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설 「고령화 가족」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Family in the Novel 「Aging Famil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638 - 653  

경은주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양영자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설 「고령화 가족」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소설 속 주인공 인모가 가족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의 가족은 혈연과 비혈연 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이른바 '정상가족'과는 거리가 먼 형태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에 대해 인모가 인식한 가족의 의미는 "자부심도 애정도 가질 수 없는 존재"에서 "인간적인 정리"와 "피보다 진한 의리"가 존재하는 가족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가족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family in the novel 「Aging Family」. The Novel text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In-mo, the main character,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ndings show that his family members were non-blood related as well as blood rela...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설 「고령화 가족」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주인공 인모가 인식한 가족의 의미를 질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다양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천명관의 소설「고령화 가족」을 통해, 가족의 의미는 어떠한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설 속 주인공 인모가 가족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소설 속 주인공 인모가 가족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즉, 본연구의 목적은 소설「고령화 가족」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이동원, 함인희, "한국 가족사회학 연구 50년의 성과와 반성," 가족과 문화, 창간호, pp.1-58, 1996. 

  2. 하용출 편, 한국 가족상의 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3. 이영주, 최경화, 정윤태, 김현희, 오정아, 가족복지론, 양서원, 2018. 

  4. 김홍주, "한국 가족문제의 특징," 사회와 역사, 39권, pp.172-213, 1993. 

  5. 전미경, 노영주, 이진경, 김자영, 김지영, "초등교과서에 나타난 가족 개념연구 1 -가족구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권, 제2호, pp.167-186, 2007. 

  6.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가족과 한국사회 :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삶 읽기, 경문사, 2001. 

  7. 이여봉, 가족 안의 사회 사회 안의 가족, 양서원, 2008. 

  8. 이재경, 가족의 이름으로-한국근대가족과 페미니즘,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003. 

  9.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idxno190778, 2020.12.16. 

  10. Joe M. Schriver,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연구회(역), 박영사, 2013. 

  11. 천명관, 고령화 가족, (주)문학동네, 2010. 

  12. 육정학, "고령화 시대의 영화, 우리는 어떤 가족이 필요한가- ," 영화평론, 제26권, pp.338-344, 2014. 

  13. 김희경, 이상한 정상가족, 도서출판 동아시아, 2018. 

  14. http://www.snujn.com/news/38319, 2021.01.16. 

  15. https://www.youtube.com/watch?vyuCjJu7l1qc, 2020.12.16. 

  16. 김규원, "가족의 관계역동성과 문제의식: 가족 개념의 인식과 가치관," 가족학논집, 제7집, pp.213-255, 1995. 

  17. 양옥경, "한국 가족 개념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6권, pp.69-99, 2000. 

  18. 양옥경, "가족 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7권, pp.175-199, 2001. 

  19. 이영숙, 박경란, "청년과 중년의 가족 개념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 제40권, 제10호, pp.217-230, 2002. 

  20. 장혜경, 황정임, 최인희, 김영란, 주재선, 김소영, 가족실태조사 분석 연구, 여성가족부, 2015. 

  21. 박진숙, "대학생의 가족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과 경주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제22권, 제3호, pp.129-148, 1984. 

  22. 한남제, "도시주민의 가족의식," 사회과학, 제7권, pp.87-115, 1995. 

  23. 양옥경, 김혜영, "가족의식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방향: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13집, 제2호, pp.29-55, 2001. 

  24. 김혜영, "1인 가구의 비혼사유과 가족의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1041-1057, 2007. 

  25. 김경희, 홍지수, "한국과 일본의 가족의식에 관한 비교 연구," 가족과 문화, 제25집, 제3호, pp.186-213, 2013. 

  26. http://blog.daum.net/vikinow/7790821, 2020.12.16. 

  27. http://ch.yes24.com/Article/View/19242, 2020.12.16 

  28.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92186, 2021.02.21. 

  29.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29/2016122901727.html, 2020.12.28. 

  30.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고명숙, 고병혜 외 45인,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31. 최종렬, 김성경, 김귀옥, 김은정,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연구방법론,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8. 

  32. 양영자, "중산층 가정 시부모의 피돌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박완서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14권, 제1호, pp.39-68, 2020. 

  33. 백광렬, 이상직, 사사노 미사에, "한국의 가족주의와 가족 관념," 한국사회학, 제52집, 제4호, pp.115-159, 2018. 

  34. 최재석, 한국의 가족과 사회, 景仁文化社, 2009. 

  35. 김경호, "한국사회의 '가족주의' 담론과 '유교 가족주의' 에 대한 성찰," 민족문화연구, 제86호, pp.391-413, 2020. 

  36. 이승환, "한국 '家族主義'의 의미와 기원, 그리고 변화가능성," 유교사상문화연구, 제20집, pp.45-6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