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자생식물로 조성한 해외 한국정원 연구 -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
A Study of the Overseas-Constructed Korean Garden using Native Pl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 The Case Study of 'Das Dritte Land (The Third Nature)'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4, 2021년, pp.1 - 14  

서자유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독일 베를린에 조성된 예술정원 작품인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한반도 자생식물을 이용한 해외에 정원을 조성하는 기법을 고찰한 연구이다. 한국의 정원 작가들이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고, 한국정원의 세계화를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정원가가 활동력을 넓혀갈 수 있는 현실적인 정보를 공유하고, 한반도 자생식물의 활용과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은 베를린 장벽 붕괴 30주년을 기념하는 기획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인왕제색도를 모티브로 우리나라의 산수화적 풍경을 구현하고자 백두대간의 지리적 형태를 검은 기암괴석으로 재현하고, 한반도의 자생화를 베를린으로 가져가 정원을 조성했다. 분단 이후 통합될 수 없는 한반도에 생물군들이 어우러져 만개하는 초현실적 바이오톱(biotope) 유토피아(utopia)이다. 본 연구는 남과 북의 화합과 어우러짐의 상징 주체인 한반도의 자생화를 대상으로, 식물 조사 분석, 운반 및 안정화, 식재계획, 조성, 모니터링의 일련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한반도 자생식물이 해외의 정원에서 해석되는 의미는 한반도의 생태계를 하나로 묶는 메시지로 작용하였다. 독일의 분단 경계지에서 한반도의 어린식물이 뿌리내리고 꽃을 피우고 씨앗이 번져가는 과정은 한반도 통일의 염원을 은유적으로 전달한다. 정원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예술 프로그램들은 남북의 문화적인 대화와 소통의 기반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해외에 정원을 조성하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식물 연구 기관의 협조가 식물의 이송과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과 한국정원가의 해외 진출은 우리나라 정원 문화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techniques of creating gardens overseas using native pl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the case of 'Das Dritte Land', an art garden created in Berlin, Germany. While Korean garden artists are recognized worldwide and are planning to globalize Korean gardens, the p...

주제어

참고문헌 (23)

  1. Choi, D. R., J. G. Kim, H. R. Kim, H. K. Che, H. C. Park, S. R. Lee, J. H. Choi, S. M. Moon, I. S. Kim, J. W. Choi, and K. R. Choi(2018) Baekdusan Medicinal Plant. Pyeongyang: Medical Science Publishing House. 

  2. Davis, M.(1996) The Politics of Philosophy: A Commentary on Aristotle's Politics. Lanham, MD:Rowman & Littlefie. 

  3. Hwang, M. A.(2014) A Study on the Design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Built in Oversea. Ph.D.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4. Jung, B. H. and J. M. Choi(2021) A study of the tendency of planting design of designer's gardens in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9(1): 70-82. 

  5. Jung, I. H.(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gram for the Tradition of Korean Garden in the Foreign Cities.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6. Kim, J. C.(2020) A study on styles of and changing attitude towards Korean private gardens.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15(2): 51-66. 

  7. Kim, T. J.(1993) Hundreds of Our Flowers We Really Need to Know. Huunam-sa. 

  8. Korea Landscape Architecture Association and Korea Forest Service(2015) Study of Current Korean Traditional Garde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lan Status Overseas. Research Report to Korea Forest Service. 

  9. Kwon, J. W., E. Y. Park, P. H. Hong and M. H. Hwag(2013) Suggestions on the types of the distribution of gardens for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Jourm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106-113. 

  10. Lim, R. J.(2000) Chosun Plant Color Encyclopedia. Pyeongyang: Scientific Encyclopedia Publishers. 

  11. Ministry of Environment(2018) List of National Species of Animals in North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Data Collection. 

  12. Park, E. Y.(2011) A study on the artistry of objects presented in gardens : Focused on the Chelsea flower show 2010.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2(2): 215-223. 

  13. Park, E. Y., S. J. Yoon, K. P. Hon and M. H. Hwang(2013) Current state of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problems aspects in overseas countrie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75-82. 

  14. Shin, H. D.(2015) A study of the implemented Korean traditional garden design elements on Tashkent Seou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5): 40-54. 

  15. Shon, K. H.(2012) Presentation of checklists for selection of herbaceous plants in garden design.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5(1):47-60. 

  16. UNESCO(2003) Biodiversity of Mt. Kumgang. Pyeongyang: DPR Korea. 

  17. Yoon, S. J.(2009) A study of the trends on garden design appeared at the Chelsea flower show.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48: 99-117. 

  18. Yoon, Y. J.(2018) A foreign visitors recognition with respect to Koreaness of 'Seoul Garden' in Berlin, German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6(1): 67-77. 

  19. http://www.nature.go.kr/ 

  20. http://www.tongtong.go.kr 

  21. https://www.qia.go.kr 

  22. http://www.latimes.kr/ 

  23. http://www.lak.c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