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제도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정책효과
The effect of policy on Korea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4, 2021년, pp.267 - 274  

김송숙 (신한대학교 치위생학부) ,  김유민 (이화여자대학교 미디어공학) ,  나가연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백승희 (예명대학원대학교 리더십전공) ,  이근철 (숭실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가 정책효과로서 수급자 가구원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시켰는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국복지패널 6차(2011년)과 12차(2017년)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성향점수매칭 중 Caliper matching을 이용하여 제도를 이용한 실험집단 64명과 이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344명을 선정하였다. 집단간 특성차이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였고, 제도 전후의 정책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단순이중차이분석과 이중차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제도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활동지원제도는 이용자 가구원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제도 이용자의 수의 적음으로 인한 낮은 통계적 검정력과 불완전한 매칭 그리고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서비스만으로는 장애인 자립에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제도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전문화된 서비스와 장애인과 부양가구원의 요구에 맞는 제도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6rd and 12th year of the Korean Welfare Pan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PAS) system on the labor market of PAS users' particip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64 program groups using the Korean PAS and 344 control groups not using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정책효과 중 경제적 효과로서 제도가 수급자 가구원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시켰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효과 중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로서 제도가 수급자 가구원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시켰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6 차와 12차 자료를 이용하여 성향점수매칭과 이 중 차이 분석을 통해 돌봄을 제공하는 부양가구원의 노동시장 참여를 증가시켰는지에 대한 효과를 추정하였다.
  • 본 연구의 정책 효과로서 제도 도입의 효과는 종속변수인 노동시장 참여가 제도 도입 이전에 비해 제도 도입 이후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속변수는 노동시장 참여 효과변수로 경제활동참여여부, 연간총근로소득, 노동참여시간인 연간근로시간과 주당 평균 근로시간으로 하였다.
  • 한편,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와 노동시장 참여와의 관련성을 입증하지 못하였지만, 한국 복지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제도 이용여부에 대한 시간적인 선후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성향점수 매칭을 통한 실험군과 통제군 선정과 분석에 있어 이중차이분석을 통한 제도의 효과 평가,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변수 보정 등의 바이어스를 최소화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한 것에 대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S. Lim & J. S. Lee. A Study on Women's Care-work in the Personal Assistant Service by Activity Assista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7(2), 533-559. DOI : 10.22143/HSS21.7.2.25. 

  2. E. A. Lee. (2017). An Study on the Effect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s. Mas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G. Esping-Andersen, D. Gallie & A. Hemerijck, J Myles. (2002).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xford : Oxford University.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2017 Personal Assistance Service business guide. Seoul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5. H. Kim et al. (2013). Policy Study for Establishing Comprehensive Measures for Protec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Measures to Improve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System.. Sejong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6. Y. C. Byeon et al. (2015). A study on the provision of regular activity support through a survey on the activity support for the severely disabled. Sejong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7. T. I. Solovieva, R. T. Wallsh, D. J. Hendricks & D. L. Dowler. (2010). Workplac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aking productive employment possible. Journal of Rehabilitation. 76(4), 3-8. 

  8. H. N. Kim. (2009). A Study of Infuentia lFactors on PAS Users' Satisfacton at Urban-Rural Communities. Master. Daegu University, Gyeonsa. 

  9. J. Y. Ha. (2014). A study on the factor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the agency providing personal assistant service of the disabled on nowon in seoul. Master. Hansung University, Seoul. 

  10. R. F. Schoeni & R. M. Blank. (2000). What has welfare reform accomplished? Impacts on welfare participation, employment, income,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45. DOI : 10.3386/w7627 

  11. [internet],[cited 2021 Jan 4], Available From: https://www.ableservice.or.kr:8443/PageControl.action. 

  12. H. J. Kwon & J. Y. Ko. (2015). The Effect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Labor Suppl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 67(4), 279-299. 

  13. S. S. Shim. (2017). A Critical Review on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by applying the policy analysis framework of Gilbert & Terrell(2010) and the principle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56, 237-268. 

  14. J. H. Jeon.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 Focusing on Personal Assistance Sevice and Personal Care Assistance Program of USA.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52, 255-278. 

  15. Y. C. Byeon et al. (2015). A study on the provision of regular activity support through a survey on the activity support for the severely disabled. Sejong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