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해역의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개체군 자원평가를 위한 베이지안 상태공간 잉여생산량 모델의 적용
A Bayesian State-space Production Assessment Model for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ock Caught by Multiple Fisheries in Korean Water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4 no.5, 2021년, pp.769 - 781  

안동영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김규한 (웰링턴 빅토리아대학교 수학 통계학부) ,  강희중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현상윤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ven data about the annual fishery yield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nd the catch-per-unit-effort (CPUE) data from multiple fisheries from 2000-2018, we applied a Bayesian state - space assessment model for the squid population. One of our objectives was to do a stock assessment, simu...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첫째로는 베이지안 상태공간 잉여생산량 모델에 복수어업을 고려한 살오징어 개체군 자원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복수어업을 고려했을 때와 단일어업만을 고려했을 때의 자원평가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여 복수어업을 고려한 자원평가의 필요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잉여생산량 모델에 상태 공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추정하고자 하는 자원량의 과정 오차와 자료의 관측 오차를 동시에 고려하였다.
  • 둘째로는 복수어업을 고려했을 때와 단일어업만을 고려했을 때의 자원평가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여 복수어업을 고려한 자원평가의 필요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잉여생산량 모델에 상태 공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추정하고자 하는 자원량의 과정 오차와 자료의 관측 오차를 동시에 고려하였다. 그리고 여러 어업의 CPUE자료가 다변량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며 복수어업 CPUE간의 상관관계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목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첫째로는 베이지안 상태공간 잉여생산량 모델에 복수어업을 고려한 살오징어 개체군 자원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복수어업을 고려했을 때와 단일어업만을 고려했을 때의 자원평가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여 복수어업을 고려한 자원평가의 필요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국 해역에서 수집한 어획량, CPUE자료만을 연구에 이용하였기 때문에 대상 해역을 한국 해역으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수집한 여러 어업의 CPUE자료에는 조업 해역에 대한 정보, 그리고 어업 선택성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기 때문에 어업별 살오징어에 대한 공간 영역을 우리나라의 전체 해역으로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잉여생산량 모델에 상태 공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추정하고자 하는 자원량의 과정 오차와 자료의 관측 오차를 동시에 고려하였다. 그리고 여러 어업의 CPUE자료가 다변량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며 복수어업 CPUE간의 상관관계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그런데 TMB R package를 바탕으로 상태공간 잉여생산량 모델을 적용했을 때 수치 최적화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연구에서는 정보적 사전분포를 바탕으로 베이지안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uger-Methe M, Field C, Albertsen CM, Derocher AE, Lewis MA, Jonsen ID and Flemming JM. 2016. State-space models' dirty little secrets: Even simple linear gaussian models can have estimation problems. Sci Rep 6, 26677. https://doi.org/10.1038/srep26677. 

  2. Choi K, Lee CI, Hwang K, Kim S, Park J and Gong Y. 2008.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japan) sea. Fish Res 91, 281-290. https://doi.org/10.1016/j.fishres.2007.12.009. 

  3. Fox Jr WW. 1970. An exponential surplus-yield model for optimizing exploited fish populations. Trans Am Fish Soc 99, 80-88. https://doi.org/10.1577/1548-8659(1970)99 2.0.CO;2. 

  4. Froese R, Demirel N, Coro G, Kleisner KM and Winker H. 2017. Estimating fisheries reference points from catch and resilience. Fish Fish 18, 506-526. https://doi.org/10.1111/faf.12190. 

  5. Hilborn R and Walters CJ. 1992. Quantitative fisheries stock assessment: Choice, dynamics and uncertainty. Springer US, Boston, MA, U.S.A. 

  6. Hyun SY. 2018. A general production model with dependence between data from multiple surveys. J Appl Ichthyol 34, 601-609. https://doi.org/10.1111/jai.13622. 

  7. Hyun SY and Kim KH. 2022. An evaluation of estimability of parameters in the state-space non-linear logistic production model. Fish Res 245, 106135. https://doi.org/10.1016/j.fishres.2021.106135. 

