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전술통신체계의 발전 방안
Future Tactical Communication System Development Pla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6, 2021년, pp.14 - 23  

김준섭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과) ,  박상준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과) ,  차진호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  김용철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육군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들을 국방분야에 접목시켜 전투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초지능, 초연결 기동화 부대 양성을 목표로 Army TIGER 4.0 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육군비전 2050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미래 지휘통제체계 및 감시정찰체계 운용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휘통제체계 및 무기체계간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군의 전술통신체계를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외의 전술통신체계를 분석하고 현재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전술통신체계의 제한사항을 도출하여 우리 군의 미래 전술통신체계에 접목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위성 중심의 다계층 통합운용 구조 및 소규모 부대에 기동간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해 살펴보고, 미래에 활용될 무기체계들로부터 발생될 데이터의 양을 예측하여 대용량 전송능력이 확보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며 지능형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rmy is making efforts to increase combat power by incorpo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o the field of defense. In order to utilize these 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ilitary tactical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4)

  1. B. Ahn & S. Cho.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Army TIGER 4.0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Defense & Technology, 479, 76-83. 

  2. W. Lee et al. (2020). 2020 KARCFI Research Report. Korea Army Research Center for Future & Innovation. 

  3. Training Circular 19-1-2. (2019). Rear Regional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Republic of Korea Army. 

  4. Defense Science & Technology Agency. (2018).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Defense and Security. Singapore Defense Technology Summit. 

  5.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2019). Tactical Networking Techniques for Corps and Below. Army Techniques Publication, 6(02.06). 

  6. B. Gay et al. (2016). WIN-T Commander's handbook. General Dynamics. 

  7. Jane Edward. (2020). 22 Firms Land Spots on $5.1B Army GTACSII Contact. Govconwire(Online). https://www.govconwire.com/2020/01/22-firms-land-spots-on-51b-army-gtacs-ii-contract/ 

  8. UK Ministry of Defence. (2020). LE TacCIS Programme. UK Government Website(Online). https://www.gov.uk/guidance/le-taccis-programme 

  9. Spectra Gropup. (2020). Slingshot in Defense and Security. Spectra Group Website(Online). https://spectra-group.co.uk/defence-2/ 

  10. Field Manual Reference-1-2 (2017). TICN, Republic of Korea Army. 

  11. M. Roh et al. (2013). A Plan to Foster Information-Oriented Professionals for Realization of Digital Battlefields.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eration Group. 

  12. ROK Army Headquarters. (2020). Army's Hyperconnected Network System. ROK Army Naver Blog(Online). https://blog.naver.com/armynuri2017/222026923215 

  13. G. Lee et al. (2020). Airborne Relay Network Technology Trend Analysis and Evolution Strateg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16(5), 73-90. 

  14. J. Gil et al. (2017). Operation Scheme of Aerial Relay Networks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iveness against Failures of Terrestrial Tactical Network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 42(1), 172-180. 

  15. D. Baek & Y. Yoon. (2015), A Research for conducting successful Urban Operation in Korean peninsula,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16(3), 53-62. 

  16. J. Gil et al. (2018). Operation Scheme of Aerial Relay Networks for Improving Degree of Situation Awareness in Future Tactical Networks,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15(4), 509-520. DOI : 10.7840/kics.2017.42.1.172 

  17. H. Woo, D. Lee & S. Han. (2016). A Study of Mid-sized Communication Satellite in Korea,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11(3), 104-109. 

  18. I. Kim et al. (2016). mmWave Moving Wireless Backhaul Technologies for Mobile Hotspot Networks,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31(5), 31-40. 

  19. G. Lee. (2019). Understanding of hologram technology and service examples, NIPA Issue Report, 24. 

  20. W. Tom & H. Sean. (2021). Microsoft is supplying 120,000 HoloLens-based headsets to the US Army. The Verge Website (Online). https://www.theverge.com/2021/3/31/22360786/microsoft-hololens-headset-us-army-contract 

  21. D. Cha. (2019). A Study on the Requirement of Drone Acquisition for the Efficient Dronebot Combat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3), 31-37. DOI : 10.15207/JKCS.2019.10.3.031 

  22. S. Yoon & Y. Choi. (2020). Network Construction Direction for Dronebot Combat System. Korean Journal of Military Art and Science, 76(3). 435-454. 

  23. FLIR Systems. (2018). Black Hornet Airborne Personal Reconnaisance System. Black Hornet Brochure(Online). https://www.equipnor.com/media/2934/black-hornet-prs-brochure-web.pdf 

  24. J. Lee, M. Shin, et al. (2019). Future Communication.Electromagnetic Wave-Intelligent Network,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