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연결을 고려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Considering Social Connec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4 no.3, 2021년, pp.157 - 174  

김정원 (신탄진초등학교) ,  김유경 (도이초등학교) ,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 학기 동안의 3학년 수학 수업에서 해당 교실의 사회적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 및 관계를 바탕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탐색 결과, 학기 초반에는 전반적인 사회적 규범의 형성과 함께 생산적인 수학 학습을 위한 여러 가지 기본적인 사회적 구조를 형성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학기 중반에는 수학 개념에 대한 이해에 중점을 둔 탐구가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상호작용에서도 모르는 것을 정확하게 질문하고 무엇을 명확히 설명해야 하는지 인식하였다. 학기 후반에는 수학적 탐구와 더불어 학생들의 개별 성향을 더욱 고려하고 수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지적 용기, 정직, 배려, 협력 등의 학문적 인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에서 수학적 연결뿐만 아니라 사회적 연결을 충분히 고려하여 보다 의미 있는 수학 수업을 구현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social structure in a third-grade mathematics classroom for one semester and explored learning processes based on various soci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In the early phase of the semester, main foci were place...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3)

  1. Kang, S. M. & Kim, M. K. (2014). Constructing norm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2), 207-234. 

  2.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supplement 8] 

  3. Kim, D. W. (2010). Current state and prospect of research about mathematics instruction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0(2), 121-143. 

  4. Kim, Y. (2013).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conne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6(3), 601-620. 

  5. Kim, Y. & Pang, J. (2017).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sent seven year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0(1), 19-36. 

  6. Pang, J. & Kim, J. (2013). An analysis of 5 practices for effective mathematics communi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17(1), 143-164. 

  7. Seo, K. W. (2013). Teaching, how to look? searching for child's eyes. Seoul: Kyoyookbook. 

  8. S. W. J. (2012). Learning Community. Seoul: Hainaim. 

  9. Lee, H. K., Lee, K. H., Lee, S. K., Cheong, J. C., Kang, S. W., Yu, T-H. et al. (2007). Teaching, meeting with criticism. Seoul: Urikyoyuk 

  10. Jo. Y. H. (2015). Field research and action research. Anthropology of education, 18(4), 1-49. 

  11. Cho, W. G. & Oh, Y. (2010). An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s by teacher's role in mathematics classroom.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4(1), 1-22. 

  12. Apriliyanto, B. & Saputro, D. R. S. (2018). Student's social interaction in mathematics learning.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983, 1-6. 

  13. Ball, D. L. (1993). With an eye on the mathematical horizon: Dilemmas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73-397. 

  14. Bingolbali, E. & Coskun, M. (2016). A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for enhancing the use of making connections skill in mathematics teaching. Education and Science, 41(183), 233-249. 

  15. Engle, R. A. & Conant, F. R. (2002). Guiding principles for fostering productive disciplinary engagement: Explaining an emergent argument in a community of learners classroom. Cognition and Instruction, 20(4), 399-483. 

  16. Lampert, M. (2001). Teaching problems and the problems of teaching.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방정숙, 권민성 역(2016). 가르치는 것은 왜 그렇게 어려울까? 서울:경문사. 

  17.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18. Nuhrenborger, M. & Steinbring, H. (2009). Forms of mathematical interaction in different social settings: Examples from students', teachers' and teacher-students' communication about mathematic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2(2), 111-132. 

  19. Sfard, A. & Kieran, C. (2001) Cognition as communication: Rethinking learning by talking through multifaceted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Mind, Culture, and Activity, 8(1), 42-76. 

  20. Smith, M. S. & Stein, M. K. (2018).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2nd ed.). Reston, VA: NCTM. 

  21. Steffe, L. P. & Tzur, R. (1994). Interaction and children's mathematics. J 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8(2), 99-116. 

  22. Stein, M. K., Grover, B. W., & Henningsen, M. (1996). Building student capacity for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used in reform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2(2), 455-488. 

  23. Voigt, J. (2013). Negotiation of mathematical meaning in classroom processes: Social interaction and learning mathematics. In L. P. Steffe, P. Nesher, P. Cobb, G. A. Goldin, B. Greer (Eds.), Theories of mathematical learning (pp. 33-62).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