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 노동의 질적 차이를 반영한 감귤 생산 노동투입 효율성 비교 분석 -시장 임금차이를 기준으로-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Labor Efficiency between Quality-Adjusted Labor and Quality-Unadjusted Labor in Jeju Mandarin Production -Based on the Difference in Market Wage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8 no.3, 2021년, pp.153 - 165  

이봉실 (제주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  유영봉 (제주대학교 산업응용경제학과, 대학원 농업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oduction elasticity based on the types of agricultural labor input regarding its qualitative difference in Jeju mandarin production. To estimate the production function of qualityadjusted labor, we have set up a Quality-Adjusted Index based on the marke...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7)

  1. 강혜정. (2008). 여성농업인 역할에 대한 기회비용 분석. 농촌경제, 31(6), 63-77. 

  2. 강혜정, & 권오상. (2005). 농업가족노동의 잠재임금 추정. 농업경제연구, 46(4), 143-165. 

  3. 김정섭. (2015). 농업노동력 실태와 노동시장 정책의 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22(2), 145-158. doi: 10.12653/jecd.2015.22.2.0145 

  4. 김찬수. (2003). 한국농업생산의 탄력성, 기술변화 및 총 요소생산성의 분석.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권오상, 반경훈, & 윤지원. (2015). 한국농업 KLAM자료의 구축과 생산성 변화 요인 분석. 농업경제연구, 56(3), 69-97. 

  6. 농촌진흥청. (2001-2019). 농축산물소득자료집. 전주: 농촌진흥청. 

  7. 반경훈, & 권오상. (2016). 한국 농업의 지역별 생산성 격차와 메타프론티어 생산함수 추정. 농업경제연구, 57(4), 1-36. 

  8. 반성환. (1977). 농업노동생산성과 노임. 농업경제연구, 19, 1-14. 

  9. 반성환. (1974). 한국농업의 성장 (1918-71).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10. 유영봉. (2016). 한국농업의 노동투입량 추계와 노동생산성 계측: 스톡, 플로우 및 산업간 비교분석. 농업경제연구, 57(4), 83-107. 

  11. 윤호섭, & 박동규. (1994). 농업노동력 현황과 육성방향. 농업경제연구, 35(2), 69-83. 

  12. 이희준. (1990). 한국농업의 농업생산함수와 기술진보의 계측.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제주연구원. (2017). 제주지역농업 고용노동 현황 및 정책방향. 제주연구원 정책이슈브리프, 273, 1-6. 

  14. 최윤지, 김경미, 이진영, & 강경화. (2006). 농업인 부부의 노동시간 구조변화: 1964-2005. 농촌지도와 개발, 13(2), 287-298. 

  15. 통계청. (2010).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조사.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J54&conn_pathI3(2020.3.15.) 

  16. 통계청. (2005). 농림어업총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NJ201&conn_pathI3(2021.8.14.) 

  17. 통계청. (2019). 농림어업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A1040&conn_pathI3(2021.8.14.) 

  18. 황수철, & 유리나. (2014). 한국농업의 총요소생산성 추계와 분석(1955~2012년). 농업경영.정책연구, 41(4), 701-721. 

  19. El-Osta, H. S., & Ahearn, M. C. (1996). Estimating the opportunity cost of unpaid farm labor for US farm operators. USDA, Washington, TB number 1848. 

  20. Fall, M., & Magnac, T. (2004). How valuableIs on-farm work to farmers? American Journa of Agricultural Economics, 86(1), 267-281. doi: 10.1111/j.0092-5853.2004.00577.x 

  21. Jacoby, H. G. (1993). Shadow wages and peasant family labour supply: An econometric application to the Peruvian Sierra.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60(4), 903-921. doi: 10.2307/2298105 

  22. Keeney, M. J. (2010). A quality adjusted measure of labour services for Ireland. The Economic and Social Review, 41(2), 149. 

  23. Lopez, R. E. (1984). Estimating labor supply and production decisions of self-employed farm producers. European Economic Review, 24(1), 61-82. doi: 10.1016/0014-2921(84)90013-8 

  24. OECD. (2001). Measuring productivity-OECD manual: Measurement of aggregate and industry-level productivity growth.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5. Picazo-Tadeo, A. J., & Reig-Martinez, E. (2005). Calculating shadow wages for family labour in agriculture: An analysis for Spanish citrus fruit farms. Cahiers d'Economie et de Sociologie Rurales, 75, 5-21. 

  26. Sharma, B. P. (2013). Measuring the price of labour in agricultural economies: The shadow wage rate. Economic Journal of Development Issues, 15&16(1-2), 24-35. doi: 10.3126/ejdi.v15i1-2.11860 

  27. Skoufias, E. (1994). Using shadow wages to estimate labor supply of agricultural household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6(2), 215-227. doi: 10.2307/124362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