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울산항 위험물 환적부두 지정을 위한 폭발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xplosion Risk Assessment for Designation of Dangerous Goods Transshipment Pier at Ulsan Port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45 no.3, 2021년, pp.109 - 116  

강민균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  이윤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  안영중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항 부두에 이중 접안하여 환적작업 중이던 케미컬 탱커선 폭발로 주변 선박화재 등 울산항 내에서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유사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후속 조치로 '항만 내 위험물 안전관리 종합대책'이 수립되었으며 사고 발생 시에 폭발 위험성과 항내 주요 시설에 대한 영향 등을 고려한 위험물 환적부두의 지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폭발 위험성 기반의 환적부두 제시를 위하여 울산항 주요 환적화물 대상의 Fire & Explosion Index 평가를 실시하였다. 스티렌모노머와 벤젠의 Fire & Explosion Index 평가결과 심각한 폭발 위험성을 확인하였고, 평가결과를 기준으로 노출반경을 산출 하였다. 노출반경 결과를 기반으로 주요 부두별 위험범위를 산정하였으며, 항만시설, 주변 위험시설 및 거주시설을 고려한 환적가능 부두 후보지로 12개 부두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위험반경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향후 실질적인 위험물 환적 부두의 지정 시에는 해상교통안전성, 부두 및 계류시설, 안전설비 및 비상대응을 위한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plosion of a chemical tanker ship during cargo transshipment via double-banking at Ulsan Port, resulted in major damage including fires involving nearby ships. As a follow-up measure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similar accidents, the 'Safety Management of Dangerous Goods in Port' was establis...

Keyword

표/그림 (16)

참고문헌 (15)

  1.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AIChE) (1994), Dow's Fire & Explosion Index Hazard Classification Guide, 7th Edition, pp. 1-51. 

  2. Chung, K. C. et al,(2020), Development of a Tool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Time of BLEVE in Small LPG Storage Tan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5, No. 4, pp. 74-83. 

  3. He, S. H. et al.(2013), "Research on Oil Depot Safety Evlauation Based on Dow Chemical Fire and Explosion Index Assessment Method", Advanced Material Research, Vol. 748, pp. 1256-1261. 

  4. Korean Fire Protection Association (KFPA)(1997), KFS 1171 Guidelines for Fires & Explosion Hazard Assessment(1), pp. 1-46. 

  5. Leem, S. H., Lee, J. R. and Huh, Y. J.(2007), A Study on Estimation of Structure Damage caused by V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2, No. 5, pp. 65-70. 

  6. Li, J. and Huang, Z.(2012), "Fire and explosion risk analysis and evaluation for LNG ships", Procedia Engineering, Vol. 45, pp. 70-76. 

  7. 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Branch (MAIB)(2019), "Interim report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xplosion and fire on board the chemical tanker Stolt Groenland on 28 September 2019, Ulsan, Republic of Korea", pp. 1-8. 

  8. Ministry of Oceans & Fisheries(2019a), "Research report on the necessity and designation plan of the sea area for transshipment by sea", p. 58 

  9. Ministry of Oceans & Fisheries(2019b), "Safety Management of Dangerous Goods in Port", https://www.mof.go.kr 

  10.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1994), NFPA 49 - Hazardous Chemicals Data, pp. 4-139. 

  11.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1994), NFPA 325 - Guide to Fire Hazard Properties of Flammable Liquids, Gases, and Volatile Solids, pp. 4-90. 

  12. Suardin, J.(2005), "The Intergration of Dow's Fire and Explosion Index into Process Design and Optimization to Achieve an Inherently Safer Design", PhD Dissertation, pp. 18-42. 

  13. Ulsan Port Authority(2021), "Statistics of cargo handling by year", https://www.upa.or.kr 

  14. Wang, F. and Wang, Y.(2012), "Safety assessment of production process of styrene", Procedia Engineering, Vol. 45, pp. 139-143. 

  15. Zarranejd A. and Ahmadi O.(2015), "Fire and explosition risk assessment in a chemical company by the application of DOW fire and explosion index",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and Epidemiology, Vol, 4, No. 3, pp. 163-17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