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단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성능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Certification System of Inspection and Diagnostic Equipment for Infrastructure using Advanced Technologie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7 no.1 = no.51, 2021년, pp.97 - 111  

홍성호 (Future Strategy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  김정곤 (Department of Research Planning, Disaster Research Management Center) ,  조재용 (Future Strategy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  김도형 (Department of Research,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김정렬 (Departmen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김영민 (Korea Authority of Land & Infrastructure Safety) ,  이동욱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 시행으로 시설물관리가 강화되면서 다양한 시설물 진단장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양한 융합장비에 대한 시장요구에 맞춰 합리적인 수준의 인증제품 공급하기 위한 인증제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진단장비에 대한 인증체계 도입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기존 국내 유사인증제도에 대한 상세분석 및 비교를 통하여 인증제도의 기본적인 요소와 체계 및 절차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카탈로그방식, 최소성능기준(표본조사, 전수조사)에 대하여 진단장비 개발자(제조자), 발주자, 장비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결과 발주자는 최소성능기준 전수조사 방식을 선호하였으며, 장비사용자 역시 최소성능 전수조사 방식과 표본조사를 거의 비슷한 비율로 선호하였다. 반면, 장비개발자는 카탈로그방식을 선호하였다. 결론: 진단장비의 사용자 입장인 발주자와 사용자는 품질에 대한 신뢰가 중요하므로 최소성능기준제시를 선호하였다. 반면, 개발자(제조자)는 다양한 제품의 개발에 규제가 되므로 자기인증방식인 카탈로그방식을 선호하였다. 현재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소성능기준 방식의 도입에 필요한 최소성능기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구체적인 최소성능기준 마련에도 상당한 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므로 무리하게 인증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국내 시설물진단 및 검정장비 시장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카탈로그 방식을 중심으로 일정기간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향후 필요에 따라서 최소성능기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면 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는 범위에서 인증 제도를 확대 및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infrastructures diagnosis equipment will be needed as infrastructures management is strengthened to implement the Framework Act on Sustainable Infrastructure Management. It is necessary for a certification system to supply certified products of a reasonable level...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1)

  1. Cho, J.Y. (2018). Analysis of Japanese Construction Production System and Implication. RICON. 

  2. Hong, S.H., Kim, J.G., Cho, J.Y., Kim, T.H. (2020). "A study on the necessity of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of inspection and diagnostic equipment for infrastructure using advanced technologies."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1, pp. 163-177. 

  3. Kim, J.G. (2020). Investigation of Safety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KOSHA Report. 

  4. Korean Standard and Certification, https://standard.go.kr/KSCI/portalindex.do 

  5. Lee, Y.H., Bae, S.J., Jung, W., Cho, J.Y., Hong, S.H., Nam, W.S., Kim, Y.M. (2020).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facility inspection and diagnostic technologies."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1, pp. 178-191. 

  6. Mizutani, T. (2019). "Automatic big data construction of road surface and underground information by camera, laser and radar data analysis." Seisan Kenkyu, Vol. 71, No. 4, pp. 859-863. 

  7. MOLIT (2019). Public hearing material : Sustainable infrastructure management, 2019.12. 

  8. NEDO, https://www.nedo.go.jp/ 

  9. Nitta, K. (2016). "Promotion of introducing japanese advanced technologies for social infrastructures management by the japanese government: ICT and next generation robots." Journal of The Society of Instrument and Control Engineers, Vol. 55, No. 6, pp. 470-476. 

  10. Ohta, K. (2020). "Policy responses to deteriorat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Focusing on road facilities." IATSS Review, Vol. 44, No. 3, pp. 160-169. 

  11. Yamashita, J., Kimura S., Kawamura, H. (2019). "Maintenance management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utilizing 3D point cloud."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85 No. 3, pp. 228-23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