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당방위 유형, 신문기사의 정당방위 인정비율, 판단자 개인 특성이 정당방위 판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Defense Categories, Rate of Self-Defense recognition in News Article,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ock Jurors on the Self-Defense Judgment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법, v.12 no.2, 2021년, pp.171 - 197  

김용애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  김민지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일반인이 정당방위를 어떻게 판단하고 있으며 판단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정당방위 판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정당방위 유형, 정당방위에 대한 기사, 판단자 개인 특성인 폭력 허용도, 법적 태도로 나누어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총 65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참가자들은 정당방위가 주장되는 상황을 유형화하여 작성된 세 유형 중 하나의 유형에 할당되고, 각 유형에 해당하는 정당방위 관련 기사와 시나리오를 제공받은 후 정당방위 판단을 하였다. 또한, 개인적 요소인 법에 대해 가지는 태도, 폭력 허용도가 측정된 후 정당방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을 위한 정당방위 유형에서는 정당방위를 인정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국가기관에 대항하는 정당방위 유형에서는 정당방위를 불인정하는 비율이 훨씬 높은 반대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당방위에 대한 기사 중 정당방위가 잘 인정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기사가 정당방위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참가자 개인의 폭력 허용도, 법적 태도가 정당방위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일반인들의 정당방위 판단 과정과 정당방위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반 요소들은 실제 배심 재판에서의 편향적인 판단을 방지하기 위한 고려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how the lay people judge self-defense and what factors could affect it. A total of 651 participants aged 20 years and over were asked to answer, attitude toward interpersonal violence, and legal attitude questionnaire, all divided by the type of se...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60)

  1. 공영호 (2016). 판사와 배심원의 결정에 있어서 휴리스틱 사고방식의 배제방안. 홍익법학, 17(3), 451-473. 

  2. 김경락 (2014). 위법성조각사유로서의 소극적 방어행위의 인정여부. 중앙법학, 16(4), 83-117. 

  3. 김상준, 이진만, 신숙희, 장철익 (2010). 법관의 의사결정 이론과 실무. 사법발전재단. 

  4. 김성천 (1993). 정당방위와 법문화. 형사법연구, 6, 96-119. 

  5. 김슬기 (2017). 정당방위의 '상당성'에 대한 고찰. 원광법학, 33(2), 27-43. 

  6. 김예정, 김득성 (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1): 가해자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10), 27-42. 

  7. 김재엽. (1998). 가정폭력의 태도와 행동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 87-114. 

  8. 김준호, 김선애 (1991). 한국인의 폭력에 대한 태도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1-219 

  9. 김준호 (2016). 형법 제 21 조 "방위하기 위한 행위"의 판단에 관한 연구. 법학논집, 21(1), 197-222. 

  10. 김병수 (2012). 싸움에 있어서 정당방위의 확대. 형사법연구, 24(4), 47-75. 

  11. 김병수 (2014). 정당방위의 확대와 대처방안. 형사정책연구, 25(4), 45-68. 

  12. 김재엽 (1998). 가정폭력의 태도와 행동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 87-114. 

  13. 김효숙 (2010). 기업 관련 기사 유형별 공중반응의 차이 세 가지 종류의 관여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4(4), 5-35. 

  14. 김태명 (2000). 정당방위의 상당성 요건에 대한 해석론. 형사법연구, 14, 137-160. 

  15. 김태명 (2008). 우리나라에서의 정당방위에 대한 역사적 고찰. 동북아법연구, 2(1), 329-363. 

  16. 박상기 (2009). 형법총론(제11판), 박영사. 

  17. 박순진 (1998). 범죄자와 피해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살인과 폭행·상해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15-205. 

  18. 박정난 (2018). 이른바 '절도범 뇌사 사건'판결에 비추어 본 정당방위·과잉방위에 관한 비판적 고찰-대법원 2016. 5. 12. 선고 2016 도 2794 판결 (원심 판결: 서울고등법원 2016. 1. 29. 선고 2015 노 11 판결)-. 일감법학, 41, 287-315. 

  19. 성유리, 박광배 (2012).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 개인/집단주의 가치관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3), 1-12. 

  20. 성유리, 김종한, 박광배 (2013).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에 대한 법문화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7(2), 69-83. 

  21. 성유리, 박광배 (2018). 일반인의 정당방위 판단:한국, 일본, 미국 법문화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법, 9(2), 101-116. 

  22. 안서원 (2000). 의사결정의 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3. 양천수 (2019). 법문화와 정당방위-판례의 정당방위 해석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서강법률논총, 8(2), 25-50. 

  24. 이원상 (2015). 정당방위의 성립에 대한 비판적 고찰-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 2014고단444 판결을 대상으로, 비교형사법연구 17(2), 177. 

  25. 이재상, 장영민, 강동범 (2017). 형법총론(제9판), 박영사. 

  26. 장희숙, 조현각 (2001). 대학생 이성교제폭력의 실태와 위험요인들. 한국가족복지학, 8, 179-204 

  27. 정현미 (2000). 싸움과 정당방위. 법학논집, 5(1), 167-182. 

