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언론에서 바라보는 객관적이고 거시적인 시선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청원경찰제도의 발전적 방향과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청원경찰'에 대한 분석 및 키워드 트렌드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를 시각해 보여주는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로 구분하고 해당하는 기간의 매년 관련 기사 건수를 도출하여 흐름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청원경찰의 언론보도 인식은 청원경찰의 채용,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것으로 긍정적인 청원경찰의 채용에 대한 관심과 부정적인 청원경찰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이미지가 공존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청원경찰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원경찰을 국가의 안전을 책임지고 사회질서유지를 위한 한 축으로써의 윤리적 책임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에 대한 고민하고 청원경찰의 업무에 임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언론에서 바라보는 객관적이고 거시적인 시선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청원경찰제도의 발전적 방향과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청원경찰'에 대한 분석 및 키워드 트렌드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를 시각해 보여주는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로 구분하고 해당하는 기간의 매년 관련 기사 건수를 도출하여 흐름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청원경찰의 언론보도 인식은 청원경찰의 채용,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것으로 긍정적인 청원경찰의 채용에 대한 관심과 부정적인 청원경찰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이미지가 공존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청원경찰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원경찰을 국가의 안전을 책임지고 사회질서유지를 위한 한 축으로써의 윤리적 책임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에 대한 고민하고 청원경찰의 업무에 임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ademic implication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system through big data analysis on the objective and macroscopic viewpoint of the media. As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n 'police assign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ademic implication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system through big data analysis on the objective and macroscopic viewpoint of the media. As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n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nd the analysis of related words that would visualize the keywords highly related to keyword trend and news. Also, after dividing the period into the 1990s, 2000s, and 2010s, the number of relevant articles in each period was drawn for understanding the flow.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media repor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was about the recruitmen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nd relevant events/accidents, which showed the coexistence of positive interest in the recruitmen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nd negative image of events/accidents related to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s a result, however,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re increasing. Thus, the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should be engaged in work after carefully thinking of its role in charge of ethical responsibility and safety as an axis for maintaining the national safety and social ord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ademic implication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system through big data analysis on the objective and macroscopic viewpoint of the media. As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n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nd the analysis of related words that would visualize the keywords highly related to keyword trend and news. Also, after dividing the period into the 1990s, 2000s, and 2010s, the number of relevant articles in each period was drawn for understanding the flow.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media repor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was about the recruitmen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nd relevant events/accidents, which showed the coexistence of positive interest in the recruitment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nd negative image of events/accidents related to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s a result, however,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are increasing. Thus, the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should be engaged in work after carefully thinking of its role in charge of ethical responsibility and safety as an axis for maintaining the national safety and social order.
또한 청원경찰 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언론에서 바라보는 객관적이고 거시적인 시선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청원경찰제도의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청원경찰제도의 발전적 방향과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제안 방법
이 연구는 국가중요시설 경비의 한 축으로 그동안 우리 사회의 공공안전 및 산업안전 분야에 중요한 역할로 1962 년부터 시행되는 있는 「청원경찰법」에 의한 청원경찰에 대한 이슈와 트렌드를 분석 통해 청원경찰이 가지는 법률상 정의와 범주화에서 판단하기 어려운 실제적인 용어 의사용과 인식을 파악하고 분석하려고 한다.
키워드 트렌드는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로 구분하고 해당하는 기간의 매년 관련 기사 건수를 도출하여 제시함으로써 키워드 흐름을 파악하였다. 연관어 분석은 뉴스 분석 건수에 따라서 검색어의 연관 키워드를 시각화하고 시맨틱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가중치의 해석에서는 ‘김씨’, ‘이씨’ ‘분쯤‘과 같은 의미 없는 검색어는 분석에서 제외하고 10번째까지 도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연구의 대상은 「청원경찰법」 제 2조(정의)의 근거에 따라 말하는 기관의 장 또는 시설·사업장 등의 경영자가 경비를 부담할 것을 조건으로 경찰의 배치를 신청하는 경우 그 기관·시설 또는 사업장의 등의 경비를 담당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경찰을 뜻하는 ‘청원경찰’을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자료의 검색기간은 빅카인즈에서 제공하는 1990년부터 2019년까지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1990년대 (1990년~1999년), 2000년대(2000년~2009년), 2010년대 (2010년~2019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처리
연구 목적에 맞는 분석 결과 및 시각화를 위해 키워드가 포함된 뉴스 건수를 보여주는 키워드 트렌드와 뉴스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를 시각화해 보여주는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방호직‘, ’ 공익근무요원‘, ’공무원’, ‘운전기사’ 등 법원 보안 관리대의 업무를 했던 방호직 공무원, 공익근무요원에 대한 내용, 그리고 한국은행에서 청원경찰과 운전기사의 고액연봉에 대한 언론보도로 인해 청원경찰의 직무와 신분 그리고 역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났다.
