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생 방향성 식물 꽃향유의 정유성분 분석
Analysis of Essential Oil Components using Elsholtzia splendense Nakai, a Fragrant Plant Distributed in Korea 원문보기

현장농수산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and fisheries research, v.23 no.1, 2021년, pp.5 - 12  

정재한 (비비플로라 천연물연구소) ,  박노복 (국립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꽃향유에 함유된 정유를 추출하기 위해 개화한 개체를 채집한 후 생체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재료는 꽃 0.7kg, 잎 + 줄기 1.5kg으로 나누어 부위별로 추출 후 향기패턴 분석에 사용하였고, 정유성분 분석을 위해 전초 5kg을 넣은 후 추출하였다. 정유추출은 Schultz등(1977)이 개량한 SDE 법으로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시간은 시료가 끓기 시작한 후부터 1시간으로 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정유성분을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패턴 분석과 GC-MS로 정유성분의 물질을 분석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향기패턴 분석은 꽃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경우 10~20분에 나오는 향의 질이 가장 좋았고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향은 다소 향의 질은 좋지 못했지만 10~40분에 나오는 향이 좋았다. 향의 세기는 꽃만으로 추출한 것은 10~20분에서 가장 강한 향이 나왔고, 30~40분에서도 향의 세기는 높게 나타났다.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향은 대체로 향의 세기가 강하지 못하였지만 10~20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2. 꽃향유에 함유된 정유의 종류는 40종을 얻었다. 이중 Mequinol, Benzene, 1,2,3,4-tetramethyl, Elsholtziaketone, Dehydroelsholtziaketone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xtract the essential oil contained in the Elsholtzia splendense Nakai, a fully-bloomed individual was collected and the living body was used for the experiment. Plants were divided into 0.7kg of flowers and 1.5kg of leaves + stems, and extracted by parts and used for scent pattern analy...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1)

  1. 손관화. 1999a. Glandular trichomes of Elsholtzia splendens Naka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e science 40(2) p.276~280. 

  2. 손관화. 1999b. Short-day and uniconazole treatments for aromatic potted plants production of Elsholtzia and Elsholtzia splendens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송지숙. 2000. Chemotaxonomy based on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ive Elsholtzia ciliata (Thunb.) Hylander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신국현. 1995. 전통 천연향료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과학기술처. 

  5. 윤종성. 1992. 향유와 꽃향유의 효능에 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4. 

  6. 정연옥, 정숙진. 2017. 한국 야생화 식물도감 가을편. p.130~133. 

  7. 지형준, 신순희, 장정인. 1992. 향유의 정유 분석 및 조직배양. 생약학회지 Kor. J. Pharmacogn. 23(2):77~80. 

  8. 채영복. 1988. 한국유용식물자원연구총람, 한국화학 연구소 461. 

  9. 채영암. 2004. 향료작물의 기능성 성분 생산선발지표 개발. 과학기술부 보고서. 

  10. Belaiche, P. 1985. Treatment of vaginal infections of candida albicans with essential oils of Malaleuca alterifolia. Phytotherapy 15(2):13~14. 

  11. Buchbauer, G. 1991. Aromatheraphy : Evidence for sedative effects of the essential oil of lavender after inhalation. Z. Naturforschc 46(11):1067~1072. 

  12. Carson, C. F. and T. V. Riley.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essential oil of Melaeuca alternifolia. J. Applied Bacteriology 78(3):264~269. 

  13. Deans, S., Svoboda, K., Kennedy, A. 1989. Biological Activity of Plant Volatile Oils and Their Constituents. Planta medica 55(7):588 

  14. Han, K. Y., Kim, J. H., and Noh, B. S., 2001. Identification of the volatile compounds of irradiated meat by using electronic nose. Food Science & Biotechnology. 10(6):668. 

  15. Isaac, O. 1979.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with compounds of chamomile. Planta Med. 35(2):118~124. 

  16. Lawless, J. 1995.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essential oil. Element Books 1st. Shafesbury. UK. 

  17. Chung, M. S., M. S. Lee. 2002. Development of -Flavored Oils and Analysis of Flavor Pattern Using Electronic Nos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4):455~460. 

  18. Rudzki, E., E. Grazywa and S. Bruno. 1976. Sensitivity to 35 essential oils. Contact Dermatitis 2(4):196~200. 

  19. Southwell, I. A., Freeman, S., Rubel, D. 1997. Skin irritancy of tea tree oil. J. Essent. Oil Res. 9(1):47~52. 

  20. Wagner, H., Wierer, M., Bauer, R. 1986. In vitro inhibition of prostaglandin biosynthesis by essential oils and phenolic compounds. Planta Med. 52(3):184~187. 

  21. Zheng, G., P. M. Kenney and L. K. T. Lam. 1993. Potential anticarcinogenic natural products isolated from lemongrass oil and galanga root oil. J. Agric. Food Chem. 41(2):153~15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