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자생테러 대응을 위한 원-스톱 감시 및 추적 시스템 설계
An Architecture of One-Stop Monitor and Tracking System for Respond to Domestic 'Lone Wolf' Terrorism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21 no.2, 2021년, pp.89 - 96  

엄정호 (대전대학교 군사학과&안보융합학과) ,  심세현 (대전대학교 안보융합학과) ,  박광기 (대전대학교 정치외교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미국과 유럽 내에서는 자생테러로 인한 테러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미국 내에서는 아시안을 겨낭한 '묻지마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렇게 배후 조직이 없거나 조직화된 형태가 아닌 독자적으로 테러를 감행하는 자생적 테러는 전 세계적으로 사회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가정책으로 인한 피해 등으로 인해 국가/사회 불만이 폭증하는 계층, 망상적 정신 질환자 등이 잠재적 자생 테러리스트로 분류할 수 있다. 자생테러는 조직적인 테러와 다르게 테러 징후를 사전에 식별하기 힘들고 테러 도구와 테러 대상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자생테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독자적인 감시 및 추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잠재적 자생테러의 이상 행동 징후를 식별할 수 있는 기관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이상 행동의 연속성을 감시하며, 이러한 연속적인 행동이 자생테러로 발생할 수 있는 유형을 판단하고 감시 및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fear of terrorism due to 'Lone Wolf' terrorism is spreading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lone wolf terrorism, which carries out terrorism independently, without an organization behind it, threatens social security around the world. In Korea, those who have explosive nati...

주제어

참고문헌 (19)

  1. https://news.joins.com/article/24016171, "전주 스토커 자폭테러의 전말" (검색일: 2021.05.30.). 

  2. https://www.chosun.com, "사제폭탄 손에 쥐고 '쾅', 겁 없는 스토커 징역 5년', (검색일: 2021.05.30.). 

  3. https://www.betanews.net/article/1266761, '불법 수입 부품이용 권.소총 제조.판매한 일당 덜미', (검색일: 2021.06.01.). 

  4.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0601/107209394/1, '공포의 총기난사 美 고스트건 한국서도 유통', (검색일: 2021.06.01.). 

  5. https://namu.wiki/w/신은미%20토크%20콘서트%20테러사건, '신은미 토크 콘서트 테러사건', (검색일: 2021.05.30.). 

  6. 박주희, "한국의 폭발물 테러 위협 증가에 따른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7. https://namu.wiki/w/연세대학교%20기계공학과%20사제폭탄%20폭발%20사건,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사제폭탄 폭발 사건', (검색일: 2021.05.30.). 

  8. https://namu.wiki/w/진주%20아파트%20방화.흉기난동%20살인%20사건, '진주 아파트 방화.흉기난동 살인 사건', (검색일: 2021.05.30.). 

  9. 유형창, "한국의 다문화 사회화에 따른 자생적 테러발생 가능성과 대응방안", 한국경찰학회보, 16(3), pp.49-72, 2014. 

  10. 윤봉한, 이상진, 임종인, "국내에서의 외로운 늑대(Lone Wolf) 테러리스트 발생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0(4), pp.127-150, 2015. 

  11. 신용도, 조홍제, "외로운 늑대형의 국내테러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보 11(3), pp.49~64, 2018. 

  12. 정육상, "외로운 늑대 테러의 발생 가능성과 경찰의 대응방안", 한국경찰학회보 15(5), pp.33-35, 2016. 

  13. 양철호, "경찰의 국내 자생테러 대응 방안 연구", 치안정책연구 32(2), pp.153-180, 2018. 

  14. 신그림, "테러의 변화양상을 반영한 테러 개념의 재정의", 가천법학 13(3), pp.101-134, 2020. 

  15. 김태훈, 정주호, "극단주의 테러 동화현상에 관한 연구: 사이버매체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8(1), pp.101-121, 2021. 

  16. 신상철, "국내 자생테러 생성요인 분석", 한국테러학회보 13(1), pp.167-192, 2020. 

  17. 심세현, 엄정호,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테러에 악용되는 첨단 정보통신기술",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7(1), pp.15-23, 2021. 

  18. 심세현, 임창호, 엄정호, "정책 제안: 국내 자생테러 대응을 위한 경찰의 실시간 감시 및 추적체계 구축(안)", 경찰청 정책 제안 보고서, 2021. 

  19. 박상욱 외 9명, "지능형 CCTV 기반 동적 범죄예측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5(2), pp.17-27,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