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300 숨긴정보검사에서 BAD 방법과 BCD 방법의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BAD and the BCD methods in a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법, v.12 no.2, 2021년, pp.151 - 169  

엄진섭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300 숨긴정보검사에서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은 부트스트랩 진폭차이(BAD) 방법과 부트스트랩 상관차이(BCD) 방법이다. 두 방법의 정확판단율을 비교한 선행연구들은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일부의 연구들에서 BAD 방법이 BCD 방법보다 더 정확하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BCD 방법이 BAD 방법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BAD 방법의 정확도가 더 높은 조건과 BCD 방법의 정확도가 더 높은 조건을 확인하는 것이다. 몬테 카를로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BAD 방법의 오경보율이 BCD 방법의 오경보율보다 더 높았으며, BAD 방법의 적중률이 BCD 방법의 적중률보다 더 높았다.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의 P300 잠재시간이 비슷한 경우에 비교하여 관련자극의 P300 잠재시간이 약 100ms 빠른 경우에는 BCD 방법의 적중률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약 100ms 느린 경우에는 BCD 방법의 적중률이 증가하였다. 관련자극의 P300 진폭이 무관련자극의 P300 진폭보다 약간 더 크면서 관련자극의 P300 잠재시간이 목표자극의 P300 잠재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BCD 방법의 적중률이 BAD 방법의 적중률보다 더 높았다. BAD 방법의 오경보율이 높은 이유와 BCD 방법의 적중률이 관련자극의 P300 잠재시간에 영향을 받는 이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most commonly used methods to detect whether a subject is lying are the bootstrapped amplitude difference (BAD) and the bootstrap correlation difference (BCD). Previous studies comparing the accuracy of the two methods reported inconsistent results. Most...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30)

  1. 김혜민, 송인욱, 장은희, 김현택 (2020). 설문기반 대응방안을 사용한 복합시행 프로토콜의 재평가. 한국심리학지: 법, 11(1), 89-115. 

  2. 송인욱, 김혜민, 이경은, 장은희, 김현택 (2018). P300-CIT 부트스트랩 분석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법, 9(2), 75-99. 

  3. 엄진섭, 박광배 (2014). P300 숨긴정보검사에서 시행수가 검사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3), 61-79. 

  4. 엄진섭, 손진훈, 박미숙 (2020). P300 숨긴정보 검사에서 t 검증이 부트스트랩 방법보다 덜 민감한가?. 한국심리학회지: 법, 11(1), 21-36. 

  5. 엄진섭, 전하정 (2021). P300 숨긴정보검사에 사용되는 부트스트랩 방법의 표본 크기.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3(3), 133-141. 

  6. 전하정, 손진훈, 엄진섭 (2020). P300 숨긴정보 검사에서 순열 검증의 정확도.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1), 69-83. 

  7. 정은경, 김영윤 (2013). P300-기반 유죄지식검사의 탐지정확률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5(1), 75-92. 

  8. Ahad, N. A., Abdullah, S., & Lai, C. H. (2012). Relative power performance of t-test and bootstrap procedure for two-sample. Pertanika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20(1), 43-52. 

  9. Allen, J. J., & Iacono, W. G. (1997). A comparison of methods for the analysis of event potentials in deception detection. Psychophysiology, 34(2), 234-240. 

  10. Alsufyani, A. (2017, August). A comparison of classification algorithms for Event Related Potentials. In 2017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Applications and Information Proces ing Technology (CAIPT) (pp. 1-5). IEEE. 

  11. Cohen, J., & Polich, J. (1997). On the number of trials needed for P300.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25(3), 249-255. 

  12. Dwivedi, A. K., Mallawaarachchi, I., & Alvarado, L. A. (2017). Analysis of small sample size studies using nonparametric bootstrap test with pooled resampling method. Statistics in Medicine, 36(14), 2187-2205. 

  13. Farwell, L. A. & Donchin, E. (1991). The truth will out: Interrogative polygraphy ("lie detection") with event-related Potentials. Psychophysiology, 28(5), 531-547. 

  14. Farwell, L. A., Richardson, D. C., & Richardson, G. M. (2013). Brain fingerprinting field studies comparing P300-MERMER and P300 brainwave responses in the detection of concealed information. Cognitive Neurodynamics, 7(4), 263-299. 

  15. Farwell, L. A., Richardson, D. C., Richardson, G. M., & Furedy, J. J. (2014). Brain fingerprinting classification concealed information test detects US Navy military medical information with P300. Frontiers in neuroscience, 8, 410. 

  16. Janssen, A., & Pauls, T. (2005). A Monte Carlo comparison of studentized bootstrap and permutation tests for heteroscedastic twosample problems. Computational Statistics, 20(3), 369-383. 

  17. Johnson, R. (1993). On the neural generators of the P300 component of the event-related potential. Psychophysiology, 30(1), 90-97. 

  18. Konietschke, F., & Pauly, M. (2014). Bootstrapping and permuting paired t-test type statistics. Statistics and Computing, 24(3), 283-296. 

  19. Luck, S. J. (2014). An introduction to the event-related potential technique. MIT press. 

  20. Meixner, J. B., & Rosenfeld, J. P. (2011). A mock terrorism application of the P300 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Psychophysiology, 48(2), 149-154. 

  21. Mertens, R. & Allen, J. J. (2008). The role of psychophysiology in forensic assessments: Deception detection, ERPs, and virtual reality mock crime scenarios. Psychophysiology, 45(2), 286-298. 

  22. Polich, J. (2007). Updating P300: an integrative theory of P3a and P3b. Clinical neurophysiology, 118(10), 2128-2148. 

  23. Rosenfeld, J. P. (2005). Brain fingerprinting: A critical analysis. The Scientific Review of Mental Health Practice, 4(1), 20-37. 

  24. Rosenfeld, J. P. (2011). P300 in detecting concealed information. In B. Verschuere, G. Ben-Shakhar, & E. Meijer (Eds.), Memory detection: Theory and application of the concealed information test (pp. 63-89).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Rosenfeld, J. P., Hu, X., & Pederson, K. (2012). Deception awareness improves P300-based deception detection in concealed information test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86(1), 114-121. 

  26. Rosenfeld, J. P., Labkovsky, E., Winogard, M., Lui, M. A., Vandenboom, C., & Chedid, E. (2008). The complex trial protocol(CTP): A new, countermeasure-resistant, accurate, P300-based method for detection of concealed information. Psychophysiology, 45(6), 906-919. 

  27. Rosenfeld, J. P., Soskins, M., Bosh, G., & Ryan, A. (2004). Simple, effective countermeasures to P300 based tests of detection of concealed information. Psychophysiology, 41(2), 205-219. 

  28. Semlitsch, H. V., Anderer, P., Schuster, P., & Presslich, O. (1986). A solution for reliable and valid reduction of ocular artifacts, applied to the P300 ERP. Psychophysiology, 23(6), 695-703. 

  29. Soskins, M., Rosenfeld, J. P., & Niendam, T. (2001). Peak-to-peak measurement of P300 recorded at 0.3 Hz high pass filter settings in intraindividual diagnosis: complex vs. simple paradigm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40(2), 173-180. 

  30. Yeung, N., Bogacz, R., Holroyd, C. B., & Cohen, J. D. (2004). Detection of synchronized oscillations in the electroencephalogram: an evaluation of methods. Psychophysiology, 41(6), 822-8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