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Urban Elderly Peop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4, 2021년, pp.367 - 377  

함석필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휴먼케어학과) ,  김범호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대체치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파악 하고자 2019년 5월 1일부터 6월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D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82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은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의 여러 변수들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지지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지지 총점 및 하위영역(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점수가 낮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지지 총점 및 하위영역(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및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총점 및 하위영역(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및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이 매우 높은 군(Q4)보다 낮은 군(Q1)에서 주관적 행복감이 낮아질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의 여러 변수들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지의 구체적인 실행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s. The study subjects were 382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D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personal interview by investigators who visite...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33)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of Residence Registration Population in 2018.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ealth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Chronic Disease Investigation Team, Disease Control Division; 2006. 

  3. Yang S, Kong F, Wang S, et al. Part II Causal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S and healthy life expectancy. Hoshi T, Kodama S, editors. The Structure of Healthy Life Determinants: lesson from the Japanese Aging Cohort Studies. Singapore: Springer. 25-192, 2018. 

  4. Steptoe A, Deaton A, Stone AA. Subjective wellbeing, health, and aging. Lancet, 385(9968): 640-648, 2015. 

  5. Niklasson J, Hornsten C, Conradsson M, et al. Hihh moral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urvival in the very old, Ag Aging, 44(4):630-636, 2015. 

  6. Koopmans TA, Gelijnse JM, Zitman FG, et al. Effects of happiness on all-cause mortality during 15 years of follow-up: the Arnhem Elderly Study. J Happiness Stud, 11(1): 113-124, 2010. 

  7.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 34-43, 2000. 

  8. Morimoto Kanehisa. Life style and Health, Ekakushyoin Co. p166-168, 1991. 

  9. Larson R.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ing of older Americans. J Gerontol, 33:109-125, 1987. 

  10. Sidney Katz, Laurence G, Branch. Active Life Expectancy. 309(20):1218-1224, 1983. 

  11. Fukuda H, Kida K, Kimura Y, Nishizawa Y, et al. Well-being and depression in residents of a provincial city 65 years old or older.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49(2): 97-105, 2002. 

  12. Andrew FM, Withey SB.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ns' perceptions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1976 

  13. Campbell A.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 Psychol, 31:117-124, 1976. 

  14. Hugles B. Quality of life. Researching Social Gerontology: Concepts, methods and issues, London, Sage Pub Ltd, 46-58, 1990. 

  15. Shimai S, Yamamiya Y, Fukuda S. Subjective happiness among Japanese adults: An upward tendency associated with age.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65(9): 553-562, 2018. http://dx.doi.org/10.11236/jph.65.9_553 

  16. LaRocco JM, House Js, French JRP. Social support,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J Health Soc Behav, 45: 193-205, 1980. https://doi.org/10.2307/2136616 

  17. Williams AW, Ware JE, Donald CA. A model of mental health,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pplicable to general populations. J Health Soc Behav, 22:324-336, 1981. 

  18. Bowling A et al.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over a two and a half year period among very elderly people living in London. Soc Sci Med, 36:641-655, 1993. http://dx.doi.org/10.1016/0277-9536(93)90061-8 

  19. Lim YA.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s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the elderlies at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 335-347, 2019. https://doi.org/10.5762/KAIS.2019.20.11.335 

  20. Lim H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ocial and family support among the elderly people in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4): 1721-1731, 2011. http://dx.doi.org/10.5762/KAIS.2011.12.4.1721 

  21. Shin ES, Kwon IS, Cho Y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n epressive symptom in the community elderly using the structural qu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1):4995-5004, 2011.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1.4995 

  22.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science. Behav Res Methods, 39(2):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3. Breslow L, Belloc NB.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 Med, 1:409-421, 1972. 

  24. Sherbourne D, Stewart AL.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 Sci Med, 32(6): 705-714 1991. 

  25. Lim MK, Kim MH, Shin YJ, et al. Social Support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a Low Income Neighborhood of Seoul,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36(1): 54-62, 2003. 

  26. Lawton MP.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A revision. J Gerontol, 30: 85-89, 1975. 

  27. Cho KH. Jeong YJ, Cho YC. Factors related to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elderly in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Rural Med, 28(2); 71-85, 2003. 

  28. Myers D. The funds, friends, and faith of happy people. American Psychologist 55:56-67. 2000. 

  29. Shimai S, Otake K, Utsuki N, Ikemi A, et al. Development of Japanese version of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SHS), and examination of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51(10): 845-853, 2004. 

  30. Matsudaira Y, Takayama S, Suganuma N, Ogawa I. Factors related to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lderly residents of special nursing homes.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57(2): 121-130, 2010. 

  31. Kodama S, Kurimori S, Hoshi T. Association between feelings of happiness among community-dwelling, independent, elderly individuals in an Okinawan farm village and survival three years later.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65(5): 199-209, 2018. http://dx.doi.org/10.11236/jph.65.5_199 

  32. Krause N. Social support, stress and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 41: 512-519, 1986. 

  33. Halvorsrud L, Kirkevold M, Diseth A, Kalfoss M.. Quality of life model: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sick older adults. Res Theory Nurs Pract 24(4): 241-259. 2010. https://doi.org/10.1891/1541-6577.24.4.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