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골재 및 석재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A Study on Induced effect of Aggregate and Stone Sector with Input-Output Table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4 no.5, 2021년, pp.573 - 580  

김지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북방지질자원전략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골재 및 석재부문의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골재 및 석재부문의 부가가치에 관해 정리하였으며, 이어 중간투입구조와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부가가치구조 측면에서 골재 및 석재는 제조업에 비해 높은 피용자보수율을 보였으며, 영업잉여에 대해서도 그 외 광업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중간투입구조는 골재 및 석재 생산품을 중간투입물로 이용하는 부문과 그 투입비율을 정리하였는데, 골재 및 석재의 배분구조와 산업부문에서 골재 및 석재를 투입하는 구조를 정리하였으며, 레미콘, 콘크리트 제품 등 주요 수요자의 중간요소 투입구조 중 비중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골재 및 석재의 최대 수요자인 레미콘의 주요 투입부문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골재 및 석재의 생산유발효과는 2015년 기준으로 0.774의 값을 보인 감응도계수에 비해 0.984의 값을 보인 영향력계수가 전체 산업에서 높은 순위를 보여 상대적으로 후방연쇄효과를 크게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연관표를 재구성하여 생산유발 효과를 검토하였는데, 한국은행의 기본부문분류에 따른 도출결과와 유사하게 영향력계수 측면에서 상대적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induced effects of the aggregate and stone sectors using the industry association table. First, the added value of the aggregate and stone sectors was summarized, and then the intermediate input structure and induced effect were analyzed. In terms of value-added structure, ag...

주제어

참고문헌 (5)

  1. Bank of Korea (2019) 2015 Input-Output Statistics, BOK webpage, http://ecos.bok.or.kr/ 

  2. Choi, J.H. and Kim, J.W. (2021) Estimation of Economic Inducement Effect of Urban Mining Upon Applying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Technology. Jour.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v.58, p.300-306. doi: 10.32390/ksmer.2021.58.4.300 

  3. Hong, S.S. and Lee, J.Y. (2021) Analysis of Domestic Aggregate Production of Korea in 2019 (II) - by Local Governments. Econ. Environ. Geol., v.54, p.427-439. doi: 10.9719/EEG.2021.54.4.427 

  4. Kim, J.W., Lee, K.H. and Kim. Y.K. (2014) A Study on Estimation of Economic Effects on Mining Products Import Substitution Using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Econ. Environ. Geol., v.47, p.237-246. doi: 10.9719/EEG.2014.47.3.237 

  5. Kim, J.W, and Kim. Y.K. (2021) Induced Effect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Generations in Korea. Sustainability, v.13, 4404. doi: 10.3390/su130844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