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주노동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조업 미얀마남성이주노동자의 경우
A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 Affecting the Depression of Immigrant Labor: The Case of Myanmar Male Immigrant Labor 원문보기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아태비즈니스연구, v.12 no.4, 2021년, pp.135 - 151  

윤영삼 (부경대학교 경영학부) ,  이정식 (부경대학교 경영컨설팅협동과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immigrant labor by the exploratory multivariate model empirically.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review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theoretically and implement empirical study by using the questionnaire data of Myanm...

주제어

참고문헌 (64)

  1. 김규상(2010), "이주노동자의 건강실태와 건강영향", 산업안전보건연구동향, 32, 44-49 

  2. 김용규(2010), "국내 이주노동자의 정신건강 현황 및 과제", 정신건강정책포럼, 4(1), 38-53 

  3. 김종주.이만우(2000), "The Psychodynamics of Depression: on the psycho-analysis of the 'Hahn'(恨) as a depressive state in Koreans",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발표대회논문집 

  4. 김지경(2012), 제조업 남성 이주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제대 

  5. 노진섭(2021), "한국, OECD 국가 중 우울증.자살률 1위", 시사저널, 1653호, 50-51 

  6. 민성길(2009), 화병연구 

  7. 박시성(2020), "욕망의 윤리와 우울", KNOTS, 1, 43-73 

  8. 반기웅(2021), "'코로나 블루', 심리방역도 시급하다", 주간경향, 1411호, 24-25 

  9. 시민건강연구소(2021), 이주민 건강권 실태와 의료보장제도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10. 심광현(2014), "재난자본주의와 감정의 정치학: 불황과 우울증의 변증법", 심광현, 맑스와 마음의 정치학, 547-585 

  11. 안가은(2019), 국내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별 우울, 차별, 사회적 지지 (석사학위논문), 이화여대 

  12. 양옥경.박향경.손가현(2010), "이주노동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5(0), 141-175 

  13. 여유진 외(2020), 2020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윤영삼(2015), "이주노동자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모국문화유지행동", 인적자원관리연구, 22(4), 165-186 

  15. 윤영삼.Trinh Thi Hue.손헌일(2017), "이주노동자의 모국문화유지행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2(3), 77-94 

  16. 이선웅(2008), 경기지역 일부 이주노동자들의 우울 증상율과 관련위험요인 (석사학위논문), 서울대 

  17.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2021), 국내 이주노동자 코로나19 의료정보 문해력 및 의료접근성 연구조사 

  18. 이주민과 함께(2017),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연구용역보고서 

  19. 이주와 인권연구소(2018), 2018 이주노동자의 노동조건과 주거환경 실태조사 

  20. 임운택(2013), "이주노동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이론적 논의와 국제적 실천의 시사점", 산업노동연구, 19(2), 33-66 

  21. 임월산(2011),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인종주의 그리고 한국의 이주노동자", 사회운동, 101, 87-110 

  22. 전혜정(2015), 베트남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아대 

  23. 정선영.오영림.배이진(2013), "사회적 관계망, 일상적 어려움, 사회적 지지가 외국인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4, 1-35 

  24. 제용진.유승호(1997), "정신병적 우울증의 신경심리학적 양상: 비정신병적 우울증 및 정신분열병과의 비교", 생물치료정신의학, 3(1), 128-137 

  25. 조정배(2020),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36, 283-300 

  26. 조지영(2013), 누가 다문화사회를 노래하는가? (석사학위논문), 연세대 

  27. 川上?史.小杉正太?(2004), 仕事中だけ「うつ」になる人たち-ストレス社會で生き殘る?き方とは(김하나(옮김), 나는 왜 출근만 하면 우울할까?) 

  28. 통계청(2020), 보도자료: 2020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 

  29. 한준성(2017), 한국의 이주노동정치 (박사학위논문), 서울대 

  30. 荒井千曉(2008), 社員が"うつ"になったとき(정정일 옮김, 회사우울증) 

  31. Berry, J. (2003),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In J. Chen, P. Baiis-Organista and G. Martin(eds.), Acculturation, 3-37 

  32. Blatt, S. (1998), "Contributions of psychoanalysis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depression",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46(3), 723-752 

  33. Boini, S., M. Kolopp, M. Grzebyk, G. Hedelin and D. Chouaniere (2020), "Is the effect of work-related psychosocial exposure on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short-term, lagged or cumulative?",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Health, 93(1), 87-104. 