  8. Hyun S, Hilborn R, Anderson JJ and Ernst B. 2005. A statistical model for in-season forecasts of sockeye salmon Oncorhynchus nerka returns to the bristol bay districts of alaska. Can J Fish Aquat Sci 62, 1665-1680. https://doi.org/10.1139/f05-071. 

  9. Kim YH and Shin DH. 2019.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paralarvae in the yellow sea in spring and autumn, 2013-2015.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25, 58-66. https://doi.org/10.7837/kosomes.2019.25.1.058. 

  10. Kim YH, Jung HG and Lee CI. 2018. Changes in the spawning ground environment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due to climate change. Ocean Polar Res 40, 127-143. https://doi.org/10.4217/OPR.2018.40.3.127. 

  11. KOSTAT (Statistic Korea). Statistical data-base fishery production survey.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on Fab 25, 2020. 

  12. Meyer R and Millar RB. 1999. BUGS in bayesian stock assessments. Can J Fish Aquat Sci 56, 1078-1087. https://doi.org/10.1139/f99-043. 

  13. Millar RB, and Meyer R. 2000. Non-linear state space modelling of fisheries biomass dynamics by using metropolishastings within-gibbs sampling. J R Stat Soc 49, 327-342. https://doi.org/10.1111/1467-9876.00195. 

  14. Pascoe S, Hutton T, Hoshino E, Sporcic M, Yamasaki S and Kompas T. 2020. Effectiveness of harvest strategies in achieving multiple management objectives in a multispecies fishery. Aust J Agric Resour Econ 64, 700-723. https://doi.org/10.1111/1467-8489.12369. 

  15. Pella JJ and Tomlinson PK. 1969. A generalized stock production model. Inter Am Trop Tuna Comm 13, 416-497. 

  16. Polacheck T, Hilborn R and Punt AE. 1993. Fitting surplus production models: Comparing methods and measuring uncertainty. Can J Fish Aquat Sci 50, 2597-2607. https://doi.org/10.1139/f93-284. 

  17. Punt AE. 2003. Extending production models to include process error in the population dynamics. Can J Fish Aquat Sci 60, 1217-1228. https://doi.org/10.1139/f03-105. 

  18. Punt AE and Szuwalski C. 2012. How well can FMSY and BMSY be estimated using empirical measures of surplus production?. Fish Res 134-136, 113-124. https://doi.org/10.1016/j.fishres.2012.08.014. 

  19. Sakurai Y, Kidokoro H and Yamashita N. 2013. Todarodes pacificus, Japanese common squid. In: Advances in squid biology, ecology and fisheries part II oegopsid squids. Nova Biomedical, New York, NY, U.S.A., 249-272. 

  20. Sakurai Y, Kiyofuji H, Saitoh S, Goto T and Hiyama Y. 2000. Changes in inferred spawning areas of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due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CES J Mar Sci 57, 24-30. https://doi.org/10.1006/jmsc.2000.0667. 

  21. Sakurai Y, Kiyofuji H, Saitoh S, Yamamoto J, Goto T, Mori K and Kinoshita T. 2002. Stock fluctuations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related to recent climate changes. Fish Sci 68, 226-229. https://doi.org/10.2331/fishsci.68.sup1_226. 

  22. Schaefer M. 1991. Some aspects of the dynamics of populations important to the management of the commercial marine fisheries. Inter Am Trop Tuna Comm 53, 253-279. https://doi.org/10.1016/S0092-8240(05)80049-7. 

  23. Winker H, Carvalho F and Kapur M. 2018. JABBA: Just another bayesian biomass assessment. Fish Res 204, 275-288. https://doi.org/10.1016/j.fishres.2018.03.010. 

  24. Winker H, Carvalho F, Thorson JT, Kell LT, Parker D, Kapur M, Sharma R, Booth AJ and Kerwath SE. 2020. JABBA-select: Incorporating life history and fisheries' selectivity into surplus production models. Fish Res 222, 105355. https://doi.org/10.1016/j.fishres.2019.1053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