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지의 제조 조건에 따른 열 손상 평가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rmal Damag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Korean Paper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7 no.6, 2021년, pp.648 - 658  

김지원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박세린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기옥 (라만랩) ,  정선화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증해제 종류(천연 잿물, Na2CO3)와 초지 시기(겨울, 여름)가 다른 한지를 선정하여 105℃의 가속열화 환경에서 나타나는 한지의 화학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백색도(brightness) 및 황색도(yellowness), pH를 측정하여 한지의 열화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적외선 분광분석(FT-IR)을 통해 열화가 진행됨에 따른 셀룰로오스작용기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X선 회절분석(XRD)과 라만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FT-IR에서 나타난 셀룰로오스 내 결정 및 비결정영역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FT-IR 분석결과,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셀룰로오스 내 비결정영역의 흡광도는 감소하는 반면 결정영역의 흡광도는 미미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정영역의 증가는 XRD 분석 후 결정화도(Crystallinity Index, CI) 산출을 통해 열화 후 다소 증가함을 보여 같은 경향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라만 분광분석 결과, 열화 후 측정된 형광을 통해 초지 조건에 따른 셀룰로오스 내 비결정영역의 분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chemical changes that occur in Korean paper in an accelerated deterioration environment of 105℃. We selected the Korean paper produced with different types of cooking agents (plant lye, Na2CO3) and during different manufacturing seasons (winter, summer)....

주제어

참고문헌 (5)

  1. Ahn, J.E., Youn, H.J., Joung, Y.J. and Kim, T.Y., 2012, Determination of crystallinity index of cellulose depending on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instruments. Journal of Korea TAPPI, 44(4), 43-50. 

  2. Go, I.H. and Jeong, S.H., 2018, Anatomic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per-mulberry wood and bast fiber for raw material of Korean paper (hanji),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4(6), 517-524. 

  3. Lee, H.R., 1996, Paper science. Gwangilmunhawsa, Seoul, 387-389. (in Korean) 

  4. Lee, H.W., Kim., J.H., Hwang, C.W. and Lee, O.K., 2020,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belmoschus manihot extract.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0(1), p. 103. 

  5. Park, J.J., Choi, K.H. and Cho, B.U., 2017, Evaluation of low-temperature cooking of paper mulberry bast fiber with potassium based cooking chemicals. Journal of Korea TAPPI, 49(3), 35-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