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단주기간에 따른 알코올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gree of Alcoholism Recovery, Quality of Life, Empowerment and Self-esteem Based on Different Abstinence Periods of Alcohol use Disord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981 - 995  

박경은 (삼육대학교대학원 중독과학과) ,  장혜량 (삼육대학교대학원 중독과학과) ,  김나미 (삼육대학교대학원 중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주를 유지하고 있는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단주기간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알코올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7개 지역을 중심으로 알코올 사용장애로 진단받은 후 단주 중인 알코올 사용장애자 207명이었다.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7명을 단주 1년 미만, 1년-5년 미만, 5년 이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나이, 결혼 여부, 경제활동 여부였고, 1년 미만의 단주자들보다 1년 이상 단주를 유지하는 단주자들의 알코올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 모든 요인에서 높은 점수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단주기간을 불문하고 모든 단주자들에게서 알코올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이 서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기적인 단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단주의 효과를 알 수 있었고 이런 요인들을 고려한 알코올의존 회복 프로그램이나 치료적 중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lcoholism recovery, quality of life, empowerment and self-esteem based on different abstinence periods of alcohol use disorder. The study population from seven different regions in nationwide were 207 individuals with alcohol us...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단주를 유지하고 있는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단주 및 단주 기간에 따른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알코올 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 사이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7개 지역을 중심으로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을 받고 단주 중인 알코올 사용장애자들 207명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손애리, 김진현, 서미경, 이영숙, 박여진, 이지영, 음주문화 특성 및 주류접근성 개선, 보건복지부, 2018. 

  2.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보건복지부, 2019. 

  3. 보건복지부, 2016년 정신질환실태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016. 

  4. 정경수,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 M. Gray and Relapse Prevention, Clinical work with Substance Abusing Clients, NY and London: The Guilford Press, 1993. 

  6. 현혜영, 알코올 의존자의 단주 경험,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 M. S. Subbaraman and J. Witbrodt, "Differences between abstinent and non-abstinent individuals in recovery from alcohol use disorders," Addictive Behaviors, Vol.39, pp.1730-1735, 2014. 

  8. 원성두, 임재영, 이규항, 한형경, 한창수, "단주 환자와 입원 중인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단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 J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제20권, 제2호, pp.88-94, 2016. 

  9. 채숙희, 신재정, 조근호, 김혜영, "알코올의존 환자의 단주 관련 요인; 6개월 추적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29권, 제4호, pp.1145-1153, 2010. 

  10. Hazelden Betty Ford, Butler center for research may 2017, 2017, 

  11. E. A. Henessy, "Recovery Capit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Vol.25, pp.349-360, 2016. 

  12. G. Davies, S. Elison, J. Ward, and A. Laudet, "The role of lifestyle in perpetuating substance use disorder: the Lifestyle Balance Model,"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Vol.10, No.2, pp.1-8, 2015. 

  13. J. Powers, Positive Recovery, Master of Applied Positive Psychology(MAPP), Capstone Projects, p.89, 2013. 

  14. R. Bland and A. Tullgren, Recovery theory and in practice: Consumer and practitioner perspectives,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Contexts and Theories for Practice, pp.111-141, 2014. 

  15. 김나미, 조현섭, 박경은, "국외 중독회복 패러다임의 변화와 발전과정," 상담학연구, 제20권, 제4호, pp.133-153, 2019. 

  16. 송진희, 알코올, 약물 중독자를 위한 회복자본 척도의 개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7. 김재영, 신성만, "중독 이해의 패러다임으로서 재기(Recovery) 모델의 함의와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재활심리연구, 제25권, 제4호, pp.717-736, 2018. 

  18. 윤명숙, 정영철, 이준석, 이분희, 조혜정, "입원한 알코올의존자의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금주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 신경정신의학, 제51권, 제5호, pp.278-285, 2012. 

  19. O. Saatcioglu, A. Yapici, and D. Cakmak,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anxiety in alcohol dependence," Drug and Alcohol Review, Vol.27, pp.83-90, 2008. 

  20. S. Srivastava and M. S. Bhatia, "Quality of life as an outcome measure in the treatment of alcohol dependence," Industrial Psychiatry Journal, Vol.22, No1, pp.41-46, 2013. 

  21. J. H. Foster, E. J. Marshall, and T. J. Peters, "Application of a Quality of Life measure, the Life Situation Survey(LSS), to alcohol-dependent subjects in relapse and remission," Alcoholism, Vol.24, No.11, pp.1687-1692, 2000. 

  22. 손동균, "알코올중독의 재발요인과 재발 빈도의 관계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2권, 제1호, pp.61-90, 2014. 

  23. 김종성, 병식-지향 치료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병식 상태와 퇴원 후 단주 성적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4. D. A. Dawson, T. K. Li, S. P. Chou, and B. F. Grant, "Transitions in and out of alcohol use disorders: Their associations with conditional changes in quality of life over a 3-year follow-up interval," Alcohol and Alcoholism, Vol.4, No.1, pp.84-92, 2009. 

  25. 유재순, 이종은, 박우영, "익명의 알코올중독자(AA)모임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45권, 제2호, pp.305-314, 2016. 

  26. 박병선, 배성우, 임성옥,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1권, 제3호, pp.63-92, 2013. 

  27. 이상민, 강문희,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질의 관련성," 정신간호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14-123, 2019. 

  28. 박주은, 박상규, "긍정심리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숙인 알코올중독자의 우울 및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1권, 제1호, pp.1-19, 2015. 

  29. 이숙현, 한창근, "노인의 자산이 주관적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제44권, 제3호, pp.99-123, 2019. 

