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 내 세대 교류의 가능성: 국내외 리버스멘토링 (Reverse Mentoring)프로그램 도입 및 성공요소 사례연구
Possibility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in Corporations: A Case Study of Reverse Mentoring on its Purpose and Success Facto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457 - 475  

김주현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  이아영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사회가 고령사회에 진입하며, 노동현장에서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리버스 멘토링(reverse mentoring)을 세대 교류의 차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와 인터뷰를 이용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내외 기업의 리버스멘토링 도입목표를 유형화하고,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추출된 미국의 A사와 국내의 B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리버스 멘토링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실행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틀로는 사회교환이론, 조직연령이론, 세대연대이론을 바탕으로 1) 상호이익성 2) 동등한 기여, 3) 지속가능성의 세가지 명제를 제시하였다. 사례분석결과, 리버스멘토링의 도입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소셜미디어 교육, 기업의 다양성 증진, 젊은 세대의 트렌드 이해로 나타났다. 미국의 A사와 국내의 B사의 경우 상호이익성과 동등한 기여에서는 유사성이 나타났으며 지속가능성의 경우 미국의 A사와는 달리, 한국의 B사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앞으로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노동 조직 내에서 리버스멘토링이 세대교류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Korean society enters an aged society, there is an increasing situation in which various generations coexist in the workplac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orporate reverse mentoring in light of generational exchange. Through the case study methods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we cat...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리버스멘토링의 세대 교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로서, 조직 뿐 만 아니라 실제로 참여한 멘토와 멘티의 입장에서 리버스멘토링의 효과를 앞에서 제시한 분석 명제에 맞추어 알아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이러한 분석 명제에 따른 고찰이 가능할 정도로 매우 구체적적인 리버스멘토링 프로그램 수행 정보가 공개된 사례를 의도적 표본추출 방식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세대교류 측면에서 리버스멘토링을 분석하여 노동조직에서 세대적 강점을 이해하고 강화하는 방식이 향후 사회적으로 세대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가를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회교환이론, 조직 연령 이론, 접촉가설이론 및 세대연대이론 등 다양한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세 가지 명제를 분석틀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Chaudhuri & Ghosh, "Reverse mentoring: A social exchange tool for keeping the boomers engaged and millennials committ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Vol.11, No.1, pp.55-76, 2012. 

  2. H. Greenberg and K. Weber, Generation we: How millennial youth are taking over America and changing our world forever. Pachatusan, 2008. 

  3. P. Taylor and S. Keeter, Millennials: Confident. Connected. Open to Change, Pew Research Center, 2010. 

  4. K. Smola and C. D. Sutton, "Generational differences: Revisiting generational work values for the new millennium,"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Vol.23, No.4, pp.363-382, 2002. 

  5. J. M. Twenge, "Teaching generation me," Teaching of Psychology, Vol.40, No.1, pp.66-69, 2013. 

  6. J. M. Twenge, S. M. Campbell, B. J. Hoffman, and C. E. Lanc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ork values: Leisure and extrinsic values increasing, social and intrinsic values decreasing," Journal of Management, Vol.36, No.5, pp.1117-1142, 2010. 

  7. N. Cotugna and C. E. Vickery, "Reverse mentoring: A twist to teaching technology,"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Vol.98 No.10, pp.1166-1168, 1998. 

  8. A. S. Leh, "Lessons learned from service learning and reverse mentoring in faculty development: A case study in technology training,"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13, No.1, pp.25-41, 2005. 

  9. W. M. Murphy, "Reverse mentoring at work: Fostering cross-generational learning and developing millennial leaders,"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51, No.4, pp.549-573, 2012. 

  10. 곽연선, 기업을 젊고 활력 있게 만드는 리버스멘토링. LG경제연구소, 2019. 

  11. 최경춘, "역멘토링 (Reverse Mentoring) 을 통한 리더십 향상에 관한 연구," 리더십연구, 제3권, 제2호, pp.35-55, 2012. 

  12. 김문정, 정순둘, 김주현, "균형성과평가 (BSC) 모델을 활용한 청년.고령자 고용상생기업의 경영성과측정-일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제23권, 제1호, pp.221-253, 2017. 

  13. P. Uhlenberg, "Introduction: Why study age integration?," The Gerontologist, Vol.40, No.3, pp.261-266, 2000. 

  14. R. Marks, S. Newman, and R. Onawola, "Latency-aged children's views of aging," Educational Gerontology, Vol.11, pp.89-99, 1985. 

