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담자의 스트레스, 소진,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Self-c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Stress, Burnout, and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6, 2021년, pp.261 - 273  

이은진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  백상은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조영미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담자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과정에서 상담자 자기돌봄을 통한 소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상담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자 416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을 분석하였다. 첫째, 상담자 스트레스는 소진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 스트레스와 자기돌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며, 자기돌봄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 스트레스는 소진을 거쳐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자기돌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상담자의 스트레스와 소진을 예방하고 완화하여 삶의 만족을 증진시키는 자기돌봄의 효과 검증을 통해, 상담자의 개인적·전문적 성장,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자기돌봄 요인의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model by using the data of 416 counselors working in the counseling fiel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burnou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counselors' self-care in the process of counselors' stress. First, counselors' stress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자기 돌봄과 소진 간의 관계를 고려할 때, 상담자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돌봄의 수준에 따라 조절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 스트레스와 자기돌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지를 검증함으로써, 상담자 자기돌봄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가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만일 상담자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가 자기돌봄에 의해 조절된다면, 상담자 스트레스가 소진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 역시 자기돌봄에 의해 조절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는 상담자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과정에서 상담자 자기돌봄을 통한 소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상담자 삶의 질 향상 및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내담자의 안녕과 복지를 증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만일 상담자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가 자기돌봄에 의해 조절된다면, 상담자 스트레스가 소진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 역시 자기돌봄에 의해 조절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을 통해, 상담자 자기돌봄 수준을 높임으로써 스트레스가 소진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삶의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2)

  1. K. S. Pope and B. G. Tabachnick, "Therapists as Patients: A National of Psychologist's Experiences, Problems, and Belief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25, No.3, pp.247-258, 1994. 

  2. 김미애, 이지연, "상담과정에서의 정서전염에 대한 이해와 임상적 활용,"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067-1092, 2013. 

  3. 이미혜, 성승연, "상담자들의 대리외상 개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3권, 제1호, pp.109-137, 2014. 

  4. 김진선, 정남운,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제18권, 제6호, pp.603-621, 2017. 

  5.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p.542-575, 1984. 

  6.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2호, pp.369-386, 2012. 

  7. 박민수, 정소희,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열정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어논문지, 제9권, 제10호, pp.563-575, 2019. 

  8. 김현진, "교육기관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63-74, 2018. 

  9. S. Folkman, R. S. Lazarus, C. Dunkel-Schetter, A. DeLongis, and R. J. Gruen, "The dynamics of a stressful encounter: In E. T. Higgins and A. W. Kruglanski(Eds.) Key Reading in Social Psychology. Motivational Science: Social and Personality Perspectives," pp.111-127, Psychology Press, 2000. 

  10. K. D. Killian, "Helping till It Hurts? A Multimethod Study of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Self-care in Clinicians Working with Trauma Survivors," Traumatology, Vol.14, No.2, pp.32-44, 2008. 

  11. K. E. Dorociak, P. A. Rupert, F. B. Bryant, and E. Zahniser,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 Self-care Scale,"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64, No.3, pp.325-334, 2017. 

  12. https://doi.org/10.1037/tep0000318 

  13. J. E. Barnett, L. C. Johnston, and D. Hillard, "Psychotherapist wellness as an ethical imperative: In L. VandeCreek and J. B. Allen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Focus on Health and Wellness," pp.257-271, Professional Resources Press, 2006. 

  14. P. J. Gilroy, L. Carroll, and J. Murra, "A Preliminary Survey of Counseling Psychologists' Personal Experiences with Depression and Treatment,"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33, No.4, pp.402-407, 2002. 

  15. G. Lawson, "Counselor Wellness and Impairment: A National Survey," J. of Humanistic Counseling, Education & Development, Vol.46, No.1, pp.20-34, 2007. 

  16. M. Mahoney, "Psychotherapists' Personal Problems and Self-care Pattern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28, No.1, pp.14-16, 1997. 

  17. C. Maslach and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 of Occupational Behaviour, Vol.2, No.2, pp.99-113, 1981. 

  18. 이셈, 최한나,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인간이해, 제33권, 제1호, pp.123-137, 2012. 

  19. 박희현, 김광웅,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burnout) 측정도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8권, pp.39-56, 2005. 

  20. 권동균, 김명소, "상사에 대한 정서노동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소진과 일-가정 갈등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0권, 제3호, pp.401-426, 2015. 

  21. L. A. Tanner, "Middle Management Stress: Recognizing and Treating Burnout Victims," J. of the Health Care. Vol.37, No.1, pp.18-22, 1983. 

  22. 오윤정, 최영희, "융복합 시대의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10호, pp.415-424, 2015. 

  23. 김유미, 정하나, "어린이집 원장의 스트레스 및 서번트 리더십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청지기 정신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5, No.6, pp.649-659, 2017. 

  24. M. Kelly, R. Soles, E. Garcia, and I. Kundu, "Job Stress, Burnout, Work-Life Balance,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among Pathology Residents and Fellows," American J. of Clinical Pathology, Vol.153, No.4, pp.449-469, 2020. 

  25. P. A. Rupert and K. E. Dorociak, "Self-care, Stress, and Well-being among Practicing Psycholog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50, No.5, pp.343-350, 2019. 

  26. P. A. Rupert and J. S. Kent, "Gender and Work Setting Differences in Career-sustaining Behaviors and Burnout among Professional Psycholog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38, pp.88-96, 2007. 

  27. E. H. Wise and J. E. Barnett, "Self-care for psychologists: In J. C. Norcross, G. R. VandenBos, D. K. Freedheim, and L. F. Campbell(Eds.), APA Handbook of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and Profession," pp.290-322, APA, 2016. 

