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역할 갈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Gender Sensitivity, the Gender Role Confli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2 no.3, 2021년, pp.41 - 54  

우정희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유승연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degree of gender sensitivity, gender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During Jan. 19 to Feb. 5 in 2021,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187 nursing students b...

주제어

참고문헌 (33)

  1. 김나정. (2020). 전문상담교사의 성인지감수성이 인지공감능력을 매개로 상담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2. 김성현외 6명. (2019).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이 위력 성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 18(4), 3-36. 

  3. 김양희, 정경아. (1999). 한국형 남녀평등의식 검사 개발 (연구보고서 v.250-4).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4. 김지현. (2008). 여성성역할갈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9(4), 1-22. 

  5. 김지현. (2009). 여자대학생의 여성성역할, 여성성역할갈등과 진로결정 간 관계에서의 의사결정의존성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0(3), 239-256. 

  6. 대한간호협회. (2020.11.23.). 카드뉴스 - 숫자로 보는 간호사2. http://www.koreanurse.or.kr/board/board_read.php?board_idcardnews&member_id& no11&find& search &position2에서 인출. 

  7. 리루이. (2019). 한.중 대학생 '젠더감수성' 비교[석사학위논문]. 대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8. 안은성, 추수경. (2011).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17(1), 14-21. 

  9. 염은이, 서금숙. (2016).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간호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794-804. 

  10. 유주연. (2019). 성인 초기 남녀의 성차별 메타-인식 유형별 성역할 갈등, 이성과의 거리감, 성차별 논쟁에 대한 지지도의 차이[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1. 유재원. (2019). 대학생의 젠더감수성과 데이트폭력 가해동기의 관계에서 스포츠 참여의 조절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12.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2005). 간호전문직관측정도구 개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13. 이수연, 김인순, 김지현. (2011).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 개발 (연구보고서 v.11).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4. 이시라. (2011).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수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15. 이중근, 김중경. (2020). 남자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9), 170-177. 

  16. 이진영. (2011). 젠더감수성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7. 장태경. (2014).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18. 조영미, 이주연. (2020). 간호대학생들의 성지식 및 피임태도와 성인지 감수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8(9), 221-228. 

  19. 전연안. (2016). 성인 초기 여성 직장인의 성역할갈등과 관계적 공격성 간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 전해옥, 염은이. (2014).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학업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12), 796-807. 

  21. 정재원, 이은아. (2018). 대학생 성인지 감수성 향상을 위한 젠더 트레이닝:여성학 교양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2(5), 11-35. 

  22. 정추영, 서영숙, 강복희, 조은하. (2019).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7(1), 1248-1256. 

  23. 주경숙, 김경미, 이진표. (2020). 대학생의 사회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6), 213-229. 

  24. 황은희, 신수진. (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1), 97-108. 

  25. 황하만, 김명자. (2017).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3(1), 32-41. 

  26. 허영미. (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7. Betty, E. (2019, 2020 July 14). The male nurse: Benefits and percentages of men in nursing. https://www.snhu.edu/about-us/newsroom/2019/05/male-nurse에서 인출 

  28. Chen GM, Starosta WJ. (200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Human Communication, 3, 1-15. 

  29. Fisher MJ. (2009). 'Being a Chameleon': labour processes of male nurses performing body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12), 2668-2677. 

  30. Halime. CA, Toine. LM, Widdershoven. AM, Tineke. AA. (2011). Bringing gender sensitivity into healthcare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4(2), 143-149. 

  31. O'Neil JM, Helms BJ, Gable RK, David L, Wrightsman LS. (1986). Gender-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Sex Roles, 14, 335-350. 

  32. O'Neil JM. (2013). Gender Role Conflict Research 30 Years Later: An Evidence-Based Diagnostic Schema to Assess Boys and Men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91(4), 490-498. 

  33. Wies D, Schank MJ. (2009).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Nurses Professional Values Scale-Revised.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7(3), 221-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