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물 제1925호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 엄구 내 유리제 사리병의 복원 및 안정성 연구
Restoration and Stability of the Glass Sarira Bottle (Treasure No. 1925) from the Sarira Reliquaries Commissioned by Yi Seonggye, Excavated from Geumgangsan Mountain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26, 2021년, pp.25 - 34  

나아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황현성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문화재 복원 분야에서 3D 기술이 복원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리제 문화재의 복원에 관하여 3D 기술이 활용되어 복원된 사례가 적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보물인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중 유리제 사리병의 결손부를 복원하는 과정에 3D 기술을 이용하였다. 보존처리는 3D 프린팅 출력물을 직접적으로 복원제로써 적용하지않고 에폭시계수지로 복제한 복원편으로 결손부를 복원하였다. 보존처리 완료 후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재료와 기술방식에 관하여 기존 도자기의 복원재료 중 투명성을 지닌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감과 안정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보존처리 완료 후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방식으로 출력한 광경화성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등 총 5개의 시편을 제작 한 후 96시간까지 자외선에 노출시켜 황변화를 조사하였고, 광경화성수지의 시편은 출력물에 UV차단제를 분무 여부에 따라 2종으로 나누어 자외선에 노출시켰다. 자외선 노출 결과, SLA방식 시편에 UV차단제를 분무한 시편, 에폭시계수지의 시편의 b*값의 변화값이 1 미만으로 황변화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리제 문화재의 복원제로써 적용 가능한 재료로 보여진다. 유리제 문화재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복원해야할 부분 또한 다양하고 복잡하여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복원재료에 대해 여러 가지 재료를 염두해두고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3D printing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applied for the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However, its application to the restoration of glass cultural properties has not yet been reported and thus requires further study. In this study, 3D printing technology was used to restore a defective part ...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4)

  1. 신연홍, 황현성, 도자기의 표면 질감을 고려한 3D 프린터의 재료 선정 및 복원재료로서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회 15, p131-144, (2019). 

  2. 조성연, 권윤미, 최보배, 평창 발견 석조보살좌상의 보존처리와 3차원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복원, 박물관 보존과학 20, p77-92, (2018). 

  3. 이주오, 안태영, 최경식, 김성혁, 선우훈, 3D스캐닝 및 프린팅을 활용한 나무외형 복원, 한국농업기계학회 24, p507-507, (2019). 

  4. 이혜지, 유리 필라멘트 공급 FDM방식 3D 프린팅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신소재공학과, 석사학위논문, p2-3, (2020). 

  5. 강병훈, 신성열, 진승은, 임미리, 이수진, 김종수, UV LED 이용한 광경화성수지 응고 실험, 한국정밀공학회 2008, p811-812, (2008). 

  6. 이진욱, 남산, 황광택, 김진호, 김응수, 한규성, 실리카 복합소재의 물성에 따른 DLP 3D printing 적용 연구, 한국결정성장학회 29, p55, (2019). 

  7. 윤범진,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 개발 동향, 세라미스트 19, p78-88, (2016). 

  8. 김진성, SLA방식과 DLP방식의 다양한 치과용 3D프린팅 레진의 물성 비교, 배재대학교대학원 재료공학과, 박사학위논문, p4-18, (2021). 

  9. 이해순, 나아영, 유리제 문화재 복원용 광경화성 수지의 물성 연구 및 적용, 박물관보존과학 21, p2, (2019). 

  10. 정세리, 자외선 안정제 첨가에 따른 에폭시계수지의 노화특성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문화재보존과학과, 석사학위논문, p6-10, (2011). 

  11. 황현성, 고민정, 임수경, 이다혜, 국보 제193호 봉수형유리병의 재보존처리에 사용할 복원재료 선정 실험, 박물관보존과학 15, p26-36, (2014). 

  12. 신우철, 김경중, 위광철, 조선시대 백자연적 편(片)을 활용한 3차원 디지털복원 기술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22, p85-96, (2019). 

  13. 4차산업혁명위원회, https://www.4th-ir.go.kr/, (2021). 

  14. 오승준, 위광철, 훼손 도자기 결실부 복원을 위한 3D 세라믹 프린팅 기술의 기초 적용성 연구, 한국융합학회 11, p165-173,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