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익산 제석사지 폐기유적 벽체 및 기와의 피열특성
Scientific Analysis of Firing Characteristics for Walls and Rooftiles Excavated from Jeseoksa Dump-site, Iksan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7 no.5, 2021년, pp.567 - 578  

안경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이민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본 연구는 제석사지 폐기유적에서 출토된 벽체 및 기와 편 21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소성 온도를 추정함으로써 문헌 기록상으로 확인되는 화재로 인한 피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기와는 수비된 재료를 사용하였고, 벽체는 층위에 따라 서로 다른 입도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과소성된 시료의 경우, 일반적인 기와나 벽체와 달리 단면에 블로팅(bloating) 현상과 함께 고르지 못한 표면을 가지며, 일부분이 검게 그을린 것을 보아 일정한 소성 환경에서 제어된 상태로 고른 소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성온도 추정 결과, 과소성되지 않은 기와는 900℃ 이하의 소성온도를 가졌으나 과소성된 시료는 1000℃ 이상의 열을 받았던 것으로 보이며, 당시 기와의 제작 온도보다 고온으로 소성되었음 보여준다. 또한, 불량품기와는 제작 당시 소성이나 성형 과정에서 불량품이 된 것으로 보이지만 과소성된 기와의 경우에 온전한 기와 형태를 가지면서 과피열 양상을 보여 화재로 인한 피열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을 때, 익산 제석사지 폐기유적은 기록상 존재하는 화재로 인해 폐기된 건축 부재를 보관하던 장소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21 wall fragments and rooftile pieces excavated from Jeseoksa Dump-site were analyzed, and the possibility of heat exposure, such as the fi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was investigated by estimating the firing temperature. From the results, it was e...

주제어

참고문헌 (11)

  1.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9, Report on the Excavation of Jeseoksa Dump-Site III. 12-239. 

  2. Choi, M.R., Shin, S.J. and Lee, D.M., 1996, Archeology and natural science-earthenware ed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traditional rooftile and traditional tile, 98-156. (in Korean) 

  4. Han, M.S., 2006, Scientific provenance study for Goryeo celadon excavated from seabed, Ph.D.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58-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an, M.S. and Lee, J.J., 2020, Scientific comparis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ring and making materials for sherds excavated from Celadon Kiln site of Punggil-ri, Jangheung,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6(2), 112-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ang, S.Y., Lee, C.H. and Park. D.S., 2008, Archaeometric characteristics of roof tiles in Baekje Kingdom from the Danjiri site of Gongju,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2, 15-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R.H., 2009, Reproduction experiments, archaeometric interpret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Joseon potteries from the Yogam Relic sites in Ssangyong-dong, Cheonan, Korea. Master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57-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S.K., Han, M.S., Moon, E.J., Kim, Y.H., Hwang, J.J., and Lee, H.H., 2010,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variation of reproduced potteries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and firing temperatur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3), 311-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Moon, H.S. and Lee, G.K., 1996, On the raw material and firing temperature of roof tile, tile, and pot from Kwangju Moonheungdong site, Hanguk Kogo-Hakbo, 34, 161-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Park, Y.W., 1972, A Study on Pottery Cultural Properties Roof Tiles, A Study on the Scientific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83-113. (in Korean) 

  11. Piero, M. and Patizia, D., 2004, New developments in the study of ancient pottery by colour measurement,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1(6), 741-75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