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업무상 재해가 근로손실일수 심각도에 미치는 특징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Feature Importance of Occupational Accident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on the Severity of Lost Workday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1 no.2, 2021년, pp.165 - 174  

강경수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Institute, Sahmyook University) ,  최재현 (School of Architectur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Koreatech)) ,  류한국 (Department of Architectural, Sahmyoo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업은 전체 산업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은 재해와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산업 분야이다. 건설안전 재해를 줄이기 위한 큰 노력이 진행되어왔지만, 사망사고를 제외한 근로자의 업무복귀시간까지 회복되는 근로손실일수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로손실일수를 심각도로 정의하여 이를 분류하는 모형을 제안하고 학습된 모형을 통해 특징 중요도를 도출하고 중요한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블랙박스 모형인 랜덤 포레스트의 학습 과정을 해석하고 추출된 특징 중요도를 통해 근로손실일수 심각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 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특징을 통해 내부에 존재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 사례 데이터를 랜덤 포레스트 모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근로손실일수의 심각도에 미치는 중요한 특징을 도출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면 건설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struction industry causes the most accidents and fatalities among all industries. Although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safety accidents in construction, the study on the lost workdays that return to work plac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odel that classifies 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설안전 재해를 줄이기 위한 큰 노력이 진행되어왔지만, 사망사고를 제외한 근로자의 업무 복귀시간까지 회복되는 근로손실일수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 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로손실일수를 심각도로 정의 하여 이를 분류하는 모형을 제안하고 학습된 모형을 통해 특 징 중요도를 도출하고 중요한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블 랙박스 모형인 랜덤 포레스트의 학습 과정을 해석하고 추출된 특징 중요도를 통해 근로손실일수 심각도에 영향력을 행사하 는 중요 변수를 추출하였다.
  • 이와 반대로 MDA 기법으로 추출한 중요도의 편차가 MDI보다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징 중요도를 추출하는 연구에서 기본적인 MDI보다 MDA 방법을 제안한다. MDA는 매번 새로운 모형을 학습할 때 변수를 하나씩 제거하면서 해당 변수가 학습에 영향이 없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중요도를 추출하기 때문에 좀 더 높은 신뢰성을 가진다.
  • 기존 의사결정 나무와 다르게 확률모형인 랜덤 포레스트는 블랙박스 모형이지만, 모형을 해석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랜덤 포레스트 모형 해석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MDI(mean-decrease impurity)와 확장된 개념인 MDA(mean-decrease accuracy) 두 가지를 통해 근로손실일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된 특징을 발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설 현장에서 업무상 재해로 인한 부상자를 대상으로 근로손실일수를 결정짓는 중요 특징을 발견하고자 한다.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근로손실일수에서 심각도를 정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데이터마이닝으로 접근하여 모형을 학습하고, 특징 중요도 추출 기법으로 결과를 분석한다.
  • 본 연구는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업무상 재해가 근로손실일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특징 중요도 기법으로 수치화하였고, 기존 연구들과 차이점을 발견했다.
  • 불균형 클래스를 가진 데이터를 모형에 학습용으로 사용하게 되면 한쪽 클래스로 편향될 수 있어 새로운 데이터를 예측하지 못하는 부정확한 모형이 만들어진다. 본 연구는 데이터가 가진 근로손실일수를 불균형 클래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네 개의 클래스를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이진 클래스(binary class)로 정의하였다. 이는 국내에서 중대 재해를 기준으로 하는 일수와 같아 근로손실일수 심각도(injury severity)는 180일 이하는 보통 (moderate), 181일 이상은 심각(severe)으로 구분하였다.
  • 추출된 특징을 통해 내부에 존재 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 사례 데이터를 랜덤 포레스트 모형을 통해 분석하 고자 하였다. 근로손실일수의 심각도에 미치는 중요한 특징을 도출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면 건설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 기계학습 모형들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정형데이터 학습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랜덤 포레스트 모형을 선택해서 데이터의 잠재된 특징을 발견해보고자 하였다. 기존 의사결정 나무와 다르게 확률모형인 랜덤 포레스트는 블랙박스 모형이지만, 모형을 해석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9. Ulsan (Korea):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20. p. 7-640. 

  2. Kang KS, Ryu HG. Predicting types of occupational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in Korea using random forest model. Safety Science. 2019 Dec;120:226-36. https://doi.org/10.1016/j.ssci.2019.06.034 

  3. Ale BJM, Bellamy LJ, Baksteen H, Damen M, Goossens LHJ, Hale AR, Mud M, Papazoglou IA, Whiston JY.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netherlands: An analysis of accident reports using storybuilder. Reliability Engineering & System Safety. 2008 Oct;93(10):1523-33. https://doi.org/10.1016/j.ress.2007.09.004 

  4. Swuste P, Frijters A, Guldenmund F. Is it possible to influence safety in the building sector?: A literature review extending fro m 1980 until the present. Safety science. 2012 Jun;50(5):1333-43. https://doi.org/10.1016/j.ssci.2011.12.036 

  5. Liao CW, Perng YH. Data mining for occupational injuries in the Taiwan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science. 2008 Aug;46(7):1091-102. https://doi.org/10.1016/j.ssci.2007.04.007 

  6. Winge S, Albrechtsen E. Accident types and barrier failur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science. 2018 Jun;105:158-66. https://doi.org/10.1016/j.ssci.2018.02.006 

  7. Hosseinian SS, Torghabeh ZJ. Major theories of construction accident causation model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s in Engineering & Technology. 2012 Sep;4(2):53-66. 

