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환경 정도관리제도 운영에 대한 고찰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 QA/QC (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6 no.3, 2021년, pp.185 - 200  

박미옥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질처) ,  박준건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질처) ,  김성길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질처) ,  김성수 (해양환경공단 해양환경조사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환경 정도관리제도는 자료의 신뢰성 확보와 측정·분석기관의 분석능력 향상을 위해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시행부터 2020년까지 측정·분석기관이 정도관리제도에 참여한 누적 건수는 총 266건, 해양수산부에서 인증서를 발급한 건수는 182건, 현재까지 유효한 인증서는 42건이다. 정도관리 숙련도 평가를 위한 표준물질은 3개 분야에서 32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해양환경측정망 운영, 해양오염영향조사, 해역이용영향평가, 해양심층수조사 및 어장환경조사 사업 등에서 주로 분석하는 영양염, 화학적산소요구량, 미량금속 등의 항목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반면, 대부분의 사업에서 분석하는 해수의 수온, 염분 및 해저퇴적물PCBs, PAHs 등은 정도관리가 시행되고 있지 않아서 이 항목들에 대한 정도관리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현장 평가는 ISO/IEC 17025에 의해 평가 받은 실험실(162건)을 대상으로 품질시스템 평가 및 미흡사항을 분석하였다. 경영 및 기술요건에서는 직원들의 업무분장 미흡이 약 4.2%, 직원 교육 미흡이 약 8.7%로 취약하게 나타났다. 시험분야별로는 표준물질관리 미흡이 약 6.3%, 초자기구 세척 상태 등이 약 5.4%로 지적되었다. 미흡한 부분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여 제도를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rine Environment QA/QC management system has been operated since 2010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data and improve the analysis capabilities of measurement and analysis institutions. From 2010 to 2020, the cumulative number of measurement and analysis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e QA/QC ma...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7)

  1. Hwang, J.Y., J.W. Choi, Y.J. Huh, S.Y. Hong, S.Y. Lee, M.J. Kim, S.H. Go, J.J. Lee, H.W. Park, H.R. Lee, J.H. Kim, S.A Jeon, K.R. Lee, H.M. Chung and S.H. Choe, 2019. A study on the on-site assessment results of environmental testing laboratories. Journal of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22(4): 179-187. 

  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0. Standard methods of marine environment in Korea. Notification No. 2010-491. 

  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and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KOEM), 2020. Report on marine environment QA/QC (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 management system. 

  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1998. Standard methods of marine environment in Korea. Notification No. 1998-4. 

  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8. Marine environmental standards. Notification No. 2018-10. 

  6.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20. Standard methods of marine environment in Korea. Notification No. 2020-143. 

  7.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1985. Guidelines for investigating marine pollution and red tide, 279 p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