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금제구슬의 재료학적 특성 및 제작기법 연구
A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Gold-granule Beads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26, 2021년, pp.67 - 82  

양수현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노지현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금제구슬 2점(부여5336)은 1993년 부여 능산리 공방터 주변에서 발견된 것으로 백제 시대에 제작된 누금제품이라는 희소성과 완형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 제작기법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형 엑스선형광분석기와 실체현미경 및 분광분석기 부착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해 금제구슬의 성분 조성을 확인하고 미세 형태와 표면 상태 관찰, 접합 부위 성분 분석을 통해 제작 기법을 살펴보았다. 금제구슬은 속이 비어있는 형태로 구멍을 뚫은 뒤 그 주변을 금선으로 둘러 장식하였으며 나머지 부분을 금알갱이로 장식하였다. 일부에서 금알갱이를 먼저 금판에 접합하고 금알갱이 위에 금선이 올라간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금선과 금알갱이 모두 23.6K~23.7K로 분석되었다. 누금의 접합 부위 일부에서는 구리의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으며 재현 실험 및 제작 방법 연구 결과를 참고로 하여 볼 때 구리확산법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golden beads (Buyeo 5336) housed at the Buyeo National Museum were discovered in 1993 near the site of an ancient workshop in Neungsan-ri in Buyeo-gu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se rare examples from the Baekje Kingdom of an application of granulation have maintained their original form int...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14)

  1. 권향아, 삼국시대 이식(耳飾)의 누금기법(鏤金技法)에 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5, p7-35, (2002). 

  2. 이유진, 고대 누금세공(鏤金細工)기법의 전개와 발전, 기초조형학연구 7, p377-383, (2006). 

  3. 노지현, 유혜선, 석암리 9호분 출토 금제띠고리의 제작 방법 고찰, 박물관보존과학 17, p1-16, (2016). 

  4. 유혜선, 윤은영, 횡혈식석실 출토 금제태환이식의 성분조성 및 금립세공기법, 경주 보문동합장분, p106-117,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2011). 

  5. 유혜선, 경주 계림로 14호분 장식보검 금립의 접합방법에 관한 고찰, 박물관보존과학 16, p4-13, (2015). 

  6. 이선명, 남궁승, 김연미,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누금세공 유물의 제작기술 연구, 보존과학회지 26, p13-24, (2010). 

  7. 최기은, 유혜선, 비파괴 분석법을 황용한 무령왕릉 출토 금제유물의 제작특성 연구, 무령왕릉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III), p134-199, 국립공주박물관, 공주, (2007). 

  8. 신용비, 신라 금제품의 화학조성과 누금기술, p16, p111-114, p146-149,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9. 이진아, 그래뉼레이션 기법과 활용에 관한 연구, p44-45, p52-64,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0. 허우영, 금제태환이식(보물557호)에 사용된 누금기법, 호암미술관 연구논문집 6, p113-123, (2003). 

  11. 문환석, 조남철, 강대일, 이명희, 재질분석을 통한 제작특성 연구,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p154-171, (2000). 

  12. 유혜선, 몽골 도르릭나르스 흉노 무덤 2~4호분 출토 청동 및 금제 유물 분석, 보존과학회지 28, p176-184, (2012). 

  13. 부여군, 부여 능산리고분군 I 서고분군 제4차 발굴조사, p258-259, 부여, (2019). 

  14. Fan Yang, Thilo Rehren, Ping Kang, Siran Liu, Kunlong Chen, On the soldering techniques of gold objects from the Boma site, Xinjiang, Chin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3, 102572,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