  8. Lopez-Alonso M, Ibarrondo-Davila MP, Rubio-Gamez MC, Munoz TG. The impact of health and safety investment on construction company costs. Safety science. 2013 Dec;60:151-9. https://doi.org/10.1016/j.ssci.2013.06.013 

  9. Santana VS, Villaveces A, Bangdiwala SI, Runyan CW, Albuquerque-Oliveira PR. Workdays lost due to occupational injuries among young workers in Brazil.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012 Oct;55(10):917-25. https://doi.org/10.1002/ajim.22099. Epub 2012 Jul 27 

  10. Manu P, Ankrah N, Proverbs D, Suresh S. An approach for deter mining the extent of contribution of construction project features to accident causation. Safety Science. 2010 Jul;48(6):687-92. https://doi.org/10.1016/j.ssci.2010.03.001 

  11. Boden LI, Biddle EA, Spieler EA.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workplace illness and injury: 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001 Oct;40(4):398-402. https://doi.org/10.1002/ajim.10013 

  12. Cho YR, Kim YC, Shin YS. Prediction model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using decision tree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7 Jun;17(3):295-303. https://doi.org/10.5345/JKIBC.2017.17.3.295 

  13. Kim YC, Yoo WS, Shin YS.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prediction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7 Fed;17(1):7-14. https://doi.org/10.9798/KOSHAM.2017.17.1.7 

  14. Kim EJ. Prediction model for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using random forest.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20 Oct;22(5):81-7. 

  15. Weil D. Valuing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work injury and illness: a comparison of methods and finding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001 Oct;40(4):418-37. https://doi.org/10.1002/ajim.1114 

  16. Jeong WI, Lee KS, Jeon YI. Occupational accidents and foregone working days. Journal of Korean Economics Studies. 2011 Jun;29(2):139-74. 

  17. Choi JW, Kim TW, Lee CS. Effects of weather factors on the work loss days of the elderly worke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9 Jan;20(1):41-51. https://doi.org/10.6106/KJCEM.2019.20.1.041 

  18. Lee DB, Lee TY, Jo YC, Lee YS, Sim UT. Analysis of absenteeism factors of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Industrial Health. 1995 May;85:2-9. 

  19. Yoon JH, Jang SR, Im HK. Occupational accident prevention policy for middle-aged and old workers according to the trend of occupational accident.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8 Conference; 2008 May 23; Gumi-si, Korea. Seoul (Korea):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8. p. 8-11. 

  2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ospital management status survey - The average number of hospital stays for inpatients by type of salary [Internet]. Cheongju (Korea):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Set 30.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8&tblIdDT_358N_H409101 

  21. Jeong WM, Park CY, Koo JW, Roh YM. Predictors of return to work in occupational injured worker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3;15(2):119-31. 

  22. Jo JH. A study on the Causes Analysis and Preventive Measures by Disaster types in Construction Fields. Conference of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2011 Nov; Cheonan-si, South Korea. Incheon (Korea):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2011. p. 23-34. 

  23. Ruser JW. The changing composition of lost-workday injuries. Monthly Labor Review. 1999 Jun;122(6):11-9. 

  24. Health and Safety Executive. Working days lost in Great Britain [Internet]. Merseyside (England):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17. Available from: http://www.hse.gov.uk/statistics/dayslost.htm 

  25. Yang YS, Park JH, Lee CS. Accident risk analysis of construction workers by occup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9;25(10):149-56. 

  26. Kim SG, An HY, Lee EH.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s in indicators of occupational accidents and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in OECD countries. Ulsan-si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09 Dec. Report No.: 2009-72-1264. 

  27. Kotsiantis SB.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 review of classification techniques. Emerging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in computer engineering. 2007 Jun;160:3-24. 

  28. Breiman L, Friedman J, Olshen R, Stone C.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RC press. 1984. p. 237-51. 

  29. Geron A. Hands-on machine learning with Scikit-Learn and TensorFlow: concepts, tools, and techniques to build intelligent systems. 1st ed. Sebastopol (CA): O'Reilly Media. 2017. p. 189-211. 

  30. David D. Summing feature importance in Scikit-learn for a set of features [Internet]. StackExchange; 2017 [updated 2020 Sep 11; cited 2021 Feb 12]. Available from: http://bit.ly/2TYUjnu 

  31. Breiman L.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2001 Oct;45(1):5-32. 

  32. Parr T, Turgutlu K, Csiszar C, Howard J. Beware Default Random Forest Importances. explained.ai [Preprint]. 2018 [cited 2021 Feb 12]. Available from: https://explained.ai/rf-importance/ 

  33.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Employer-Reported Workplace Injuries and Illnesses (Annual) News Release [Internet]. U.S. Department of Labor, Washington (DC):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20 Apr 11 [updated 2020 Nov 4; cited 2021 Feb 28]. Available from: https://www.bls.gov/news.release/osh.ht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