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712 - 722  

주은지 (호서대학교 청소년문화.상담학과) ,  최인선 (호서대학교 청소년문화.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주목적은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2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SPSS 22.0, AMOS 23.0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은 대인관계능력과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애착회피가 애착불안보다 대인관계능력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둘째,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애착불안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완전매개, 애착회피는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관계에서 인지적 관점에서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대인관계능력 수준을 높이는데 인지의 변화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담 장면에서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llege students from nationwide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논의점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이성원, 조인경, "코로나 시대의 대학생 이해와 심리지원 방안: H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생활연구, 제26권, 제1호, pp.1-24, 2021. 

  2. 아영아, 이명희, "성인애착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상담연구, 제24권, 제1호, pp.89-106, 2016. 

  3. 이민선, 채규만,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2권, 제1호, pp.63-75, 2012. 

  4. C. Higgins and E. Kran, "Reconceptualizing mentoring at work: A development network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2, pp.264-288, 2001. 

  5. 박선우, 설정희, 천성문,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화," 재활심리연구, 제24권, 제4호, pp.723-738, 2017. 

  6. 강수진, 최영희,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18권, 제3호, pp.53-68, 2011. 

  7. 김지연,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 하유미, 박성연, "어머니의 성인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 양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19권, 제2호, pp.175-195, 2012. 

  9. 박수정,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 한나리, 이동귀, "한국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1호, pp.137-156, 2010. 

  11.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1.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New York: Basic Books, 1973. 

  12. C. Hazan and P. R.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No.3, pp.511-524, 1987. 

  13.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blems: A legac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4, pp.478-484, 1991. 

  14. K. A. Brennan, C. L. Clark, and P. R. Shaver,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46-76. New York: Guilford Press, 1988. 

  15. A. Fenny and P. Noller, "Attachment style as a predictor of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No.2, pp.281-291, 1990. 

  16. 안하얀, 서영석, "성인애착, 심리적 디스트레스, 대인관계문제: 피드백에 대한 반응, 정서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3호, pp.577-603, 2010. 

  17. B. H, Spitzberg and W. R. Cupach,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ew York: Springer-Verlag, 1989. 

  18. 강민경,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대인관계 및 부적정서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9. 배경덕,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대인관계능력 사이의 관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0. 신아영, 정서 마음챙김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신체증상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여대생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1. N. Garnefski, V. Kraaij, and M. Van Etten, "Specificity of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sychopathology," Journal of Adolescence, Vol.28, No.5, pp.619-631, 2005. 

  22. 권두리, 신나나,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제39권, 제3호, pp.113-125, 2018. 

  23. N. Garnefski and V. Kraaij,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Vol.23, No.3, pp.141-149, 2007. 

  24. 김민정, 자아분화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5. J. Cassidy and R. R. Kobak, "Avoida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defensive process,"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pp.300-323, Hillsdale, NJ: Erlbaum, 1998. 

  26. 김종운, 김남희,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20호, pp.529-551, 2019. 

  27. 신은미, 이종우, 이화성,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9권, 제4호, pp.177-183, 2021. 

  28. F. G. Lopez and K. A. Brennan, "Dynamic processes underlying adult attachment organization: Toward an attachment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healthy and effective sel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3, pp.283-300, 2000. 

  29. M. Mikulincer, and P. R. Shaver, Attachment in adulthood: Structure, dynamics and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2007. 

  30. 염정의, 정남운,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반추, 정서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1, No.1, pp.81-103, 2019. 

  31. H. S. Sullivan,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Norton, 1953. 

  32. 권석만, 김지영, "자기 및 타인 표상과 대인관계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21, No.4, pp.705-726, 2002. 

  33. 김종운, 양민정,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2, pp.283-299, 2014. 

  34. A. Thompson,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3, No.4, pp.269-307, 1991. 

  35. 김혜원, 오인수, "청소년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4, pp.37-62, 2016. 

  36.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7. D. Buhrmester, W. Furman, M. T. Wittemberg, and H. T. Reis,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5, No.6, pp.991-1008, 1988. 

  38. 김창대, 김수임,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학생연구, 제35권, 제1호, pp.83-95, 1999. 

  39. N. Garnefski, V. Kraaij, and P. Sp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8, pp.1311-1326, 2001. 

  40.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1. S. A. Mulaik, L. R. James, J. Van Alstine, N. Bennett, S. Lind, and C. D. Stilwell, "Evaluation of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5, No.3, pp.430-445, 1989. 

  42. J. H. Steiger and J. C. Lind,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psychometric society, Iowa City, IA, 1980. 

  43. 신지욱, 애착, 정서 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