결론을 종합해보면 청원경찰에 대한 키워드 분석과 연관어 검색 결과는 크게 청원경찰의 채용,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것으로 긍정적인 청원경찰의 채용에 대한 관심과 부정적인 청원경찰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이미지가 공존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섯 번째, 2010년대에는 ’청목회(한국 청원경찰 친목협의회)‘를 시작으로 ’후원금‘, ’기자회견‘의 키워드로 입법 로비 사건에 대한 언론보도가 많았던 반면, ’경비인력‘, ’학생 안전강화학교’ 키워드를 통해 청원경찰의 필요성을 공무원‘, ’경쟁력‘, ’필기시험‘을 통해 높아진 청원경찰 채용에 대한 관심이 나타났다
세 번째, 1990년대에는 청원경찰 관련 범죄에 대한 키워드가 많았다. ’금융기관‘, ’구속영장‘, ’돈가방‘, ’은행직원‘, ’불법행위‘, ’새마을금고‘ 등 청원경찰의 범죄행위로 인한 키워드들이 대부분이였다
공통적인 키워드로는 채용과 관련된 ’공무원‘, ’경쟁률‘, 청원경찰 관련 범죄와 연관성이 있는 ’불법행위‘, ’금융기관‘ 등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청원경찰에 대한 관심이다. 키워드 트렌트의검색 수에서 보듯이 1990년도부터 꾸준하게 청원경찰에 대한 관련 언론보도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1990년부터 2019년에 이르기까지 채용과 관련 사건 그리고 신분과 업무에 대한 키워드가 가장 많았다. 공통적인 키워드로는 채용과 관련된 ’공무원‘, ’경쟁률‘, 청원경찰 관련 범죄와 연관성이 있는 ’불법행위‘, ’금융기관‘ 등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2000년대에는 법원보안관리대의 도입과 청원경찰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키워드가 많았다. ’방호직‘, ’ 공익근무요원‘, ’공무원’, ‘운전기사’ 등 법원 보안 관리대의 업무를 했던 방호직 공무원, 공익근무요원에 대한 내용, 그리고 한국은행에서 청원경찰과 운전기사의 고액연봉에 대한 언론보도로 인해 청원경찰의 직무와 신분 그리고 역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났다.
후속연구
결론을 종합해보면 청원경찰에 대한 키워드 분석과 연관어 검색 결과는 크게 청원경찰의 채용,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것으로 긍정적인 청원경찰의 채용에 대한 관심과 부정적인 청원경찰 관련 사건·사고에 대한 이미지가 공존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청원경찰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원경찰을 국가의 안전을 책임지고 사회질서유지를 위한 한 축으로써의 윤리적 책임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에 대한 고민하고 청원경찰의 업무에 임해야 할 것이다.
SwChoi, "Private Security Theory ", Jinyoungsa, 92-93, 2021.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https://www.police.go.kr.
MkKim, jlLee. "A Legal Review of Employing Registered Security Guards at Police Agencies",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Vol. 18, No, 2, pp. 59-80, Jun. 2019. DOI : 10.38084/2019.18.2.3
YgKim, swHan. "Review on the Execution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by the Registered Security Guard -Focused on the Executive Authority-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6, No, 3, pp. 199-222, Oct. 2015.
HkKim, "A Improving New Employee Education Curriculum of Registered Security Guards in Korea",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Vol. 17, No, 1, pp. 77-100, Mar. 2018. DOI : 10.38084/2018.17.1.4
JhSeong, "A Study on New Appointment Education of Registered Security Guards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Education ", Korean Security Journal, No, 63, pp. 105-127, Jun. 2016.
ShLe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Security Police Guard Syste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Vol. 14, No, 3, pp. 91-114, Aug. 2015.
YhKim, "Suggestions to Combine Private Police Guard System with Special Securit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Vol. 16. pp. 53-71, Oct. 2010.
YjKim, "A Study on the Reform of Police Assigned for Special Guard System ",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2007.
JySung, skKim. " Interpretation of the place discourse of Deoksugung Doldam-gil through News Big Data",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8, No, 5, pp. 923-932, Aug. 2017.
ChKwon. " Exploring the Changes Trend in Media Articles o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by Recent Governments-Using the BIGKinds System-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10, No, 6, pp. 1757-1772, Dec. 2019. DOI : 10.22143/HSS21.10.6.12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