  15. R. H. Aday, C. R. Sims, and E. Evans,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impact of intergenerational partners,"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10, No.3, pp.372-384, 1991. 

  16. R. K. Yin and D. Davis, Adding new dimensions to case study evaluations: The case of evaluating comprehensive reforms, New Directions for Evaluation, 2007. 

  17. 이재준, 고령화사회, 경제성장 전망과 대응 방향, 한국개발연구원, 2019. 

  18. 김영곤, 강제상, "소방조직 내 한국적 조직문화가 세대 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 행정논총, 제54권, 제2호, 2016. 

  19. 임정숙, 김민경, "조직내 세대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인식의 매개효과와 연령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제9권, 제2호, pp.853-865, 2018. 

  20. J. Lewis, Effects of the dimensions of quality of work life on turnover intention of millennial employees in the US,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ses and Dissertations, Paper 45, 2019. 

  21. J. Park and D. Gursoy, "Generation effects on work engagement among U.S. hotel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31, No.4, pp.1195-1202, 2011. 

  22. Howe & Strauss, 13th Gen: Abort, Retry, Ignore, Fail?, Vintage Books, 1993. 

  23. Howe & Strauss, Millennials Rising: The Next Great Generation, Vintage Books, 2000. 

  24. E. S. W. Ng, L. Schweitzer, and S. T. Lyons, "New Generation, Great Expectations: A Field Study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J Bus Psychol, Vol.25, pp.281-292, 2010. 

  25. N. Ertas, "Turnover intentions and work motivations of millennial employees in federal service,"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44, No.3, pp.401-423, 2015. 

  26. S. A. Hewlett, L. Sherbin, and K. Sumberg, "How Gen Y and Boomers will reshape your agenda," Harvard Business Review, Vol.87, pp.71-76, 2009. 

  27. B. R. Ragins and K. E. Kram, The handbook of mentoring at work: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Inc, 2008. 

  28. J. C. Meister and K. Willyerd, "Mentoring millennials," Harv Bus Rev, Vol.88, No.5, pp.68-72, 2010. 

  29. Schaufeli, Salanova, Gonzalez-Roma and Bakker,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3, pp.71-92, 2002. 

  30. Cismaru, Laura, and Ray Iunius, "Bridging the Generational Gap in the Hospitality Industry: Reverse Mentoring-an Innovative Talent Management Practice for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of Employees," Sustainability, Vol.12, No.1, 2020. 

  31. J. Stacy. Adams,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 Academic Press, 1965. 

  32. R. M. Emerson, "Social Exchange Theory,"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 No.1, pp.335-362, 1976. 

  33. Cropanzano, Russell, and Marie S. Mitchell, "Social Exchange Theory: An Interdisciplinary Review," Journal of Management, Vol.31, 2005. 

  34. Alvin W. Gouldner, "The Norm of Reciprocity: A Preliminary Stat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25, No.2, pp.161-178, 1960. 

  35. Eisenberger, Robert, Florence Stinglhamber, Christian Vandenberghe, Ivan L. Sucharski, and Linda Rhoad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Contributions t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Reten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3, pp.565-73, 2002. 

  36. Randall P. Settoon, Nathan Bennett, and Robert C. Liden, "Social Exchange in Organization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Leader-Member Exchange, and Employee Reciproc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3, pp.219-27, 1996. 

  37. Wayne, Sandy, Lynn Shore, and Robert Lid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0, pp.82-111, 1997. 

  38. Eisenberger, Robert, Robin Huntington, Steven Hutchison, and Debora Sowa,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1, No.3, pp.500-507, 1986. 

  39. George B. Graen and Terri A. Scandura, "Toward a Psychology of Dynadic Organizing,"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9, pp.175-208, 1987. 

  40. B. S. Lawrence, "New Wrinkles in the Theory of Age: Demography, Norms, and Performance Rat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1, No.2, pp.309-337, 1988. 

  41. 정순둘, 정세미, 이미우, 임정숙,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261-285, 2016. 

  42. E. Grundy, A. FletcAer, A. S. Smit, and D. Lamping, Successful ageing and social interaction: A policy brief. International Longevity Centre, 2007. 

  43. 박혜선, 안태윤, "세대교류 활성화를 위한 세대통합프로그램 및 세대교류 공간에 관한 연구- 경기도 복지관을 중심으로," 의료.복지 건축, 제18권, 제2호, pp.65-76, 2012. 

