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청소년(만 18-19세) 유권자의 정치 정보 이용행태와 정치효능감이 투표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uth (18-19 years old) Voters' Use of Political Information and Political Efficacy on Voting Inten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344 - 355  

이성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김응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21대 총선(2020년 4월 15일) 때부터 투표 연령이 만 18세로 낮아짐에 따라 투표를 처음 하는 유권자의 정치 뉴스 이용, 정치 관심의 동기, 정치 매체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들의 정치효능감이 투표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참여 대상자의 설문을 통한 연구 결과 유권자의 정치 뉴스 이용은 TV와 포털을 중심으로 정치 정보를 획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전통적인 매체인 라디오와 신문의 이용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가 전달하는 기사를 통해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지상파 TV의 보도와 토론회의 통해 제공되는 정치 정보를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세대들도 정치효능감이 높을수록 투표참여의지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치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은 것으로 평가받는 젊은 세대의 정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함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voting age has been lowered to 18 from the 21st general election on April 15, 2020, the use of political news, motivation for political interest, and reliability of political media of first-time voters were examined. Accordingly, we analyzed how their political efficacy affects their voting 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현상을 밝히고자 21대 총선(2020년 4월15일)에서 처음 투표하는 연령(만 18-19세)의 세대가 유권자로서의 정치적 정보를 어디서 취득하였는지, 이들이 형성하고 있는 정치효능감은 투표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21대 총선에서 생애 처음 투표하는 만 18-19세 유권자의 정치참여와 연관된 활동과 연결지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만 18-19세 생애 첫 유권자의 미디어를 통한 정치정보 획득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20년 4.15총선에서 생애 첫 투표를 하게 된 만 18-19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치정보 획득 방식과 정치효능감에 따른 투표의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디어를 통한 정치정보는 구체적으로 기존의 레거시 미디어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매체인 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네이버나 다음의 포털 뉴스 및 댓글 등에서 접할 수 있다.
  • 본 연구를 통해 만 18세 유권자의 정치뉴스 이용과 정치 관심, 매체 신뢰도, 그리고 정치효능감이 투표 의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선거에 첫 참여하는 세대에게 정치 뉴스는 주변의 정보보다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메시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 정치효능감이 높은 청소년(18-19세)은 투표의 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선희, 조상식, "해외 주요 국가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수학 교과 선택과목 구성의 논리 탐색 방안,"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25권, 제3호, pp.1-23, 2020. 

  2. 한도희, "선거연령은 「18세」로 하향되어야 합니다,"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8 추계 학술대회, pp.47-55, 2018. 

  3. 이창호, 고등학생들의 정치참여욕구 및 실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7-R21, pp.1-85, 2017. 

  4. 홍재우, ""아버지와 나는 다르다?" 세대정치와 정치사회화 : 19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타난 대학생의 가족 내 정치사회화의 영향력," 21세기정치학회보, 제22권, 제3호, pp.183-211, 2012. 

  5. 김도경, "가족 내에서의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 : 386세대 가족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제23권, 제2호, pp.75-97, 2013. 

  6. 김도경, 박영애, "가족 내에서의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 :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공공정책연구, 제28권, 제2호, pp.37-57, 2011. 

  7. F. Reichert and J. Torney-Purta,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teachers' beliefs about the aims of civic education in 12 countries: A person-centered analysi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No.77, pp.112-125, 2019. 

  8. 민희, "학교에서의 정치교육 사례 :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대한교육법학회, 제99차 2019 추계학술대회, pp.51-70, 2019. 

  9. 이내영, 서현진, 이곤수, 임성학, 정원칠, 정한울, "유권자 투표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제5회 지방선거 사례를 중심으로," 재단법인동아시아연구원 EAI 워킹페이퍼, pp.1-40, 2010. 

  10. 나은영, 민경환, "한국 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제4권, 제1호, pp.75-83, 1998. 

  11. 이종원, 김영인, 2009 세대간 의식구조 비교를 통한 미래사회 변동 전망 II -사회.정치 의식 및 참여를 중심으로, 제9호, pp.3-7, 2009. 

  12. Ilse Cornelis, Alain Van Hiel, Arne Roets, and Malgorzata Kossowska, "Age differences in conservatism: Evidence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cognitive style," Journal of Personality, Vol.77, No.1, pp.51-88, 2009. 

