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하수처리시설 유입수 및 방류수에서 TOC와 유기물질 관리지표간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OC and organic matter indices in influent and effluent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4, 2021년, pp.122 - 129  

손동진 (국립환경과학원 상하수도연구과) ,  정동환 (국립환경과학원 상하수도연구과) ,  박규홍 (중앙대학교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21년부터 총유기탄소(TOC)가 국내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새로운 유기물질 기준 지표로 선정됨에 따라, 기존 유기물질 관리지표(DOC, BOD5, CODMn, CODCr)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TOC의 적용 타당성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500개소 공공하수처리시설을 공정 및 시설용량에 따라 구분하여 유입 및 방류수에 대한 유기물질 관리지표간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른 유기물질 관리 지표 대비 유입수와 방류수 내 화학적 산소요구량(CODMn)와 TOC간 농도비와 결정계수(R2)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유기물질 관리지표간의 상관성 결과는 새로이 기준으로 도입된 TOC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수행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total organic carbon (TOC) becomes a new water quality standard as an organic matter (OM) index for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PSTFs) in Korea from 2021, a comparison study needs to be conduct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OC and the existing OM indices (DOC, BOD5, CODMn, C...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OC와 비교할 대상의 기존 유기물질 관리지표로는 용존유기탄소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BOD5, CODMn, 화학적 산소요구량- 다이크롬산칼륨법 (CODCr)을 선정하였다. 또한, 시설용량, 공법 등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유기물질 관리지표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2017년부터 2019까지 실시한 2년에 걸친 공공하수처리시설 유입수 및 방류수 내 유기물질 관리지표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1년부터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질기준으로 도입된 TOC와 유기물질 관리지표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TOC와 비교할 대상의 기존 유기물질 관리지표로는 용존유기탄소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BOD5, CODMn, 화학적 산소요구량- 다이크롬산칼륨법 (CODCr)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5). A study on the detemination method of TOC effluent limination in industrial wastewater. (Online).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TRKO201600011835&dbtTRKO&rn 

  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1). A study on policy direction and management of organic substance indicator transfer for environmental criteria in public watershed. Incheon : NIER. 

  3. S. J. Kang, B. J. Kang, K. Park, D. H. Jeong, W. S. Lee & H.M. Chung. (2019).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effluent TOC in publicly owned treatment wor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33(2), 141-150. DOI : 10.11001/jksww.2019.33.2.14 

  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5). A study on determinating TOC standard for applic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II). Incheon : NIER. 

  5. D.H. Jeong et al. (2015).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method of TOC effluent limitation for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30(3), 241-251. DOI : 10.11001/jksww.2016.30.3.241 

  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A study on determinating TOC standard for applic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I). Incheon : NIER. 

  7. The counci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91). Council directive 91/271/EEC. (Online). https://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uricelex%3A31991L0271 

  8. Federal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nature conservation and nuclear safety. (2004). Wastewater ordinance. (Online). https://www.bmu.de/fileadmin/bmu-import/files/pdfs/allgemein/application/pdf/wastewater_ordinance.pdf 

  9.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U.S. EPA). (2010). National pollutant discharge elimination system (NPDES) permit writers' manual. (Online). https://www.epa.gov/sites/production/files/2015-09/documents/pwm_2010.pdf 

  10. S.G. Nutt et al. (2013). Addressing BOD 5 limitations through Total Organic Carbon Correlations: A Five Facility International Investigation. An Instrumentation Testing Water & wastewater Association for North America (ITA) research & development report. (Online). http://www.instrument.org/ePubs/PubContents/RDR13TOC-Table Of Contents.pdf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9). A study on construction of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TOC monitoring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y (II). Incheon : NIER. 

  1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8). A study on construction of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TOC monitoring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y (I). Incheon : NIER. 

  13.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7). 2016 sewerage statistics. (Online). http://www.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jsessionidBd47KzpwmLbvbOpL+R7axctG.mehome1?pagerOffset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title&searchValue%ED%95%98%EC%88%98%EB%8F%84%ED%86%B5%EA%B3%84&menuId10264&orgCd&condition.orderSeqId7285&condition.rnSeq2&condition.deleteYnN&seq7146 

  14. Korean Environment Corporation (KECO). (2009). Sewage maintenance Basic Plan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y Technology Review Case Collection. (Online). https://www.keco.or.kr/kr/business/water/communityid/114/view.do?idx165 

  1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7). Korean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Online). https://www.me.go.kr/gg/web/board/read.do?menuId2246&boardId788130&boardMasterId228&condition.hideCate1 

  16. J.W. Lee, S.H. Lee, S.J. Yu & D.H. Rhew. (2016).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rivers and lakes: BOD 5 , COD, NBOPs, and TOC.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88, 252. DOI : 10.1007/s10661-016-5251-1 

  17. W. Bourgeois, J.E. Burgess & R.M. Stuetz. (2001). On-line monitoring of wastewater quality: a review. Journal of Chemical Technology & Biotechnology, 76(4), 337-348. DOI : 10.1002/jctb.3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