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도시노인이 복지관을 이용하는가?
Who Attends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C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9, 2021년, pp.516 - 527  

박경순 (연세대학교 고령화융복합연구센터) ,  박영란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인복지관은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 욕구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사회 노인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고령화 및 베이비부머의 고령층 진입으로 인해 노인들은 동일한 욕구를 가진 단일한 집단이 아닌 다양성을 가진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수요자 관점에서 노인들이 복지관을 이용하는 요인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도시지역 노인의 복지관 이용 요인을 확인한 결과, 성별, 나이, 학력, 직업, 경제상태, 사회계층, 친구 수, 사회활동 참여 수, 질환 수, 우울감이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남성보다 여성이, 나이가 많을수록, 고학력자가, 직업이 없는 노인이, 경제상태가 나쁜 노인이, 낮은 사회계층에 속하는 노인이, 친구가 많을수록, 참여하는 사회활동이 많을수록, 질환이 많을수록, 우울감이 높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할 확률이 높아졌다. 학력수준이 높은, 친구가 많은, 사회참여에 적극적인 노인들과 나이가 많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건강상태가 나쁜 노인 등 이질적인 노인집단이 복지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entry of baby boomers into the elderly, the elderly are recognized as a group with diversity rather than a single group with the same nee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grasp the factors that the elderly use welf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선행연구에서 소득수준은 노인의 복지관 이용 결정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다만 본 자료의 소득변수에 결측 자료가 많아 가구의 경제상태, 자신이 인식하는 사회계층, 직업 유무를 대체변수로 사용하였다. 직업유무는 무급가족종사자를 포함하여 일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이분형 척도로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독립변인에는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의 복지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인구사회·경제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 사회적 관계 요인 등이 포함되었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는 성별, 나이, 혼인상태, 학력, 동거 가족 수가 포함되었다. 경제적 요인에는 직업 유무, 경제 상태, 사회 계층이 포함되었다.
  •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복지관 이용으로 현재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복지관은 노인종합복지관과 종합사회복지관을 포함하였다. 일반적으로 복지관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주 5일 9시부터 6 시까지 운영한다.
  • 본 연구의 독립변인에는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의 복지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인구사회·경제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 사회적 관계 요인 등이 포함되었다
  •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복지관 이용으로 현재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복지관은 노인종합복지관과 종합사회복지관을 포함하였다.
  • 사회활동 참여 수는 노인회 행사, 이웃돕기 활동, 종교단체 활동, 친목·사교 단체활동, 취미(여가) 활동, 지역단체 활동,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등의 활동에 참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 다만 본 자료의 소득변수에 결측 자료가 많아 가구의 경제상태, 자신이 인식하는 사회계층, 직업 유무를 대체변수로 사용하였다. 직업유무는 무급가족종사자를 포함하여 일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이분형 척도로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는 도시노인의 복지관 이용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KSHAP 도시노인 1차년도조사에서 수집한 98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노인의 복지관 이용에는 성별, 나이, 학력, 직업, 경제상태, 사회계층, 친구 수, 사회활동 참여 수, 진단받은 질환 수, 우울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데이터처리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시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복지관 이용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와 복지관 이용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다. 또한 도시노인의 복지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이 항로지 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도시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복지관 이용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와 복지관 이용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다. 또한 도시노인의 복지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이 항로지 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PASW ver.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시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복지관 이용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와 복지관 이용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보건복지부, 2020년 노인복지시설 현황, 2021. 

  2. 보건복지부, 2021년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2021. 

  3. 정경희, 오영화, 이윤경, 오미애, 강은나, 김경래,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이석구, 홍송이,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4. 김정석, "노후생활에서의 성별 차이-경제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제26권, 제1호, pp.59-77, 2003. 

  5. 유성호, "노인복지관 이용실태에 대한 분석," 한국노년학, 제21권, 제2호, pp.191-208, 2001. 

  6. 신혜종, "소도시 노인종합복지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권, pp.201-221, 2008. 

  7. 원일, 김근홍, 김성현, "노인복지관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포시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8권, 제2호, pp.351-364, 2018. 

  8. 이소영, 윤지영, "노인의 복지관 이용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pp.322-338, 2018. 

  9. J. A. Krout, S. J. Cutler, and R. T. Coward, "Correlates of senior center participation: A national analysis," The Gerontologist, Vol.30, No.1, pp.72-79, 1990. 

  10. J. A. Krout, "Correlates of senior center utilization," Research on Aging, Vol.5, No.3, pp.339-352, 1983. 

  11. A. E. Schneider, N. Ralph, C. Olson, A. M. Flatley, and L. Thorpe, "Predictors of senior center use among older adults in New York City public housing," Journal of Urban Health, Vol.91, No.6, pp.1033-1047, 2014. 

  12. P. A. Ralston, "Determinants of senior center attendance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10, No.3, pp.258-273, 1991. 

  13. E. P. Sabin, "Frequency of senior center use: A preliminary test of two models of senior center participa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20, No.1-2, pp.97-114, 1993. 

  14. D. W. Lai, "Predictors of use of senior centers by elderly Chinese immigrants in Canada," Journal of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in Social Work, Vol.15, No.1-2, pp.97-121, 2006. 

  15. R. J. Calsyn, and J. P. Winter, "Who attends senior centers?,"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Vol.26, No.2, pp.53-69, 2000. 

  16. L. Keyes, Q. Li, B. Collins, and S. Rivera-Torres, "Senior Center Service Utilization: Do Social Ties Affect Participation Patterns?,"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pp.1-8, 2020. 

  17. H. Boen, O. S. Dalgard, R. Johansen, and E. Nord, "Socio-demographic, psychosocial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Norwegian senior centre users: a cross-sectional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38, No.5, pp.508-517, 2010. 

  18. T. R. Fitzpatrick, J. McCabe, R. Gitelson, and K. Andereck, "Factors that influence perceived social and health benefits of attendance at senior centers," Activities, Adaptation & Aging, Vol.30, No.1, pp.23-45, 2006. 

  19. S. H. YOO and C. S. KIM, "Factors affecting the frequency of senior center participation in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social work and development, Vol.15, No.1, pp.63-73, 2005. 

  20. 허선영, 윤민석, "노인복지관 이용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앤더슨 모형의 적용," 노인복지연구, 제64권, pp.165-186, 2014. 

  21. J. M. Lee, W. J. Lee, H. C. Kim, W. Choi, J. Lee, K. Sung, S. H. Chu, Y. R. Park, and Y. Youm, "Th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health examination cohort," Epidemiology and health, Vol.36, 2014. 

  22. Y. Youm, E. O. Laumann, K. F. Ferraro, L. J. Waite, H. C. Kim, Y. R. Park, S. H. Chu, W. Joo, and J. A. Lee, "Social network properties and self-rated health in later life: comparisons from th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and the national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 BMC geriatrics, Vol.14, No.1, p.102, 2014. 

  23.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1호, pp.59-76, 2001. 

  24. 여유진, "한국의 노인빈곤과 노후소득보장,"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364권, pp.1-8, 2019. 

  25. S. H. Yoo, "Predictors of senior center attendance in Korea: findings from a National Analysis,"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Vol.41, No.4, pp.530-544, 2015. 

  26. 임효연, 이순민, "노인의 여가활동욕구와 심리사회적 노화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96-107, 2016. 

  27. 최장원, "노년기 경제적 스트레스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발적 봉사활동 동기, 연령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117-131,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