  30. 지요석, 이은희, 홍수현, "교류분석 집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교류분석상담연구, 제10권, 제1호, pp.125-146, 2020. 

  31. 문지영, 권영혜, "인지행동적 음악치료활동이 알코올 중독자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 단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제10권, 제1호, pp.107-118, 2009. 

  32. 박후남, 유숙자, "명상수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 환자의 자기개념, 금주자기효능 및 금주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512-803, 2005. 

  33. K. E. Glindemann, E. S. Geller, and J. N. Fortney, "Self-esteem and alcohol consumption: A study of college drinking behavior in a naturalistic setting," Journal of Alcohol and Drug Education, Vol.45, No.1, pp.60-71, 1999. 

  34. A. Twerski, Addictive Thinking: Understanding Self-Deception, City, Minn.: Hazelden Publishing, 1997. 

  35. L. M. Pullen, "The relationships among alcohol abuse in college students and selected psychological/demographic variables," Journal of Alcohol and Drug Education, Vol.40, pp.36-50, 1994. 

  36. 정선영, 조원탁, 이정숙, "여성 알코올중독자와 정상여성의 성역할 정체감,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보건과 복지, 제5권, pp.119-131, 2002. 

  37. 정구경, 알코올중독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8. 고상진, 홍해숙,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의 임파워먼트가 치료 순응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제18권, 제2호, pp.15-27, 2017. 

  39. 정재원, 김성재, "조현병 재발예방 프로그램이 퇴원 전 환자의 병식, 임파워먼트 및 치료 준수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7권, 제2호, pp.188-198, 2017. 

  40. 이혜은, 알코올중독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1. M. Y. Yeh, H. L. Che, L. W. Le, and F. F. Horng, "An empowerment process: Successful recovery from alcohol dependen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7, No.7, pp.921-929, 2008. 

  42. L. A. Muller and K. Ketcham, Recovering: How to get and stay sober, Toronto and New York: Bantam Books, 1987. 

  43. 천덕희, A.A.를 통해 회복 중인 알코올중독자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4. 김미경, AA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경험 탐구,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USA, 2013. 

  46. 전수미, 회복패러다임에 근거한 알코올의존 회복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7. The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The WHOQOL Group, Psychological Nedicine, Vol.28, No.3, pp.551-558, 1998. 

  48.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제39권, 제3호, pp.571-579, 2000. 

  49. E. S. Rogers, J. Chamberlin, M. L. Ellison, and T. Crean, "A consumer-constructed scale to measure empowerment among users of mental health services," Psychiatric Services, Vol.48, No.8, pp.1042-1047, 1997. 

  50. 최명민, 이기영, 엄태완,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 세팅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24권, pp.94-124, 2006. 

  51. 조미란, 예술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2.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53.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서울: 연세총론, 제11권, pp.107-124, 1974. 

  54. 김선진, 단주중인 알코올중독자와 가족들이 경험한 가족기능 회복과정,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3권, 제1호, pp.63-100, 2009. 

  55. 최연숙, 우주현, 현명선, "알코올의존자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활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09-116, 2012. 

  56. 조명숙, 안효자, "알코올중독자의 직업생활 적응과정, 정신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216-226, 2018. 

  57. 윤명숙, "알코올과 약물 남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사회 정신 건강 개입,"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프로시팅(1), pp.673-689, 2002. 

  58. 홍정남, 이영호, "가족탄력성이 알콜중독자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연구, 제6권, 제2호, pp.9-26, 2009. 

  59. 보건복지부,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 2017. 

  60. 서정석, 한국인 알코올 사용장애 임상경과 및 생물정신사회적 요인 규명을 위한 임상 및 지역기관 융합연구, 정신건강기술개발사업단, 2015. 

  61. 류은주, "알코올중독 노숙인의 회복자로 살아가기: 생애사 연구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13권, 제1호, pp.35-59, 2019. 

  62. 최주혜, "중독과 영성," 신학과 실천, 제47호, pp.349-372, 2015. 

  63. 성은혜, 신정호, "단주기간에 따른 알코올중독자의 음주갈망, 음주후유증, 삶의 태도 변화에 대한 자가 평가," 중독정신의학, 제2권, 제1호, pp.121-125, 1998. 

  64. G. E. Vaillant and E. S. Milofsky, "Natural history of male alcoholism, IV. Paths to recovery," Arch Gen Psychiatry, Vol.39, pp.127-133, 1982. 

  65. G. K. Shaw, S. Waller, S. Mcdougall, J. Macgarvie, and G. A. Dunn, "Followup study of participants in an alcohol treatment program," Br J Psychiatry, Vol.157, pp.190-196, 1990. 

  66. L. J. Hibbert and D. Best, "Assessing recovery and functioning in former problem drinkers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recovery journeys," Drug and Alcohol Review, Vol.30, pp.12-20, 2011. 

  67. 홍미연, 조미경,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12권, 제1호, pp.135-162, 2018. 

  68. 강미정, "에니어그램 집단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전반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16-126, 2015. 

  69. 김이영, 박현숙,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과 역량 강화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1-21, 2010. 

  70. 홍미연, "생애사 연구를 통한 한 여성 알코올중독 회복자의 삶에 대한 이해,"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5권, 제2호, pp.33-59, 2017. 

  71. 윤명숙, 김남희, "알코올중독자의 회복동기와 삶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1호, pp.110-135, 2015. 

  72. A. H. Bronwyn, A. J. Leonard, and B. K. Christopher, "Factors of Empowerment for Women in Recovery from Substance Us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51, No.1-2, pp.91-102, 2013. 

  73. 조현섭, 우리나라 중독문제 현황과 해결방안, 한국중독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 국제중독심포지엄,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