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도한 치아 마모와 과개교합을 보이는 환자에서 최소한의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increasing minimum vertical dimension in the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nd deep bite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9 no.4, 2021년, pp.431 - 441  

이강신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박주미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안승근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서재민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한창희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이정진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하게 마모된 치아를 가진 환자에서 수직교합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보철수복이 계획 될 수 있다. 하지만 치아가 심하게 마모되더라도 치조돌기가 보상 성장하여 환자의 수직 고경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서 수직고경을 변화시켜야 한다면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목표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 거상을 선택해야 한다. 본 증례에서 환자는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저작 시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마모가 심한 하악 전치부의 심미적 개선을 원하였다. 수직고경 감소의 평가 및 적절한 수직고경 결정을 위해 안모계측, 임상적 치관 길이 평가, 교합안정공극 측정, 측방 두부계측방사선사진 분석 등을 시행하였고, 체계적인 진단과 평가를 거쳐 보철 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 최소한의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구강회복술을 시행하였다. 중심위에서 안정적인 교합 접촉 및 조화로운 전방, 측방 유도 부여를 통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can be used for patients with severely worn teeth. In severely worn teeth also, the alveolar process can be elongated to compensate for the reduced vertical dimension, and the patient's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can be kept constant....

주제어

참고문헌 (27)

  1. The Glossary of Prosthodontic Terms: Ninth Edition. J Prosthet Dent 2017;117:e1-105. 

  2.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3. Briggs P, Bishop K. Fixed prostheses in the treatment of tooth wear. Eur J Prosthodont Restor Dent 1997;5:175-80. 

  4. Hemmings KW, Darbar UR, Vaughan S. Tooth wear treated with direct composite restorations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results at 30 months. J Prosthet Dent 2000;83:287-93. 

  5. Murphy T. Compensatory mechanisms in facial height adjustment to functional tooth attrition. Aust Dent J 1959;5:312-23. 

  6. Berry DC, Poole DF. Attrition: possible mechanisms of compensation. J Oral Rehabil 1976;3:201-6. 

  7.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St. Louis; Mosby Elsevier; 2007. p. 114-23. 

  8.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 Cosmos 1935;77:851-4. 

  9. Silverman MM. The speaking method in measuring vertical dimension. 1952. J Prosthet Dent 2001;85:427-31. 

  10. Hull CA, Junghans JA. A cephalometric approach to establishing the facial vertical dimension. J Prosthet Dent 1968;20:37-42. 

  11. Rebibo M, Darmouni L, Jouvin J, Orthelieb J.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The keys to decision. Inter J Stomat Occ Med 2009;2:147-59. 

  12. Abduo J. Safety of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 systematic review. Quintessence Int 2012;43:369-80. 

  13. Dahl BL, Krogstad O. Long-term observations of an increased occlusal face height obtained by a combined orthodontic/prosthetic approach. J Oral Rehabil 1985;12:173-6. 

  14. Gross MD, Ormianer Z.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crease on mandibular postural rest position. Int J Prosthodont 1994;7:216-26. 

  15. Ormianer Z, Gross M. A 2-year follow-up of mandibular posture following an increase i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beyond the clinical rest position with fixed restorations. J Oral Rehabil 1998;25:877-83. 

  16.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17. The Council of professor of dental universities. Textbook of orthodontics. 3rd ed. Seoul; Daehan-Narae Publishing; 2006. p. 109, 172-88. 

  18. Song JW, Leesungbok R, Park SJ, Chang SH, Ahn SJ, Lee SW. Analysis of crown size and morphology, and gingival shape in the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in Korean young adults. J Adv Prosthodont 2017;9:315-20. 

  19. Park JH, Jeon YC, Lim JS. A study on the occlusal plane and the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with natural denti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5;43:41-51. 

  20. Orthlieb JD, Laurent M, Laplanche O. Cephalometric estimation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J Oral Rehabil 2000;27:802-7. 

  21. Carlsson GE, Ingervall B, Kocak G. Effect of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n the masticatory system in subjects with natural teeth. J Prosthet Dent 1979;41:284-9. 

  22. Kwon JS, Jung DW, Kim S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uxism. J Dent Rehab Appl Sci 2012;28:87-101. 

  23. Grippo JO, Simring M, Schreiner S. Attrition, abrasion, corrosion and abfraction revisited: a new perspective on tooth surface lesions. J Am Dent Assoc 2004;135:1109-18. 

  24. Donachie MA, Walls AW. The tooth wear index: a flawed epidemiological tool in an ageing population group.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6;24:152-8. 

  25. Schuyler C. Problems associated with opening the bite which would contraindicate it as a common procedure. J Am Dent Assoc 1939;26:734-40. 

  26. Tench RW. Dangers in reconstructing involving increase of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lower third of the human face. J Am Dent Assoc 1938;25:566-70. 

  27. Carlsson GE, Ingervall B, Kocak G. Effect of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on the masticatory system in subjects with natural teeth. J Prosthet Dent 1979;41:28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