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에서 세 가지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기법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OWAS, RULA, and REB A) in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0 no.2, 2021년, pp.210 - 216  

조민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정응진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오재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한상균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모든 산업에서 근골격계질환은 작업자들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산림작업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분류된다. 특히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은 주로 인력작업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작업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작업자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인톱을 이용한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의 작업자를 대상으로 세가지 인간공학적 분석 도구(OWAS, RULA, REBA)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기법별 작업자세에 대한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벌도와 가지제거작업자세의 위험도는 RULA, OWAS, REBA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부분 2-3단계로 작업자세의 즉각 변경조치는 요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벌도작업에서 허리와 다리를 굽힌자세와 가지제거작업에서 벌도목 위에서 작업하는 자세는 위험도가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벌도작업의 경우 산지경사, 가지제거작업의 경우는 지상에서부터 벌도목 높이가 작업위험도 평가에 영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산림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부하가 낮은 자세(벌도작업: 쪼그리는 자세, 가지제거작업: 허리와 다리가 곧은 자세)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sculoskeletal disorders affect workers' safety in most industries, and forest operations are classified as a musculoskeletal burden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are mainly conducted by manpower, and then, it is ...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0)

  1. Cho, M.J., Choi, Y.S., Mun, H.S., Lee, C.G., Lee, E.J., Jung, E.J., Oh, J.H., Han, S.K., Kim, D.H. and Cha, D.S. 2016. Productivity and costs of felling operation for three harvesting methods in mixed forest stan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5(4): 441-448. 

  2. Dempsey, P.G., McGorry, R.W. and Maynard, W.S. 2005. A survey of tools and methods used by certified professional ergonomists. Applied Ergonomics 34(4): 489-503. 

  3. Enez, K. and Nalbantoglu, S.S. 2019. Comparison of ergonomic risk assessment output from OWAS and REBA in forestry timber harves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70: 51-57. 

  4. Figlali, N., Cihan, A., Esen, H. Figlali, A., Cesmeci, D., Gullu, M.K. and Yilmaz, M.K. 2015. Image processing-aided working posture analysis: I-OWAS. Computers & Industrial Engineering 85: 384-394. 

  5. Gallo, R. and Mazzetto, F. 2013. Ergonomic analysis for the assessment of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in forestry operations.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XLIV(s2): 730-735. 

  6. Grzywinski, W., Jelonek, T., Tomczak, A., Jakubowski, M. and Bembenek, M. 2017. Does body posture during tree felling influence the physiological load of a chainsaw operatro?. Annals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4(3): 401-405. 

  7. Han, D.H. and Lee, J.H. 2007. Modern Industrial Hygiene Management. SinGwangMunhwasa. 

  8. Hignett, S. and Mcatamney, L. 2000.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Applied Ergonomics 31(2): 201-205. 

  9. Im, S.J. 2015. An empirical study on quantitative work-relatedness for symptoms of musculorskeletal disorder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Inha University. 

  10. Im, S.J., Choi, S.Y., Park, D.H. 2011. The usability analysis for ergonomic evaluation method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3(2): 83-90. 

  11. Karhu, O., Kansi, P. and Kuorinka I. 1977. Correcting working postures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ied Ergonomics 8(4): 199-201. 

  12. Lee, E.J., Baek, S.A. and Cho, K.H. 2020. Postural risk assessment of weed and kudzu removal oper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9(2): 195-201. 

  13. Lee, I.S., Jeong, M.K. and Choi, K.I. 2003. Comparison of observational posture evaluation methods based on perceived discomfort.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2(1): 43-56. 

  14. Lee, J.W. and Park, B.J. 2001. Analysis of working posture using OWAS in forest 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0(3): 388-397. 

  15. Lee, M.K., Park, B.J., Lee, J.W. and Choi, S.M. 2015. Analysis of working posture of forest trail construction.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42(2): 117-124. 

  16. McAtamney, L. and Corlett, E.N. 1993.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llied Ergonomics 24(2): 91-99. 

  1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OLEG). 2020. htttp://www.law.go.kr (2020.04.26.) 

  18. Park, J.H. and Kwak, W.T. 2006. Comparison of the representative values of the sampled work scenes with the expert's judgment in the MSD workload evaluation.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5(2): 205-210. 

  19. Spinelli, R., Aminti, G., Maganotti, N. and De Francesco, F. 2018. Postural risk assessment of small-scale debarkers for wood post production. Forests 9: 111. 

  20. Yovi, E.Y. and Prajawati, W. 2015. High risk posture on motor-manual short wood logging system in Acacia mangium plantation. Journal Manajemen Hutan Tropika XXI(1): 1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