  28. https://www.apaservices.org/practice/ce/self-care/acca-promoting 

  29. I. D. Goncher, M. F. Sherman, J. E. Barnett, and D. Haskins, "Programmatic Perceptions of Self-care Emphasis and Quality of Life among Graduate Trainees in Clinical Psychology: The Mediational Role of Self-care Utilization,"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Vol.7, No.1, pp.53-60, 2013. 

  30. D. E. Colman, R. Echon, M. S. Lemay, J. McDonald, K. R. Smith, J. Spencer, and J. K. Swift, "The Efficacy of Self-care for Graduate Students in Professional Psychology: A Meta-analysis,"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Vol.10, No.4, pp.188-197, 2016. 

  31. 김다인, 이소연, "놀이치료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자기돌봄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21-34, 2016. 

  32. M. Mesarosova, L. Lovas, B. Raczova, M. Koverova, M. Hricova, S. Lovasova, J. Nezkusilova, V. Lichner, and M. Halachova, "Self-care as a Predictor of Negative and Positive Consequences of Practicing Helping Professions," Ceskoslovenska Psychologie, Vol.LXII, No.5, pp.447-461, 2018. 

  33. 윤경미, 노필순, 윤혜미, "가정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제10권, 제4호, pp.945-958, 2019. 

  34. 손윤실, 김정섭,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사고개발, 제13권, 제4호, pp.67-88, 2017. 

  35. 김명수, 이종훈,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소진 간 구조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10호, pp.281-294, 2017. 

  36. 김희정, 박민정, 변혜진, 신은자, 정여주,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6호, pp.73-87, 2018. 

  37. 김효정, 하봉운,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직업 정체성, 회복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 제21권, 제2호, pp.245-267, 2019. 

  38. S. Hao, W. Hong, H. Xu, L. Zhou, and Z. Xi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tress and Burnout among Civil Servants in Beijing, China: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s, Vol.83, pp.65-71, 2015. 

  39. 이은진, 백상은, 조영미, "한국판 상담자 자기돌봄 척도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제20권, 제5호, pp.245-271, 2019. 

  40. D. Cushway, P. A. Tyler, and P. Nolan,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British J. of Clinical Psychology, Vol.35, No.2, pp.279-295, 1996. 

  41. 최혜윤, 이동혁, "한국판 상담자 스트레스 척도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제14권, 제5호, pp.3217-3236, 2013. 

  42. 유성경, 박성호, "상담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2호, pp.389-400, 2002. 

  43. E. D.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44. 임영진,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대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3호, pp.877-896, 2012. 

  45.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2013. 

  46. 이형권, Mplus를 이용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신영사, 2018. 

  47. A. F. Hayes, "An index and test of linear moderated mediation,"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50, pp.1-22, 2015. 

  48.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422-445, 2002. 

  49.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50. L. S. Aiken and S. G. West,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 Sage, 1991. 

  51. T. M. Skovholt and M. Trotter-Mathison,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ies for the Helping Professions(3rd ed.), Routledge, 2016. 

  52. P. L. Smith and S. B. Moss, "Psychologist Impairment: What Is It, How Can It Be Prevented, and What Can Be Done to Address It?,"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Vol.16, pp.1-15, 2009. 

  53.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073 

  54. G. J. Neimeyer and J. M. Taylor, "Advancing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 Learning, Self-care, and Competence,"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50 No.2, pp.95-105, 2019. 

  55. A. J. Malinowski, Self-care for the Mental Health Practitioner. Th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of Preventing and Addressing the Occupational Hazards of the Professi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4. 

  56.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pp.293-315, 2004. 

  57. 채영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지, 제20권, 제4호, pp.27-46, 2016. 

  58. http://dx.doi.org/10.22143/HSS21.11.4.54 

  59. 이소연, 박남숙, "상담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조절효과: 청소년상담자와 대학상담자를 중심으로," 인간이해, 제35권, 제11호, pp73-92, 2014. 

  60. http://dx.doi.org/10.1002/job.595 

  61. http://dx.doi.org/10.1037/tep0000328 

  62. C. Maslach, Burnout: The Cost Caring,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982 

  63. J. J. Lee and S. E. Miller, "A Self-care Framework for Social Workers: Building a Strong Foundation for Practice. Families in Society," The J. of Contemporary Social Services, Vol.94, No.2, pp.96-103, 2013. 

  64. http://dx.doi.org/10.1037/pro0000226 

  65. W. L. Collins, "Embracing Spirituality as an Element of Professional Self-care," Social Work & Christianity, Vol.32, pp.263-274, 2005. 

  66. https://doi.org/10.1037/tep0000172 

  67. T. M. O'Halloran and J. M. Linton, "Stress on the Job: Self-care Resources for Counselors," J. of Mental Health Counseling, Vol.22, pp.354-364, 2000. 

  68. https://doi.org/10.1037/tep0000318 

  69. I. Boellinghaus, F. W. Jones, and J. Hutton, "Cultivating Self-care and Compassion in Psychological Therapists in Training: The Experience of Practicing Loving-kindness Meditation,"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Vol.7, pp.267-277, 2013. 

  70. K. K. Meany-Walen, A. Cobie-Nuss, E. Eittreim, S. Teeling, S. Wilson, and C. Xander, "Play Therapists' Perceptions of Wellness and Self-care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Vol.2, No.3, pp.176-186, 2018. 

  71. http://dx.doi.org/10.1177/089484530102700303 

  72. M. A. White, M. Mayer, W. M. Vanderlind, and D. Allswede, "Evaluation of a Behavioral Self-care Intervention for Public Health Students," American J. of Health Education, Vol.49, pp.40-47,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