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온라인상의 불법 성콘텐츠 접촉과 불법 성콘텐츠 유통의 원인요인과 통제요인의 상호작용효과 비교
Comparing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ausal and Control Factors in College Students' Online Contact and Distribution of Sexually Explicit Materia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465 - 476  

이성식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  임형연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  신지민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불법 성콘텐츠 접촉과 불법 성콘텐츠 유통의 그 원인요인들 및 통제요인들을 제시하고 그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각각 살펴보고 비교하였다. 원인요인으로는 낮은 자기통제력, 불법 성콘텐츠 경험 친구, 그리고 가부장가정 요인을, 그리고 통제요인들로는 도덕태도, 공식처벌, 기회제약을 다뤘다. 그리고 세 원인요인들의 영향에 대한 세 통제요인들의 조절 혹은 완충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시 대학생을 조사대상으로 하는 분석결과 대체로 불법 성콘텐츠 접촉과 불법 성콘텐츠 유통에서 그 원인요인들의 작용은 유사해 낮은 자기통제력, 불법 성콘텐츠 경험 친구, 그리고 가부장가정 모두가 크게 유의미했고 그 중에서도 불법 성콘텐츠 경험 친구와의 접촉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불법 성콘텐츠 접촉 및 유통에 대한 원인요인들과 통제요인들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면 그 결과가 상이했다. 불법 성콘텐츠 접촉의 경우 원인요인들과 통제요인들과의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불법 성콘텐츠 접촉에서는 원인요인 모두가 독립적으로만 유의미하게 작동했으며 그 작용을 어떠한 통제요인들도 통제하지 못했다. 그러나 불법 성콘텐츠 유통의 경우는 낮은 자기통제력과 도덕태도간의 상호작용효과, 불법 성콘텐츠 유통 친구와 도덕태도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했고, 가부장가정과 공식처벌간의, 그리고 가부장가정과 기회제약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했다. 그 결과의 함의를 논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siders both causal and control factors for explaining both contact and distribution of sexually explicit material and tests their interaction effects for examining buffering effects of control factors in causal proces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low self-control, differential 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가설 설정

  • 가설 1: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불법 성콘텐츠 접촉이나 유통의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불법 성콘텐츠 접촉/유통 친구와 접촉할수록 불법 성콘텐츠 접촉이나 유통의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 가설 3: 가부장가정환경에 있을수록 불법 성콘텐츠 접촉이나 유통의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 가설 4: 불법 성콘텐츠 접촉이나 유통에의 영향에서 낮은 자기통제력, 불법 성콘텐츠 접촉/유통 친구, 가부장가정과 도덕태도와의 상호작용효과는 부(-)적일 것이다.
  • 가설 5: 불법 성콘텐츠 접촉이나 유통에의 영향에서 낮은 자기통제력, 불법 성콘텐츠 접촉/유통 친구, 가부장가정과 공식처벌인지와의 상호작용효과는 부(-)적일 것이다.
  • 가설 6: 불법 성콘텐츠 접촉이나 유통에의 영향에서 낮은 자기통제력, 불법 성콘텐츠 접촉/유통 친구, 가부장가정과 기회 제약과의 상호작용효과는 부(-)적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이성식, 청소년 사이버범죄 유형별 원인 및 통제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 

  2. 이성식, 사이버범죄학: 원인, 유형, 대책, 그린, 2017. 

  3. 김유정, "청소년들의 개인적 요인이 인터넷 음란물 이용과 이용 후의 성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6호, pp.45-84, 2010. 

  4. 김은미, 나은영, 박소라, "청소년의 인터넷 유해 정보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209-257, 2007. 

  5. 이창훈, 김원기, "청소년의 웹하드를 활용한 음란물 유통 실태와 원인에 관한 연구: 강압이론 및 사회학습 이론을 토대로 한 구조방정식 분석,"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2권, 제3호, pp.91-118, 2015. 

  6. 최정임, 정동훈, "스마트폰을 통한 청소년의 성 관련 콘텐츠 노출 원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445-455, 2014. 

