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픽모델링과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내 조경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조경학회지를 대상으로 -
The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using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2, 2021년, pp.17 - 26  

박재민 (청주대학교 조경도시계획전공) ,  김용환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전공)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이상석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조경학회지는 국내 조경학 연구를 주도하며, 조경 전 분야의 다양한 영역의 주제를 포용적으로 수용하며 발전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재된 1,802편의 논문 초록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연구 주제 유형을 구분하고, 시계열적 연구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키워드 사이의 관계성과 군집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27개 유형의 주제를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주제의 시계열적 변동성은 적었지만, 근대성, 커뮤니티, 도시재생 등은 새롭게 성장하는 핫토픽이었고 생태조경 관련 주제들은 감소하는 콜드토픽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차이는 있었지만 2000년대 이후 연구 주제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학회지의 상징적 키워드는 '공원'으로 나타났으며, '경관' 또한 학회지가 선도하는 주요한 영역임을 확인하였다. 연결망과 출현빈도를 토대로 보면, 학회지는 '공원'과 '경관', '공간'을 대상으로 '활용', '이용' '조성' 관련 연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의 토픽모델링과 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학회지의 총체적 연구 경향성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ast half century, the Journal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has been leading the landscape architecture research and industry inclusively. In this study, abstracts of 1,802 artic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is paper...

주제어

참고문헌 (20)

  1. Blei, D. M., Y. N. Andrew and I. J. Michael(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 993-1022. 

  2. Choi, S. C. and H. W. Park(2020) A study on the trend of topic modeling in South Korea using KCI journal pub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2): 815-826. 

  3. Cho, S. H.(2003) Research trends concerning landscape materials and construction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5): 139-145. 

  4. ELAF, 2008, The Introduction, the Promotion and the Vis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Paju: Jo-kyung Publishing Co. 

  5. Kang, H. C.(2003) Research trends concerning landscape plant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5): 130-138. 

  6. Kang, H. Y. and C. H. Lee(2014) Analysis of topic changes and moves in abstracts of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learning and technology. Multimedia-As isted Language Learning 17(4): 38-60. 

  7. Kim, H. B.(2004b) Research trends concerning landscape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6): 120-128. 

  8. Kim, M. S.(2003) Discussion on pending task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5): 121-129. 

  9. Kim, Y. D.(2004a) Research trends concerning landscape design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6): 107-119. 

  10. Kim, Y. H.(2003)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kyoungsa. 

  11. Lee, K. S.(2004b) Research trends concerning landscape ecology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6): 129-135. 

  12. Lee, L. Y.(2006) Centrality measures for bibliometr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191-214. 

  13. Lee, M. W.(2004a) Issues and trends concerning of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with ESS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1): 139-156. 

  14. Im, S. B.(2002) Landscape architecture research in 30 years.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1973-2002 (pp29-33).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orean] 

  15. Na, S. T., J. H. Kim, M. H. Jung and J. E. Ahn(2016) Trend analysis using topic modeling for simulation studi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25(3): 107-1116. 

  16. Mimno, D. and A. McCallum(2012) Topic models conditioned on arbitrary features with dirichlet-multinomial regression. arXiv preprint arXiv:1206.3278. 

  17. Park, K. C. and C. H. Lee(2019)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for smart city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20(3): 119-128. 

  18. Park, J. H. and M. Song(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 7-32. 

  19. Shin, S. S.(2003) Research trends concerning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5): 146-152. 

  20. Yi, Y. K.(2004) Research trends concerning environmental psychology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1): 157-1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