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이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How Do University Students Appreciate the Influence of Science on Life?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5 no.2, 2021년, pp.187 - 200  

이승은 (대구고등학교) ,  박다혜 (대구운암초등학교) ,  박종석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학생들이 어떤 과학적 경험을 하고 이러한 과학적 경험이 학생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함으로써 과학 교육과정의 목표가 의도한 바대로 달성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과학사의 이해'를 수강하는 문과 계열 학생 81명, 이과계열 학생 125명에게 '과학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에세이를 쓰게 하고, 과학 전문가들의 세미나를 통해 분류 기준을 수립하여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친 과학적 경험과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과학 관련 영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수업, 도서, 첨단기술/과학기기가 학생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 과학적 경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경험을 형식 학습과 비형식 학습으로 분류 한 결과, 대부분의 경험이 비형식 과학학습으로 나타났다. 학번에 따라 과학적 경험을 분류한 결과 높은 학번(7차 교육과정만 이수한 학생)에 비해 낮은 학번 학생(2007이나 2009 교육과정도 경험한 학생)들이 영상, 첨단기술/과학 기기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반대로 높은 학번의 학생들은 수업과 도서/글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그러한 과학적 경험을 통해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조사한 결과, 그들의 일상 생활에 영향(삶의 질 개선, 진로, 지식의 확장)을 받거나 과학에 대한 인식(과학에 대한 긍정적 정서, 흥미 발현, 과학의 양면성 인식)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적 경험과 그 영향력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생들이 삶에 가장 영향을 준 경험으로 꼽은 영상이 일상 생활과 과학에 고르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서의 경험은 진로나 지식 확장이 아닌 과학에 대한 긍정적 정서 발현(20회)과 과학에 대한 흥미 향상(17회)에 집중되어 있다. 과학적 경험이 미친 영향을 문·이과 계열별로 분류해서 확인해 본 결과 이과계열 학생들이 문과계열 학생들에 비해 과학적 경험을 통해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다양한 과학적 경험을 통해 삶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이는 학교에서의 형식 과학학습보다 비형식 과학학습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며 수업은 학생들의 삶을 변화시키는데까지 이르는 경우는 많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학생들은 과학교육 목표 중 '호기심과 흥미'의 측면은 충족하고 있으나 '문제 해결' 같은 상위 목표에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따라서 '문제 해결, 과학적 소양 발현'이라는 과학교육의 목표와 연관된 비형식 과학적 경험을 수업에 도입해야 하며, 학생들이 선호하는 비형식 과학학습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tudents' meaningful scientific experiences and to ascerta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experience led to learning. The subjects of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Science'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on the subject of 'Effects of science on my life' to 81 stud...

주제어

참고문헌 (25)

  1. Ahn, K., & Park, W. (2009). Effect of participation in science fairs on perceptio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inquiry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3), 304-312. 

  2. Baek, S., Noh, S., & Kim, B. (2011).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ognition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3), 737-755. 

  3. Bell, P., Lewenstein, B., Shouse, A. W., & Feder, M. A.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People, places, and pursui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4. Creswell, J. W. (2007). Qualitatve inquiry & research design (2th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m Inc. 

  5. Gang, H., Gong, Y., Kwon, H., Kim, J., Bae, J., Song, M., Shin, Y., Yang, I., Yoon, H., Lee, D., Lee, M., Im, C., Im, H., Jang, S., Jun, Y., & Chae, D. (2007). Introduction to primary science education.. Gyeonggi; Kyoyookbook. 

  6. Jang, E. (2018). Trend analysis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Focus on educational perspectiv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2(3), 293-307. 

  7. Jeong, H., & Shin, D. (2018).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xhibitions in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key competencies and the 3rd-6th grade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7(4), 352-362. 

  8. Jeong, E., & Son, J. (2021). Analysis of the users' viewing characteristics of YouTube video cont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5(1), 118-128. 

  9. Kim, M., Kang, D., & Lee, H. (2021). Analyzing storytelling represented in educational convergence content of science museums' YouTube videos.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9(3), 11-25. 

  10. Kim, C., Shin, M., & Lee, S. (2010). Understanding informal science learning. Seoul: Bookshill. 

  11. Kwon, J., Kim, K., Oh, M., Lee, M., Lee, S., & Choi, Y. (2010). Introduction to education. Seoul: Hakjisa. 

  12. Kwon, J., Kim, C., Seo, J., Lee, S., Lee, J., & Jang, S. (2008). Introduction to education. Seoul: Taeyoung. 

  13. McLeod, J., & Kilpatrick, K. M. (2001). Exploring science at the museum. Educational Leadership, 58(7), 59-63. 

  14. Ministry of Education [MOE]. (1997).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Notice No.1997-15). Seoul: Author. 

  1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Notice No. 2015-74) Sejong: Author. 

  16.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Notice No.2011-361). Seoul: Author. 

  17.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Notice No.2007-79). Seoul: Author. Retrieved from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_policycom2&artId1376823 

  18. Moon, J., & Hong, S. (2013). Making science documentary: On the role of experts in the production of "Light" by EBS.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13(1), 145-180. 

  19.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2012).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Retrieved May 5, 2018, from http://www.nsta.org/about/positions/informal.aspx 

  20. Park, S., Kwon, S., Kim, M., Kim, Y., Kim, I., Kim, J., Park, J., Song, J., Lee, M., Jang, B., & Jung, B. (2000). Physics education research. Gyeonggi: Kyoyookbook. 

  21. Rennie, L. J., Feher, E., Dierking, L. D., & Falk, J. H. (2003) Toward an agenda for advancing research on science learning in out-of-school set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112-120. 

  22. Ryu, M., & Kim, J. (2020). A study on the direction of outreach ocean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ocean environmental education objectiv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3(1), 1-16. 

  23. Shin, S., Ha, M., & Lee. J. (2020). Images of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demonstration represented in new media contents: Focusing on simulacra and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0(1), 13-28. 

  24. Shon, H. (2020). A study on development of a convergent teaching metho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y: Focusing on the use of YouTube contents based on platform media. Korea Institute of Exhibition Industry convergence. 38(3), 117-128. 

  25. Wellington, J. (1994). Using informal learning to enrich science education. Routledge, 284-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