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라마 생산자로서의 제작사 기획 프로듀서 연구
A Study on Role of Production Company Executive Producer as Drama Produc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286 - 308  

김미숙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랫동안 누구나 안방에서 즐길 수 있었던 드라마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한류 영향으로 가장 대중적인 문화콘텐츠로 탈바꿈했다. 이 연구는 1991년 외주제작 정책의 시행으로 드라마 생산과정에 등장한 TV 기획 프로듀서의 등장 배경과 역할과 정체성, 노동 경험에 대해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가까운 거리'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2000년대 중반 한류 열풍으로 급격하게 늘어난 드라마 제작 편수를 배경으로 드라마 제작과정에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며 새로운 드라마 생산 주체로 등장한 기획 프로듀서들은 '창작자는 아니지만 드라마 생산자'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작가와 감독을 선별하고 드라마 기획을 주도하면서 드라마를 제작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OTT의 등장과 인터넷 다시 보기 등 'TV 없는 드라마'가 일상화되어 전통적인 드라마 보기 방식이 무너지고 드라마 소비자의 정서적 취향이 까다로워지고 있는 환경에서, 작가와 감독 못지않은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드라마 제작을 주도하고 있는 TV 기획 프로듀서들은 탄탄한 기획력을 기반으로 자금력을 확보해 드라마 생산자들 사이의 새로운 권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a long time, dramas that everyone has enjoyed at home have become the most popular cultural content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f Hallyu.(Korean Wave) This stud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on the background, role, identit...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먼저 미디어 문화연구에서 생산 주체들 사이의 역학관계나 외부 제작 환경에 변화에 따른 생산 주체의 노동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문제의식과 연결 짓고자 한다. 또한 현재 한국 TV 드라마 기획 프로듀서 시스템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한국 영화 기획 프로듀서 시스템과 미국 TV 드라마 제작 시스템을 현재 한국 TV 기획 프로듀서 시스템과 비교하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려 한다. 이를 통해 현재 한국 TV 드라마 제작 현장에서 가시화되는 기획 프로듀서의 역할이 가지는 산업적, 제도적 맥락의 가치를 논의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기획 프로듀서의 역할 모델을 제안할 것이다.
  • 이 연구는 TV 드라마 제작 현장에서 포착되는 새로운 직업군 가운데 드라마 산업과 드라마 생산이 교차하는 TV 드라마 제작 현장에 2000년대 중반부터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한 제작사의 드라마 기획자, 기획 프로듀서의 등장과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새로운 직종의 등장은 산업의 확장이나 TV 드라마의 문화 예술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어느 일방의 필요에 의해서만은 아닐 것이다.
  • 새로운 직종의 등장은 산업의 확장이나 TV 드라마의 문화 예술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어느 일방의 필요에 의해서만은 아닐 것이다. 이 연구는 이전에 없던, 혹은 있더라도 별도의 타이틀이 필요할 만큼 존재감이 뚜렷하지 않았던 제작사 TV 드라마 기획 프로듀서의 등장 배경과 역할을 질문함으로 궁극적으로 제작 방식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생산 주체들의 역학관계, 달라진 TV 산업 구도 안에서 새롭게 정립되는 미디어 노동자들의 정체성, 그리고 이들 미디어 노동자들이 TV 드라마에 부여하는 문화 콘텐츠이자 상품으로서의 가치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노동렬, 방송 드라마 제작 산업의 공진과 과정과 인센티브 딜레마,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 H. Braverman, "Labor and monopoly capital: The degradation of work in the twentieth century," NYU Press, 1998. 

  3. 박진선, 김새봄,이헌율, "한국 드라마의 집필 시스템 변화 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6권, 제3호, pp.5-52, 2015. 

  4. 박지훈, 류경화, "국제시사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MBC 의 서구와 제 3세계 재현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8권, 제2호, pp.2-39, 2010. 

  5. J. T. Caldwell, Production culture : industrial reflexity and critical practice in flim and television, Durham, N.C : Duke University Press, 2008. 

