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예비고령층과 고령층의 건강정보 경로별 인식과 활용
Recognition and use of health information for preliminary elderly and elderly peopl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6, 2021년, pp.419 - 427  

정우식 (차 의과학대학교 AI 보건의료학부) ,  강형곤 (차 의과학대학교 AI 보건의료학부) ,  한세미 (차 의과학대학교 고령친화산업학과) ,  김은혜 (차 의과학대학교 AI 보건의료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고령층과 고령층의 건강정보 획득경로와 경로별 인식 및 활용실태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예비고령층 200명, 고령층 200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대면조사를 시행하였으며, MINITAB17을 활용하여,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과 피셔의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군의 건강정보 획득경로는 전문의료인을 통한 획득은 비슷한 수준인 반면, 대중매체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획득 빈도는 예비고령층이 높았다. 특히,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건강정보 획득은 고령층보다 4배 이상 높았다. 경로별 건강정보 활용내용은 예비고령층이 건강검진 및 예방에 집중한 반면, 고령층은 예방뿐만 아니라 질환치료 등 건강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였다. 획득된 건강정보에 대해 두 군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향후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건강관련 정보의 전달에 있어 인터넷 사이트를 포함한 모든 경로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층의 자가건강관리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 개발에 연령적 특성과 경로별 활용 건강정보 영역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by acquisition channels for preliminary and elderly people. For the survey data of 200 people aged 55 to 64 and 200 seniors aged 65 or older, the chi-square test and Fisher's precision test were performed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8)

  1. National statistics. (2020). 2020 Statistics on the Aged. Daejeon : KOSIS.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0). 2019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Wonju : NHIS. 

  3. J. Y. Lee. (2019). The necessary tasks for activating health literacy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6(2), 23-35. DOI : 10.14367/kjhep.2019.36.2.23 

  4. D. J. Park, M. S. Kwon & J. H. Choi. (2013).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ttitud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on Personal Health Behavior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7(3), 379-413. DOI : 10.15814/jpr.2013.17.3.379 

  5. S. W. Ryu et al. (2006). Improving Strategy of Regional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in Korea.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irs. Sejong : KIHASA. 

  6. G. Y. Lee. (200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net Use on the Adaptation Process in Later Lif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ail Welfare, 37, 7-30. DOI : 10.21194/kjgsw..37.200709.7 

  7. Y. H. Choi. (2009). Informatization of the Elderly: Recognition of Policy Issues and Policy Instru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2(2), 131-158. DOI : 10.22896/karis.2009.12.2.006 

  8.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1). Introduction of smart public health services. NIA. 

  9. B. Loader, M. Hardey (ed.) & L. Keeble (ed.) (2009). Digital welfare for the third age: health and social care informatics for older people. NY : Taylor and Francis. 

  10. M. Urban. (2017). 'This really takes it out of you!' The senses and emotions in digital health practices of the elderly. Digital Health. 3, 1-16. DOI : 10.1177/2055207617701778 

  11. Y. S. Oh. (2020).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exercise in elderly-Focusing on elderly living in Seoul. Seoul Studies. 21(2), 95-112. 

  12. S. Koch-Weser & Y. S. Bradshaw. & L. Gualtieri & S. S. Gallagher. (2010). The Internet as a health information source: findings from the 2007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and implications for health communica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5(sup3), 279-293. DOI : 10.1080/10810730.2010.522700 

  13. H. K. Nam-Gung & I. H. Kim & H. Chun. (2017). Study on the Correlates of Digital Disparity among Older Seoul Resi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73-81. DOI : 10.14400/JDC.2017.15.4.73 

  14. W. S. Jung & H. G. Kang & M. H. Suk & E. Kim. (2011) The Use of the Internet Health Information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48-60. DOI : 10.5932/JKPHN.2011.25.1.048 

  15. Ministry of Science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1). 2020 Yearbook of Information Society Statistics.. 

  16.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0). 2020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Daegu : NIA. 

  17. M-J. Park & E. E. Suh & M. Y. Chung. (2015).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baby boom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3), 314-324. DOI : 10.7475/kjan.2014.27.3.314 

  18. J. H. Yim & H. J. Lee & J. H. Lee. (2020). A Study of Digital Divide Influence Factors of the Elderly: Comparison between Baby Boomer an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20(9), 475-485. DOI : 10.5392/JKCA.2020.20.09.475 

  19. S. Park & S. Lee. (2011). Exploring Catagories of Health Information Users on the Basis of Illness Attitude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4), 105-133. DOI : 10.7475/kjan.2014.27.3.314 

  20. G. Lee & S. Lee. (2019) Uses of Health Information Source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Older Adul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4(4), 157-184. DOI : 10.21194/KJGSW.74.4.201912.157 

  2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Sejong : KIHASA 

  22. Y. Jang & J. Yoon & N. S. Park. (2018). Source of Heath Information and Unmet Healthcare Needs in Asian American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3(7), 652-660. DOI : 10.1080/10810730.2018.1500660 

  23. W. S. Jung & H. G. Kang & M. H. Suk & E. Kim & J. Sung. (2010).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empowering health management in later life. Seoul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24. S. K. Kim & H. R. Shin & Y. S. Kim. (2019). Accessi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its impact on life satisfaction level: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n online social engagement and online network activ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2), 23-34. DOI : 10.14400/JDC.2019.17.12.023 

  25. Y. S. Koh. (2016). A Exploratory Study on the Digital Aging Policies as Solutions for Aging Socie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115-123. DOI : 10.14400/JDC.2016.14.11.115 

  26. E. W. Lee & H. S. Kim & H. J. Choi.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Korea Baby boome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5(3), 335-354. DOI : 10.15709/hswr.2015.35.3.335 

  27. M. M. Cain & J. Sarasohn-Kahn & J. C. Wayne. (2000). Health e-people : The online consumer experience. Califonia : Califonia Health Care Foundation. 

  2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0). 2020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Daegu : NI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