  34. Clays, E., D. De Bacquer, F. Leynen, M. Kornitzer, F. Kittel and G. De Backer (2007), "Job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in middle-aged worker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33, 252-9. 

  35. De Lange, A., T. Taris, M. Kompier, I. Houtman and P. Bongers (2004),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examining normal, reversed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in a 4-wave study", Work & Stress, 18, 149-66. 

  36. Eatough, E., L. Meier, I. Igic, A. Elfering, P. Spector and N. Semmer(2016), "You want me to do what? Two daily diary studies of illegitimate tasks and employee well-be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7(1), 108-127 

  37. Esteban, V. et al. (2020), "Cultural considerations in treating depression", in L. Benuto, F. Gonzalez and J. Singer(eds.), Handbook of Cultural Factors in Behavioral Health, 309-321 

  38. Fandino-Losada, A., Y. Forsell and I. Lundberg (2013), "Demands, skill discretion, decision authority and social climate at work as determinants of major depression in a 3-year follow-up study", International Archiv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86, 591-605. 

  39. Gil-Monte, P. (2011), "The influence of guil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depression", European Psychologist, 17(3), 231-236 

  40. Gotlib, I. and J. Joormann (2010), "Cognition and depressio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27(6), 285-312. 

  41. Hamon, R. and J. Gaspard (2020), "실존의 고통, 고양된 멜랑콜리와 사회적 연대", KNOTS, 1, 74-95 

  42. Karasek, R. (1990), "Lower health risk with increased job control among white collar worke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1(3), 171-185. 

  43. Kim, H., S. Park, K. Min and K. Yoon (2009), "Depressive symptoms and self-reported occupational injury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Health, 82(6), 715-721. 

  44. Lassus, L., S. Lopez and V. Roscigno(2015), "Aging workers and the experience of job loss", Research in Social Stratification and Mobility, 41(1), 81-91 

  45. Lindert, J. et al. (2009), "Depression and anxiety in labor migrants and refuge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ocial Science & Medicine, 69(2), 246-257 

  46. Magnusson, H. et al. (2009),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Swedish employees", International Archiv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82, 951-60. 

  47. Maslow, A. (1967), "Neurosis as a failure of personal growth", Humanitas, 3, 153-169. 

  48. Netterstrom, B., B. Conrad, P. Fink, O. Olsen, R. Rugulies and S. Stansfeld (2008), "The relation between work-related psychosocial factors and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Epidemiologic Reviews, 30, 118-32 

  49. Olive, D. (2020), "[인터뷰] 우울증과 정신분석적 임상에 관하여", KNOTS, 1, 115-129 

  50. Pemberton, R. and M. Fuller Tyszkiewicz (2016), "Factors contributing to depressive mood states in everyday lif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 103-110 

  51. Priesemuth, M. and R. Taylor (2016), "The more I want, the less I have left to giv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7(7), 967-982 

  52. Rosenthal, D. (1963), "A suggested conceptual framework", In D. Rosenthal(ed.), The Genian quadruplets, 505-516 

  53. Rost, K., H. Meng and S. Xu (2014), "Work productivity loss from depression: evidence from an employer surve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4(1), 59-75. 

  54. Shields, M. (2006),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employed population", Health Reports, 17, 11-29. 

  55. Solomon, A.(2001), The Noonday Demon(민승남 옮김, 한낮의 우울) 

  56. Stoetzer, U. et al. (2009), "Problematic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and depress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51, 144-51. 

  57. Taylor, M and M. Fink (2006), Melancholia 

  58. Theorell, T. et al. (2015), "A systematic review including meta-analysis of work environment and depressive symptoms", BMC Public Health, 15, 738-751. 

  59. van Hooff, M. and E. van Hooft (2016), "Work-related boredom and depressed mood from a daily perspective", Work & Stress, 30(3), 209-227 

  60. Wang, J. and N. Schmitz (2011), "Does job strain interact with psychosocial factors outside of the workplace in relation to the risk of major depressio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6, 577-84. 

  61. Warr, P. (1990), "The measurement of well-being and other aspects of menta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93-210. 

  62. Wieclaw, J. et al. (2008),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the risk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in the Danish workforce", BMC Public Health, 8, 280. https://doi.org/10.1186/1471-2458-8-280 

  63. Willner, P. (2017), "The chronic mild stress(CMS) model of depression: History, evaluation and usage", Neurobiology of Stress, 6, 78-93 

  64. Ylipaavalniemi, J. et al. (2005), "Psychosocial work characteristics and incidence of newly diagnosed depress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1, 111-2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