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in primary care. J Am Board Fam Med 2013;26:701-10. 

  17. Bastien CH, Vallieres A, Morin CM.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 2001;2:297-307. 

  18. Kudsi Z, Fenlon MR, Johal A, Baysan A. Assessment of psychological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tooth loss: A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tools. J Prosthodont 2020;29:193-200. 

  19. Park JH, Kwon HK, Kim BI, Choi CH, Choi YH. A survey on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resident in free asylum.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2;26: 555-66. 

  20. Boretti G, Bickel M, Geering AH. A review of masticatory ability and efficiency. J Prosthet Dent 1995;74:400-3. 

  21. Gilbert GH, Foerster U, Duncan RP. Satisfaction with chewing ability in a diverse sample of dentate adults. J Oral Rehabil 1998;25:15-27. 

  22. Roohafza H, Afghari P, Keshteli AH, Vali A, Shirani M, Adibi P, Afshar H. The relationship between tooth loss and psychological factors. Commun Dent Health 2015;32:16-9. 

  23. Berrios GE. Feelings of fatigue and psychopathology: a conceptual history. Compr Psychiatry 1990;31:140-51. 

  24. Kim O, Kim AJ, Kim SW, Baik SH, Yang KM. Fatigue, Depression and Sleep in Young adult and Middle-Aged. J Korean Acad Nurs 2003;33:618-24. 

  25. DeBoer J. Edentulous implants: overdenture versus fixed. J Prosthet Dent 1993;69:386-90. 

  26. Okoro CA, Strine TW, Eke PI, Dhingra SS, Balluz LS.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and use of oral health services and tooth los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2;40:134-44. 

  27. Wilson KG, Eriksson MY, Joyce L, Mikail SF, Emery PC. Major depression and insomnia in chronic pain. Clin J Pain 2002;18:77-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