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산 조성과 선형판별분석을 활용한 유통판매 참기름의 원산지 판별
Discrimination of the geographical origin of commercial sesame oils using fatty acids composition combined with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4 no.3, 2021년, pp.134 - 141  

김남훈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최채만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영주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김나영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홍미선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유인실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C-FID를 이용하여 유통판매 참기름 62건(국산 18건, 수입산 44건)의 지방산 조성을 확인 하였으며 참기름의 원산지 판별을 위해 주요지방산 5 종(C16:0, C18:0, C18:1, C18:2, C18:3)에 대하여 다변량 통계분석인 주성분 분석선형판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t-검정 결과 국산과 수입산 참기름에서 C16:0, C18:0, C18:1, 및 C18:2 함량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C16:0과 C18:1 및 C18:2의 상관성은 국산과 수입산 참기름에서 서로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법 검증을 위한 회수율 검정 결과 82.8~100.2 %의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참기름의 원산지에 따른 집단 분포 양상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참기름 시료를 원산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류하기 위해 선형판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산은 88.9 %, 수입산은 100 %의 판별 정확성을 보였다. C16:0 (Wilks λ = 0.361)과 C18:1 (Wilks λ= 0.637)은 참기름 원산지 판별에 가장 판별력이 큰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62건의 참기름 중 60건이 정확하게 분류되어 96.8 %의 예측정확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상기의 접근법이 참기름의 원산지를 판별하고 분류하는 유용한 툴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fatty acid (FA) composition of commercial sesame oils (n = 62) was investigated using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were applied ...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9)

  1. Y. W. Park, P. S. Chang and J. H. Lee, Food Chem., 123, 377-383 (2010). 

  2. M. Namiki, Food Rev. Int., 11, 281-329 (1995). 

  3. S. N. Ryu, K. S. Kim and E. J. Lee, Korean J. Crop Sci., 47(S), 140-149 (2002). 

  4. G. S. Kim, D. H. Kim, M. R. Jeong, I. B. Jang, K. B. Shim, C. H. Kang, S. E. Lee, N. S. Seong and K. S. Song, Korean J. Crop Sci., 49(6), 496-502 (2004). 

  5. H. W. Kim, C. U. Choi and S. J. Woo,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 739-744 (1998). 

  6. J. Y. Lee, M. J. Kim and E. O. Cho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1), 15-20 (2008). 

  7. S. T. Ji, J. Korean Soc. Int. Agric., 31(1), 34-42 (2019). 

  8. H. Y. Seo, J. H. Ha, D. B. Shin, S. L. Shim, K. M. No, K. S. Kim, K. B. Lee and S. B. Han, J. Am. Oil Chem. Soc., 87(6), 621-626 (2010). 

  9. S. K. Bae and K. T. Lee, Korean J. Food Preserv., 16(4), 594-598 (2009). 

  10. C. T. Kim, Food Ind. Nutr., 15(1), 27-30 (2010). 

  11. D. Peng, Y. Bi, X. Ren, G. Yang, S. Sun and X. Wang, Food Chem., 188, 415-421 (2015). 

  12. D. S. Lee, B. S. Noh, S. Y. Bae and K. Kim, Anal. Chim. Acta, 358, 163-175 (1998). 

  13. J. Y. Joo, Y. H. Yeo and N. R. Le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6), 739-743 (2017). 

  14. J. A. Shin and K. T. Le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 856-860 (2005). 

  15. F. Longobardi, A. Ventrella, G. Casiello, D. Sacco, L. Catucci, A. Agostiano and M. G. Kontominas, Food Chem., 133, 579-584 (2012). 

  16. Y. S. Kim, C. Scotter, M. Voyiagis and M. Hall, Food Sci. Biotech., 7(1), 18-22 (1998). 

  17. Y. Liu, Z. Xia, L. Yao, Y. Wu, Y. Li, S. Zeng and H. Li, J. Food Compost. Anal., 84, 103327 (2019). 

  18. H. J. Jeon, S. C. Lee, Y. J. Cho, J. H. Oh, K. S. Kwon and B. H. Kim, Food Chem., 167, 363-369 (2015). 

  19. G. S. Jin, J. G. Kim, Y. H. Lee, J. Y. Kim, C. C. Akoh, H. S. Chun, S. D. Ahn and B. H. Kim, J. Oleo Sci., 66(4), 337-344 (2017). 

  20. H. J. Jeon, I. H. Kim, C. Lee, H. D. Choi, B. H. Kim, and C. C. Akoh, J. Am. Oil Chem. Soc., 90, 337-347 (2013). 

  21. H. Diraman, H. Saygi and Y. Hisil, J. Am. Oil Chem. Soc., 88, 1905-1915 (2011). 

  22. C. Li, Y. Yao, G. Zhao, W. Cheng, H. Liu, C. Liu, Z. Shi, Y. Chen and S. Wang, J. Agric. Food Chem., 59, 12493-12498 (2011). 

  23. S. Lanteri, C. Armanino, E. Perri and A. Palopoli, Food Chem., 76, 501-507 (2002). 

  24. M. Monfreda, L. Gobbi and A. Grippa, Food Chem., 145, 584-592 (2014). 

  2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Experimental method of Korean Food Standards Codex - fatty acids analysis, Republic of Korea, 2016. 

  26. The jamovi project. jamovi.(Version 1.1) [Computer Software]. Retrieved from https://www.jamovi.org. 

  27. B. A. Were, A. O. Onkware, S. Guda, M. Welander, and A. S. Carlsson, Field Crops Res., 97, 254-260 (2006).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on fats and fatty acids in human nutrition, Geneva, 2008. 

  29. A. P. Simopoulos, Biomed. Pharmacother., 56, 365-379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