  7. 이지선, 이성식,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란물유통행위의 설명: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상호작용 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제13권, 제3호, pp.5-24, 2019. 

  8. 최병일, "인터넷 음란물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음란물 노출이 실제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2호, pp.50-69, 2009. 

  9. M.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10. J. J. Gibbs and D. Giever, "Self-control and its manifesta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 empirical test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ustice Quarterly, Vol.12, No.2, pp.231-255, 1995. 

  11. T. C. Pratt and F. T. Cullen, "The empirical status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A meta-analysis," Criminology, Vol.38, pp.931-964, 2000. 

  12. 민정식, "청소년들의 유해정보 재전송에 미치는 영향: 소셜미디어 중독과 자기통제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5권, 제4호, pp.79-108, 2015. 

  13. R. L. Akers, Deviant Behavior: A Social Learning Approach, 3rd Edition, Belmont. CA: Wadsworth, 1985. 

  14. M. War and M. Stafford, "The influence of delinquent peer: What they think or what they do?," Criminology, Vol.29, pp.851-866, 1991. 

  15. M. L. Ricketts, C. Maloney, C. D. Marcum, and G. E. Higgins, "The effect of internet related problems on the sexting behaviors of juveniles,"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Vol.40, pp.270-284, 2015. 

  16. R. E. Dobash and R. P. Dobash, Violence against Wives: A Case against Patriarchy, New York: Free Press, 1979. 

  17. K. Simonson and L. M. Subich, "Rape perceptions as a function of gender role traditionality and victim-perpetrator association," Sex Roles, Vol.40, pp.617-634, 1999. 

  18. M. D. Smith, "Patriarchal ideology and wife beating: A test of a feminist hypothesis," Violence and Victims, Vol.5, pp.257-273, 1990. 

  19. 김은경, "사이버성폭력의 현실과 쟁점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보, 제7호, pp.72-117, 2001. 

  20. M. Williams, Virtually Criminal: Crime, Deviance, and Regulation Online, New York: Routledge, 2006. 

  21. S. H. Hawk, I. Vanwesenbeeck, H. Graaf, and F. Bakker, "Adolescents' contact with sexuality in mainstream media: A selection-based perspective," The Journal of Sex Research, Vol.43, No.4, pp.352-363, 2006. 

  22. C. H. Lee, S. Moak, and J. T. Walker, "Effects of Self-control, social control, and social learning on sexting behavior among South Korean youths," Youth & Society, Vol.48, No.2, pp.242-264, 2013. 

  23. J. P. Gibbs, Crime, Punishment, and Deterrence, New York: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 1975. 

  24. R. Paternoster, L. Saltzman, T. G. Chiricos, and G. P. Waldo, "Perceived risk and social control: Do sanctions really deter?," Law and Society Review, Vol.17, pp.457-479, 1983. 

  25. R. F. Meier and T. D Miethe, "Understanding theories of criminal victimization," Crime and Justice, Vol.17, pp.459-499, 1993. 

  26. C. D. Marcum, G. E. Higgins, and M. L. Ricketts, "Potential factors of online victimization of youth: An examination of adolescent online behaviors utilizing routine activity theory," Deviant Behavior, Vol.31, pp.381-410, 2010. 

  27. C. Hay and W. Forrest, "Self-control theory and the concept of opportunity: The case for a more systematic union," Criminology, Vol.46, No.4, pp.1039-1071, 2008. 

  28. R. Agnew,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Vol.30, pp.47-87, 1992. 

  29. N. L. Piquero and M. D. Sealock, "Generalizing general strain theory: An examination of an offending population," Justice Quarterly, Vol.17, pp.449-484, 2000. 

  30. J. C. Howell, Preventing and Reducing Juvenile Delinquency: A Comprehensive Framework, Sage Publication, 2003. 

  31. H. G. Grasmick, C. R. Tittle, and R. J. Bursik,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s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Vol.30, pp.5-29, 1993. 

  32. 이성식, "가부장적 가정의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 차이," 한국청소년연구, 제22권, 제3호, pp.97-117, 2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