  28. 최석윤 (2010). 정당방위의 근본사상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259-280 

  29. 최인섭, 이순래, 노성호, 박순진, 박형민 (2005). 한국인의 갈등해소방식: 폭력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0. 하민경 (2018). 대법원 판결과 사회 변화.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8. 

  31. 하민경, 서용성, 김성화 (2019). 각국의 정당방위 판단기준과 국민의 법의식.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9. 

  32. 하민경 (2020). 국민참여재판사건을 통해 본 정당방위 판단기준 분석. 

  33. 홍진표 (2017). 배심원 설명서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7. 

  34. 황정익 (2009). 공무집행방해죄에 있어서 정당방위이론 남용의 문제점. 경찰학논총, 4(1), 91-122. 

  35. Anderson, C. A., Benjamin Jr, A. J., Wood, P. K., & Bonacci, A. M. (2006).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Velicer attitudes toward violence scale: Evidence for a four factor model. Aggressive Behavior.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Research on Aggression, 32(2), 122-136. doi:10.1002/ab.20112 

  36. Anderson, C. B. (2012). Inside Jurors' Minds: The Hierarchy of Juror Decision-Making. Wolters Kluwer Law & Business. 

  37. Anglin, S. M. (2019). Do beliefs yield to evidence? Examining belief perseverance vs. change in response to congruent empirical finding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82, 176-199. 

  38. Boehm, V. R. (1968). Mr. Prejudice, Miss Sympathy, and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An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measuring techniques to the problem of jury bias. Wis. L. Rev., 734. 

  39. Carlo, G. (2006). Care-based and altruistically-based morality. In M. Killen & J. G. Smetana(Eds.), Handbook of moral development (pp. 551-579). Mahwah, NJ: Erlbaum. 

  40. Carlo, G., Eisenberg, N., & Knight, G. P. (1992). Anobjective measure of adolescents' prosocial moral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2, 331-349. 

  41. Clark, R. D., & Word, L. E. (1974). Where is the apathetic bystander?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merg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9(3), 279-287. 

  42. Couch, J. V., & Sundre, D. L. (2001). Legal Attitudes Scale: A Factor Analytic Study. North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3(2). 

  43. Cowan, C. L., Thompson, W. C., & Ellsworth, P. C. (1984). The effects of death qualification on jurors' predisposition to convict and on the quality of deliberation. Law and Human Behavior, 8, 53-79. 

  44. Dennis, E. E., & Merrill, J. (1996). Journalism as a profession. Media debates: issues in mass communication. White Plain, New York: Longman. 

  45. Forrest, B. (1993). How We Know What Isn't So: The Fallibility of Human Reason in Everyday Life. Teaching Philosophy, 16(2), 185-187. 

  46. Kahneman, D. (2011). Thinking, fast and slow. Macmillan. 

  47. Meffert, M. F., Chung, S., Joiner, A. J., Waks, L., & Garst, J. (2006). The effects of negativity and motivated information processing during a political campaign. Journal of Communication, 56(1), 27-51. 

  48. Moran, G., & Comfort, J. C. (1982). Scientific juror selection: Sex as a moderator of demographic and personality predictors of impaneled felony juror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5), 1052. 

  49. Narby, D. J., Cutler, B. L., & Moran, G. (1993). A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authoritarianism and jurors' perceptions of defendant culpabil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1), 34. 

  50. O'Keefe, M. (1997).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4), 546-568. doi:10.1177/088626097012004005 

  51. Ross, S. J., & Morera, O. F. (2016). Comparing legal attitudes of Anglo-and Latino-Americans: Confirm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Legal Attitudes Questionnaire. Journal of Ethnicity in Criminal Justice, 14(3), 195-212. 

  52. Rozin, P., & Royzman, E. B. (2001). Negativity bias, negativity dominance, and contag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5(4), 296-320. 

  53. Ruva, C. L. (2010). How pretrial publicity affects juror decision making and memory. Nova Science Publishers, Incorporated. 

  54. Sales, B. D., & Krauss, D. A. (2015). The psychology of law: Human behavior, legal institutions, and law.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5. Smith, L. L., & Bull, R. (2012). Identifying and measuring juror pre-trial bias for forensic evidenc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orensic Evidence Evaluation Bias Scale. Psychology, Crime & Law, 18(9), 797-815. 

  56. Snyder, M., & Swann, W. B. (1978). Hypothesis-testing processes in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11), 1202. 

  57. Tewksbury, D., Jones, J., Peske, M., Raymond, A., & Vig, W. (2000). The interaction of news and advocate frames: Manipulating audience perceptions of a local public policy issue. Journalism & Mas Communication Quarterly, 77, 804-829. 

  58. Tontodonato, P., & Crew, B. K. (1992). Dating violence, social learning theory, and gender: A multivariate analysis. Violence and Victims, 7(1), 3-14. 

  59. Tversky, A., & Kahneman, D. (1974).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science, 185(4157), 1124-1131. 

  60. Valkenburg, P., Semetko, H., & DeVreese, C. (1999). The effects of news frames on readers' thoughts and recall. Communication Research, 26, 550-5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