  6. Mayer, V. Below, the line: Producers and production studies in the new television economy,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Books, 2011. 

  7. 윤석민, 장하용, "외주정책을 둘러싼 논쟁의 특성과 그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2호, pp.242-274, 2002. 

  8. 이오현,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KBS 의 인물선정과정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3권, 제2호, pp.117-156, 2005. 

  9. 김동원, "노동시장 양극화 해소가 급선무다," 노동법률, 통권231호, pp.32-35, 2010. 

  10. 김영찬, "미드 (미국 드라마)의 대중적 확산과 방송사 편성 담당자의 '문화 생산자' 그리고 '매개자'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 연구, 제19권, 제2호, pp.35-61, 2007. 

  11. 박진우, "유연성, 창의성, 불안정성: 미디어 노동 연구의 새로운 문제 설정,"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제19권, 제4호, pp.41-86, 2011. 

  12. 김현미, "문화 산업과 성별화된 노동: TV 방송 프로그램 여성 작가들의 사례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21권, 제2호, pp.69-103, 2005. 

  13. 나미수, "텔레비전 드라마의 생산자 연구: 생산 과정에 나타난 젠더의 문제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2호, pp.159-199, pp.69-101, 2011. 

  14. 이상길, 이정현, 김지현, "지상파 방송사 비정규직 노동자의 직무인식과 노동 경험: 파견직 FD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4권, 제2호, pp.158-205, 2013. 

  15. 김미숙, 홍지아, "TV드라마 작가 연구: 드라마 생산과정에서 겪는 타 생산자들과의 갈등과 타협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4호, pp.41-82, 2016. 

  16. 김미숙, 홍지아, "드라마 제작과정에서 벌어지는 생산자 사이의 갈등연구: 두 편의 드라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6권, pp.7-41, 2017. 

  17. 노동렬, "방송콘텐츠 제작방식 변화에 따른 불공정 관행 변화: 외주제작사 입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540-551, 2017. 

  18. 노동렬, "방송콘텐츠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생산시스템 연구 : KBS 와 SBS 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21권, 제3호, pp.9-48, 2009. 

  19. 김익상, 김승경, "1990년대 기획영화 탄생의 배경과 요인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씨네포럼 27, pp.257-288, 2017. 

  20. 서성희, "한국 기획영화에 관한 연구: 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33권, pp.371-393, 2007. 

  21. 임건중, "한국영화의 상업적 성공을 위한 기획 개발 단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72-81, 2012. 

  22. 김선아, "한국영화 기획개발과정에서의 프로듀서의 역할과 개선방안: 'PGA의 Produced By' 규정을 기준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214-225, 2013. 

  23. 민대진, "현대 한국영화에서 프로듀서의 중요성과 역할 연구," 영화연구, 제24권, pp.167-192, 2004. 

  24. 박지훈, 영화제작 매스터북, 책과길, 2008. 

  25. 윤석진, 박상완, 디지털 시대, TV드라마 '기획'에 관한 시론-최지형 CP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2013. 

  26. 임정현, 방송콘텐츠 글로벌 집필능력 강화를 위한 국외 심화교육 연수보고서, 한국전파진흥협회, 2015. 

  27. 이정훈, 박은희, "외주제작정책 도입 이후 지상파 드라마 제작 시스템의 변화," 방송문화연구, 제20권, 제3호, pp.31-58, 2008. 

  28. 정성효, "기형적 제작시스템 전체 콘텐츠 산업 위협," 방송문화, 제3월호, pp.4-15, 2007. 

  29. https://recruit.kbs.co.kr/board/fieldworkDetail.do?boardId5&boardNo1119 

  30. 이용석, "한국 드라마 제작 시스템의 변화: 새로운 기획 시스템, 새로운 제작 요소의 등장," 한국방송학회, '방송 제작 시장 변화와 요소시장의 변화 탐색' 발표집, pp.7-32, 2021. 

  31. 김미숙, 드라마 작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푸른사상, 2018. 

  32. https://www.hankyung.com/entertainment/article/202008056042H 

  33.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738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