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E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모바일 기반의 설계VE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obile-Based Design Value Engineering(VE) Supporting System for VE Process Improvement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1 no.5, 2021년, pp.433 - 443  

송창영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WANGJU University) ,  양병수 (Korea Institute of Disaster & Safe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설계VE는 정확한 기능분석 및 대안창출을 통해 최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적 노력으로써, 설계VE 수행절차에 따라 해당분야 전문가집단이 모여 VE워크샵을 반드시 특정 장소에서 일정기간 내에 수행해야 한다. 설계 VE는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로 구성하고, 각 단계별로 다양한 운용기법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기능평가, 성능평가, 아이디어평가 등을 정량적인 협의를 통해 이끌어낸다. VE팀원들은 약 3일~5일간 실시되는 워크샵 기간을 정하고 특정 장소를 지정하여 VE검토대상에 대한 가치창출의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VE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최상의 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모든 과정을 특정한 일정 이내에 한정된 장소에서 해결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VE 워크샵의 경우 설계VE 필요성을 간과하여 워크샵을 단기간 내에 진행하고 있어서, VE팀원은 제한된 시간 내에 모든 설계VE 프로세스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설계VE 지원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VE팀원의 효율적인 설계VE 업무를 지원하도록 모바일 환경기반의 설계VE 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설계VE 지원 체계는 VE 워크샵 이전부터 설계도서 및 VE관련 자료를 선검토 하고, 설계VE 워크샵 일정에서 결정한 기능평가 또는 아이디어 평가결과를 워크샵 이후에도 편리하게 재수정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lue Engineering(VE) is an organized effort to create the most value through a functional analysis and creation of alternatives. Depending on the VE job plan, a VE Workshop must be performed in a certain plac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 VE Workshop, which is an organized activity that aims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6)

  1. Park HT, Park CS, Jung W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ve process using ve idea-databank system.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4 Jan;15(1).:28-10. https://doi.org/10.6106/KJCEM.2014.15.1.028 

  2. Kim SY, Yang JK. Proces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for construction ve object selection of performance-oriented.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2 Jul;13(4):25-32. https://doi.org/10.6106/KJCEM.2012.13.4.025 

  3. Lim JG, Kim SH, LEE MJ. Development of web-based VE supporting system for effective workshop.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4 Mar;15(2):71-8. https://doi.org/10.6106/KJCEM.2014.15.2.071 

  4. Kim SY, Lee YR, Yang JK.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 of gfi-based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5 May;16(3):3-10. https://doi.org/10.6106/KJCEM.2015.16.3.003 

  5. Kim HG, Park YT. Efficient problem-solving idea generation in the design phase VE of construction projects using business creativity codes(BCC).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6 Aug;16(4):367-79. https://doi.org/10.5345/JKIBC.2016.16.4.367 

  6. Johnston J. Job Plan [Internet]. Washington D.C.(SE): U.S. Department of Transpo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7 Jun 27. Available from: https://www.fhwa.dot.gov/ve/vejob.cf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