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관가야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I)
A Characteristic Analysis of Glass Beads in Geumgwan Gaya, Korea (I)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7 no.3, 2021년, pp.232 - 244  

김은아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제현 (국립김해박물관) ,  김규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금관가야가 위치한 김해지역에서 출토된 유리구슬을 중심으로 색상, 크기 및 형태, 열처리 등 외형적 특징과 비파괴 분석을 통하여 화학 조성을 융제, 안정제, 착색제 특성으로 분류해 보았다. 금관가야 유리구슬 129점은 8가지 색상 계통으로 분류되며 이 중에서 67% 점유하는 감청색이 대표적인 색상이다. 크기는 외경을 기준으로 3가지로 구분한 결과, 시기가 지남에 따라 대형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형태는 내경과 직경을 기준으로 대롱형, 둥근형, 도넛형으로 구분되며 둥근형이 대표적이다. 늘린기법으로 제작된 유리구슬 단면은 열처리 정도에 3가지 유형이 확인된다. 구슬 양끝이 모두 열처리된 HT-III형이 주류이고 다른 유형에 비하여 열처리 기술이 높은 단계로 추정된다. 비파괴분석에서 확인되는 화학 조성은 포타쉬유리군 63점과 소다유리군 9점이다. 고찰 결과, 금관가야 유리구슬은 색상, 크기, 형태, 제작기법을 포함한 외형적 특징은 화학 조성과 상관성을 보이며 시기별, 지역별에 따른 특징이 나타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al attributes and heat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the Gimhae area, which is the location of Geumgwan Gaya. This enabled classification of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bead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color, size, and shape. The glas...

주제어

참고문헌 (10)

  1. Daesong-dong Tombs Museum, 2013, Gimhae Daesong-dong Tombs No. 73-83, Museum Academic Collection Vol. 13. (in Korea abstract) 

  2. Gimhae National Museum, 2012, A Glimpse of Gaya in Yangdong-ri, Gimha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Gimhae National Museum, 2019, Glass Artifacts from Gaya Sites I, Gimha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Gimhae National Museum, 2020, Glass Artifacts from Gaya Sites II, Gimha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enderson, J., 2013, Ancient glass an interdisciplinary exploration. University of Nottingh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n English) 

  6. Kim, E.A., 2019, A characteristics on the glass bead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Seokchon-dong in Seoul, Korea. Master's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61-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E.A., Kim, G.H., Kang, J.W. and Yun C.S., 2020, A characteristics on the ancient glass beads excavated from the site of Hapgang-ri in Sejong,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6(5), 405-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G.H., 2002, A study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ancient glass found in Korea.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31-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G.H., Huh, W.Y. and Kim, D.W., 1998, SEM-EDS microanalysis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Yangdong-ri Remains, Kimha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7(1), 23-30. 

  10. Kim, N.Y., 2013, An investiga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 on alkali glass beads at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Ph.D.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209-2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