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유통 관상용 그라스의 현황 및 특징 분석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Ornamental Grasse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5, 2021년, pp.151 - 162  

김장훈 (수원시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관상용 그라스는 오늘날 세계적으로 정원분야에 나타나고 있는 자연주의식재 경향의 영향과 함께 현대 정원에서 중요한 조경식물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감소, 도시생태계 서비스 회복 등 오늘날 인류가 마주한 환경 문제의 해결이라는 시대적인 요구가 조경 분야에도 높아짐에 따라 그라스가 가진 생태적인 가치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활용되는 관상용 그라스의 종류와 양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관상용 그라스를 도시 정원 및 녹지 환경에서 보다 잘 활용할 수 있으려면 최근 급속히 더 다양하게 보급되고 있는 그라스들에 대해 각각의 특성을 잘 이해하는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정원서식처에 따른 적절한 활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 중인 관상용 그라스를 조사하여 목록화하고, 서식처 등 생육 환경과 생태적, 재배적 생육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21년 8월 현재 총 40속 104종 264분류군의 그라스가 국내 정원용 식물 시장에 유통 중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벼과가 69.7%, 사초과가 28.4%이었으며, 골풀과와 부들과는 매우 비중이 낮았다. 레스티오과는 활용되는 것이 없었다. 벼과 관상용 그라스는 양지의 오픈된 환경을 선호하는 종류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숲가, 물가 등을 포함한 비교적 폭넓은 환경에서 기원한 것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사초과는 숲, 숲가, 물가 등에 사는 것이 많았다. 한지형 그라스는 14개 속, 난지형 그라스는 16개 속이 활용되고 있었다. 생활형에 따라 상록성 혹은 반상록성 38종, 낙엽성 34종, 여름휴면형 7종이 유통되고 있었다. 생장 방식에 따라 기는줄기형 그라스 33종과 포기형 그라스 51종이 활용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 자생 그라스 중에 총 15분류군이 10년 이내의 근래에 선발되어 관상용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cent trend of using ornamental grasses as essential landscaping plants has become more prominent, while the demands for today's gardens are to solve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biodiversity loss, and urban ecosystem services. Nowadays, the interest in ornamental grasses in South Korea is...

주제어

참고문헌 (38)

  1. Cho, Y. H., J. H. Kim, and S. H. Park(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Soeul: Giobook. 

  2. Christenhusz, M. J. M. and J. W. Byng.(2016)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Phytotaxa 261(3): 201-217. 

  3. Darke, R.(1994) A century of grasses. Arnoldia 54: 3-11. 

  4. Darke, R.(2007) The Encyclopedia of Grasses for Livable Landscapes. Portland, Oregon: Timber Press. 

  5. Foerster, K.(2009) Karl Foerster, Ein Garten der Ernnerung. 고정희 (역). 일곱계절의 정원으로 남은 사람. 고양: 나무도시. 2006. 

  6. Go, J. H.(2006) 100 Scenes in Garden History. Seoul: Hansup. 

  7. Go, J. H.(2021) Unpublished Lecture Materials. 

  8. Greenlee, J. and S. Holt(2009) The American Meadow Garden. Portland, Oregon: Timber Press. 

  9. Hansen, R. and F. Stahl(1993) Perennials and Their Garden Habitats. Portland, Oregon: Timber Press. 

  10. Kim, J. G., D. H. Jeong, W. C. Jeong, H. E. Noh, G. H. Shin, S. S. Kwon, S. Y. Sohn(2014) Garden Plants for Theme Gardens. Seoul: Hansup. 

  11. Kim, J. H.(2017) Winter Gardens. Seoul: Gaji Publishing. 

  12. Kim, J. W.(2013) Korean Plants Ecology Treasure I. Seoul: Eco and Nature Publishing. 

  13. Kim, J. W.(2016) Korean Plants Ecology Treasure II. Seoul: Eco and Nature Publishing. 

  14. King, M. and P. Oudolf(1998) Gardening With Grasses. East Sussex, UK: Gardners Books. 

  15. Korea National Arboretum(2011) Illustrated Poaceae of Korea. Seoul: Geobook Publishing. 

  16. Korea National Arboretum(2016) Illustrated Cyperaceae of Korea. Seoul: Geobook Publishing. 

  17. Korea National Arboretum(2019) Illustrated Juncaceae, Eriocaulaceae, Typhaceae of Korea. Seoul: Geobook Publishing. 

  18. Kuhn, N.(2011) Neue Staudenverwendung. Stuttgart, Germany: Verlag Eugen Ulmer. 

  19. Lee, S. T.(2010) Natural History of Plants. Seoul: Geobook Publishing. 

  20. Lee, S. T.(2013) How to Know the Families of Korean Plant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21. Linder, H. P. and P. J. Rudall(2005) Evolutionary history of poale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36: 107-124. 

  22. Lucas, N.(2011) Designing with Grasses. Portland, Oregon: Timber Press. 

  23. Oudolf, P. and H. Gerritsen(2003) Planting the Natural Garden. Amsterdam, NL: Helene Lesger. 

  24. Oudolf, P. and N. Kingsbury(2013) Planting a New Perspective. Portland, Oregon: Timber Press. 

  25. Park, E. Y.(2015) Characteristics of Piet Oudolf's garden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temporary trends in the use of grass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3): 66-71. 

  26. Song, K. H.(2007) Ornamental Evergreen Sedges. LAC 31 : 150-153. 

  27. Song, K. H., Y. J. Kim, C. G. Kim, C. O. Won, and J. K. Lee(2018) A-Z Korean Garden Plants. Goyang: Designpost. 

  28. Sterndale-Bennett, J.(2006) The Winter Garden(Hiller Gardener's Guide. East Sussex, UK: OutHouse Publishing. 

  29. Turfgrass Society of Korea(2021) Turfgrass Science. Paju: Bioscience Publishing. 

  30. https://en.wikipedia.org/wiki/Juncaceae 

  31. https://plants.usda.gov 

  32. https://www.bethchatto.co.uk 

  33. https://www.greenleeandassociates.com 

  34. https://www.hoffmannursery.com 

  35. https://www.missouribotanicalgarden.org 

  36. https://www.nature.go.kr 

  37. https://www.rhs.org.uk 

  38. https://www.plantsoftheworldonline.or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