  44. Y. Amir, "Contact Hypothesis in ethnic rela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71, No.5, pp.319-342, 1969. 

  45. W. G. Stephan, "The contact Hypothesis in intergroup relations,"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 pp.13-40, 1987. 

  46. 김혜경, "노인과의 긍정적 교류경험이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통합적 노인유사체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0권, 제4호, pp.45-68, 2013. 

  47. S. Fox and A. Giles, "Accommodating intergenerational contact: A critique and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Aging Studies, Vol.7, No.4, pp.423-451, 1994. 

  48. Barbra Teater, "How stereotypes and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are challenged through intergenerational contact: Young people explain the process," Gerontology & Geriatrics Education, Vol.39, No.1, pp.104-116, 2018. 

  49. 최유석, "세대 간 연대의식의 기반: 가족주의 연대," 한국인구학, 제37권, 제4호, pp.61-87, 2014. 

  50. V. L. Bengtson and P. S. Oyama,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Palgrave Macmillan, 2010. 

  51. M. A. Cruz-Saco,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Palgrave Macmillan, 2010. 

  52. V. Timonen, C. Conlon, T. ScAarf, and G. Carney, "Family, state, class and solidarity: Re-conceptualising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Ageing, Vol.10, No.3, pp.171-179, 2013. 

  53. A. Zaidi, K. Gasior, and A. Sidorenko,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policy challenges and societal responses, Policy Brief, European Centre Vienna, 2010. 

  54. N, Miller and M. B. Brewer, Eds. Groups in contact: The psychology of desegregation, pp.155-182, Academic Press. 1984. 

  55. J. Seaman, J. Beightol, P. SAirilla, and B. Crawford, "Contact theory as a framework for experiential activities as diversity education: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Experiential Education, Vol.32, No.3, pp.207-225, 2010. 

  56. T. Pettigrew and L. Tropp, "A meta-analytic test of intergroup contact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0, pp.751-783, 2006. 

  57. R. K. Yin, 사례연구방법, 신경식, 서아영, 송민채 옮김, 한경사, 2016. 

  58. K. M. Eisenhardt, "Building theories from case study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4, No.4, pp.532-550, 1989. 

  59. https://www.cio.com/article/3199253/reverse-mentoring-a-unique-approach-to-rejuvenating-your-it-culture.html 

  60. https://www.reputation-inc.com/our-thinking/reverse-mentoring-is-the-new-black 

  61. https://www.glossy.co/beauty/how-the-esteelauder-companies-is-using-millennials-and-gen-z-to-modernize-its-corporate-structure/ 

  62. https://www.glossy.co/beauty/how-the-esteelauder-companies-is-using-millennials-and-gen-z-to-modernize-its-corporate-structure/ 

  63. https://www.informit.com/articles/article.aspx?p1273308&seqNum3 

  64. https://www.cio.com/article/3199253/reverse-mentoring-a-unique-approach-to-rejuvenati ng-your-it-culture.html 

  65. Kamal, Yousuf and Ferdousi, Moriom.. "Managing Diversity at Workplace: A Case Study of Hp," ASA University Review, Vol.3, No.2, pp.157-170, 2009. 

  66. B. R. Ragins, The Blackwell handbook of mentoring: A multiple perspectives approach, Blackwell Publishing Ltd, pp.281-300, 2007. 

  67. https://www2.deloitte.com/uk/en/pages/impact-report-2019/stories/reverse-mentoring. 

  68. https://www.hrinsight.co.kr/view/view.asp?in_cate113&gopage1&bi_pidx30808 

  69. http://agora-web.jp/archives/1437294.html 

  70. 염주희, "EU 활기찬 노년과 세대 간 결속을 위한 해[European Year 2012] 제정 배경과 정책적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제90권, pp.101-111, 2012. 

  71. 주보혜, 임정미, 노범래, 신영규, 임새아, 정희선, 국제기구와 주요 선험 국가의 고령화 대응 정책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72. 김세돈, 김상조, "인구의 고령화를 대비한 노후보장제도의 재정립,"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2권, 제3호, pp.205-234, 2006. 

  73. 정순둘, 박현주, 김보경,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관한 인식과 대책,"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4호, pp.203-24, 2011. 

  74. G. F. Anderson and P. S. Hussey, "Population aging: a comparison among industrialized countries," Health hf airs Vol.19, No.3, pp.191-203,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