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피복 자료의 해상도 차이가 CALPUFF 농도 모의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Spatial Resolution of Land-use/cover Data on the Simulation of CALPUFF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5 pt.3, 2021년, pp.1461 - 1473  

황수연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함정수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이영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최진무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지피복 자료의 공간 해상도가 미세먼지의 국지적 분포 및 확산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때 시공간적 지표상태 및 기상상태의 변화를 고려하는 CALPUFF 모델을 사용하여, 경기도 안양시의 평촌 신도시 지역에 대해, 미세먼지 모의를 진행하였다. 모델링입력 데이터로 20 m, 50 m, 100 m의 세 가지 해상도 토지피복도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20 m 해상도의 토지피복 자료를 사용했을 경우 모의 영역의 풍속은 가장 크게 모의 되었으며 PM10 농도는 가장 낮게 모의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세먼지의 국지적 분포 및 확산 양상에 토지피복 자료의 공간 해상도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CALPUFF 모의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CALPUFF를 사용하여 미세먼지를 모의할 때, 토지피복의 형태에 따른 공간 해상도에 대한 영향을 사전에 확인하고 모의를 진행하는 것이 더 정확한 결과를 확보할 수 있음을 제시해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how the level of resolution of land cover data affects on the local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fine dust. the CALPUFF model, which considers the spatio-temporal terrain conditions and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 was used to estimate PM10 concentration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의 국지적 분포 및 확산 양상에 토지피복 자료의 공간 해상도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토지피복 자료의 제작연도를 최신으로 변경한 후, 자료의 공간 해상도 차이가 대기 모의의 결과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토지피복 자료의 공간 해상도가 CALPUFF 의 미세먼지 확산 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토지피복 분류 항목에 따른 거칠기(Roughness height), 알베도(albedo), 보웬 비(bowen ratio) 등의 미기상 인자값의 차이로 인해, 각각의 토지피복 자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CALMET 기상자료 결과인 풍속(wind speed, m/s), 마찰 속도(fiction velocity, u*), 혼합고(mixing height, m) 등에 값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의 국지적 분포 및 확산 양상에 토지피복 자료의 공간 해상도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토지피복 자료의 제작연도를 최신으로 변경한 후, 자료의 공간 해상도 차이가 대기 모의의 결과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때, CALPUFF 모의를 통해 도출한 토지피복의 공간 해상도별 미세먼지 농도의 시간적 분포 패턴과 공간적 분포 패턴을 통한 미세먼지 확산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bdul-Wahab, S., K. Chan, L. Ahmadi, and A. Elkamel, 2014. Impact of geophysical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on the dispersion of NO 2 in Canada, Air Quality, Atmosphere & Health, 7(2): 113-129. 

  2. An, H.-Y., 2015. Comparison of CALPUFF and HYSPLIT model for atmospheric dispersion predictions of radioactive substa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ae, H.-J., 2009. Effect on the PM10 Concentration by Wind Velocity and Wind Dire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24(3): 28-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arabi, Y., S. Abdul-Wahab, G. Al-Rawas, M. Al-Wardy, and S. Fadlallah, 2018. Investigating the impact of monsoon season on the dispersion of pollutants emitted from vehicles: A case study of Salalah City, Sultanate of Oma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59: 108-120. 

  5. Choi, H.-J., H.-W. Lee, and K.-H. Sung, 2007. Air Quality Modeling of Ozon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oughness Length on the Complex Terrai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3(4): 430-4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i, J.-S. and S.-O. Baek, 1998. An Approach to Estimate Daily Maximum Mixing Height (DMMH) in Pohang, Osan, and Kwangju Areas - Analysis of 10 years data from 1983 to 1992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4(4): 379-3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Emery, C., E. Tai, and G. Yarwood, 2001. Enhanced Meteorological Model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Two Texas Ozone Episodes, Texa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Commission, Prepared by ENVI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Novato, CA, USA. 

  8. Hao, Y. and Xie, S., 2018. Optimal redistribution of an urban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using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and genetic algorithm, Atmospheric Environment, 177: 222-233. 