  13. 최삼경, 대학생들의 미디어 이용.신뢰도와 정치태도.참여에 관한 연구 : 6.2 지방선거 사례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8, 2011. 

  14. 박상호, 송종길, 고삼석,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에 미디어 신뢰도와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정치 신뢰도, 부정주의, 정치 정보효능감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16호, pp.101-135, 2010. 

  15. 이상묵, 박성복, 이정기, "미디어 이용행태가 재.보궐 선거 후보자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1.4. 27 경기도 성남시 분당을 지역 재.보궐 선거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23호, pp.217-261, 2011. 

  16. 안명규, 류정호, "인터넷 정치참여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이용자의 정치심리변수와 인터넷 사회자본(e-social capital)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3호, pp.113-148, 2007. 

  17. 이강형, "정치후보에 대한 유권자 감정 유발 요인 및 미디어 캠페인 활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3호, pp.337-366, 2006. 

  18. 박상현, 김성훈, 정승화, "유튜브 정치.시사 채널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9호, pp.224-237, 2020. 

  19. 이창호, 정낙원, "소셜미디어 이용정도 및 이용동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 개방형/폐쇄형 소셜미디어 비교,"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5호, pp.5-26, 2014. 

  20. 이창호, 성윤숙, 정낙원, 장상아, 박선영, 이재연,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2-R05, pp.1-396, 2012. 

  21. 박상호, 성동규, "미디어 신뢰도가 정치효능감과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정치참여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4호, pp.110-139, 2005. 

  22. 김이현, 유튜브에서의 정치인 채널 시청이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외적 정치효능감의 매개 효과 및 유튜브 신뢰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23. 이정기, 금현수, "정치 팟캐스트 이용이 온.오프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대의 정치 팟캐스트 이용동기, 정치심리변인, 온.오프라인 정치참여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5호, pp.163-189, 2012. 

  24. 이재신, 이영수, "정치정보 습득, 관여도, 정치적 불만과 정치참여 유형의 관계,"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2호, pp.183-205, 2009. 

  25. 조은희, "인터넷 이용자의 뉴스이용 레퍼토리와 사회정치참여,"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2호, pp.64-87, 2014. 

  26. 이병혜, "소셜미디어의 이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집단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30호, pp.319-353, 2013. 

  27. 김관규, "대학생유권자의 미디어 이용과 투표 행동 : 2008년 제18대 총선을 대상으로," 언론과학연구, 제8권, 제4호, pp.187-221, 2008. 

  28. 이현직, 조아미, "대학생의 정치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8호, pp.247-272, 2017. 

  29. 황상재, 홍성현, "북한이탈주민의 온라인.오프라인 뉴스 미디어 이용과 정치사회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제4호, pp.351-410, 2012. 

  30. 금희조, "뉴미디어 환경이 개인의 사회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선유경향과 콘텐츠 선호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4호, pp.5-26, 2009. 

  31. 권혁남, "2012 국회의원 총선에서 나타난 미디어 이용, 정치 냉소주의, 투표 참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0권, 제4호, pp.28-51, 2012. 

  32. 강경태, "한국 대통령 선거 어떤 유권자가 참여하나? : 선거관심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37권, 제1호, pp.91-111, 2003. 

  33. 김주환, 김민규, 진영재, "미디어 이용이 후보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4권, 제4호, pp.76-107, 2008. 

  34. 안차수, "유명인의 정치참여와 대학생의 정치태도 및 투표행위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2호, pp.193-226, 2013. 

  35. D. Madsen, "Political self-efficacy tested,"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81, No.2, pp.571-581, 1987. 

  36. R. S. Erikson and K. L. Tedin, American public opinion: Its origins, content, and impact, Routledge, 2019. 

  37. R. G. Niemi, S. C. Craig, and F. Mattei, "Measuring internal political efficacy in the 1988 National Election Study,"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85, No.4, pp.1407-1413, 1991. 

  38. 남영주, 중.고등학생의 정치적 태도와 사회비판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 정치적 냉소주의 원인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9. L. W. Milbrath and M. L. Goel, Political participation (Vol. 81), Chicago: rand mcnally, 1965. 

  40. L. L. Kaid, M. S. McKinney, and J. C. Tedesco, "Introduction: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and young voters," SAGE Journals, Vol.50, No.9, pp.1093-1111, 2007. 

  41. 구교태, "정치효능감 유형이 미디어 이용과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33호, pp.5-25,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