  9. Hwang, E.-J., 2007. A Study on assesment of its source contribution and estimation of emission for air pollutants in Cheongwon.Cheongju are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ensen, J.R., 2000. Remote Sensing of the Environment: An Earth Resource Perspective, Prentice Hall, Saddle River, NJ, USA. 

  11. Jeon, B.-G. and S.-H. Lee, 2015. A Impact Analysis of Air Quality by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Improvement on Point Source Pollution,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4): 2876-28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eon, K.-Y. and Y.-H. Kim, 2016. Study on Improvement to Accuracy of CALMET using a Surface Roughness Length of Land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6(4): 383-3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ung, W.-S. and W.-G. Do, 2012. An Analysis of the Temperature Change Effects of Restoring Urban Streams in Busa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1(8): 939-9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J.-S.,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odel for Urban Air Quality Improvement Planning in Accordance with the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Y., 2011. Comparison of Atmospheric Diffusion Models for MSW Incinerator Flue Ga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 K.-J., 2010.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CALMET & CALPUFF Models for Odor Modeling, Anyang University, Anyang,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won, B.-H. and H.-J. Yoon, 2000. Martitime Atmospheric Boundary Layer Observes By L-band Doppler rad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4(5): 977-9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C.-J. and M.-S. Hong, 2019.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Fine Particulat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5(6): 675-6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E.-J., M. Khan, and K.-H. Lim, 2016. Odor Modeling of trimethyl amine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54(2): 187-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G.-W. and J.-H. Yom, 2019.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PM10 Flow Pattern Using Gravity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7(6): 417-4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H.-W., H.-Y. Won, H.-J. Choi, K.-Y. Lee, and H.G. Kim, 2004. Numerical Simulation of Dispersion Fields of SO2 according to Atmospheric Flow Field to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in Complex Coastal Reg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4(3): 297-3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I.-H., Y.-G. Park, and S.-E. Lim, 2017. Causes and Reduction of Fine Dust (PM10) in Pocheon-si, Seoul Green Environment Center, Seoul,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S.-H., 2012. Comparisons of AERMOD and CALPUFF for Dispersion using Terrain effect,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im, Y.-K. and S.-N. Oh, W.-T. Yun, and Y.-S. Chun, 2000. A Study on the Simulation of three-dimensional Wind Field Considering Complex Terrain and Land Uses in the Region of Seoul,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6(2): 229-2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First planned city construction guide, https://www.molit.go.kr/USR/policyData/m_34681/dtl?id523, Accessed on Jun. 23, 2021. 

  26. Moon, N.-K., Y.-S. Lee, and Y.-H. Kim, 2005. The Application of Air Quality Models on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Moon, Y.-S. and Y.-S. Koo, 2006. A Study on Examples Applicable to Numerical Land Cover Map Data for Atmospheric Environment Field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 Real Time Calculation of Biogenic CO Flux and VOC Emission Due to a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getableand Analysis on Sensitivity of Air Temperature and Wind Field within MM5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5): 661-6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Oleniacz, R. and M. Rzeszutek, 2014. Determination of optimal spatial databases for the area of Poland to the calculation of air pollutant dispersion using the CALMET/CALPUFF model, Geomatic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8(2): 57-69. 

  29. Park, M.-S., 2019. Regional Associ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3): 1169-1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J.-H., 2008.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ethod for CALPUFF Model, Inha University, Incheo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Rzeszutek, M., 2019. Parame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he CALMET/CALPUFF model system in near-field and complex terrain - Terrain data, grid resolution and terrain adjustment method,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89: 31-46. 

  32. Scire, J.S., D.G. Strimaitis, and R.J. Yamartino, 2000a. A User's Guide for the CALPUFF Dispersion Model (Version 5), Earth Tech, Concord, MA, USA. 

  33. Scire, J.S., F.R. Robe, M.E. Fernau, and R.J. Yamartino, 2000b. A User's Guide for the CALMET Meteorological Model (Version 5), Earth Tech, Concord, MA, USA. 

  34. Tartakovsky, D., E. Stern, and D.M. Broday, 2016. Comparison of dry deposition estimates of AERMOD and CALPUFF from area sources in flat terrain, Atmospheric Environment, 142: 430-432. 

  35. Yang, K.-H., 2015. Prediction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the emission from MSW incineration facility by using CALPUFF model,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