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연근무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Focusing on Double-Income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5 no.4, 2021년, pp.1 - 14  

김규랑 (중앙대학교 아동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을 위한 대표 정책 중 유연근무제가 실제 이용자인 맞벌이 부부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효과와 영향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유연근무제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3쌍을 대상으로 총 6명의 맞벌이 부모의 유연근무제 경험에 대한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으며, 그들이 경험한 긍정적인 효과성과 제도사용의 어려움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은 면담을 통해 도출된 자료 속에서 구조화된 틀을 기준으로 자료 전체를 검토하고 영역별 주제를 범주화하여 3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는 '가정에서의 변화', '사회·문화적 시선', '정책 및 사회경제적 변화요구'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 실사용자들의 관점과 목소리를 연구에 직접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유연근무제 제도개선에 당위성과 설득력을 부여하고, 정책 방향 및 지원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alistic problem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which was a representative policy for work-family balance, based on a review of its effect and influence on double-income couples who were actual users of the system. In this study, an in-depth interview with t...

주제어

참고문헌 (51)

  1. 강진숙(2016).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교육 연구의 주사위: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지금. 

  2. 강현주(2018). 유자녀 기혼 여성근로자의 유연근무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0(4), 23-51. 

  3. 경향신문(2018.4.23). "20대 후반 고용률, 여성이 남성 앞질렀다." https://m.khan.co.kr/national/labor/article/201804231613001#c2b. 

  4. 고용노동부(2010). 여성과 취업. 고용노동부. 

  5. 고용노동부(2021a). 2021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고용노동부. 

  6. 고용노동부(2021b). 2021년 한권으로 통하는 고용노동정책. 고용노동부. 

  7. 국미애(2013). 유연근무제의 노동시간의 젠더 정치. 여성학논집, 30(1), 3-34. 

  8. 관계부처합동(2010). 공공부문 동반성장 추진대책. 

  9. 권태희(2010). 유연근로가 여성관리자의 직장-가정양립에 미치는 효과. 여성연구, 78(1), 5-30. 

  10. 김경미.계선자(2018).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 수준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연구, 36(4), 103-119. DOI : 10.7466/jkhma.2018.36.4.103. 

  11. 김근주(2013). 일-가정양립을 위한 영국의 유연근무제. 국제노동브리프, 11(3), 45-53. 

  12. 김나영(2017), 맞벌이 부부의 자녀 돌봄 시간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노동정책연구, 17(4), 31-54. DOI : 10.22914/jlp.2017.17.4.002. 

  13. 김주희.이기영(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 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14. 김유한(2020). 유연근무제 확산을 위한 스마트 워크 선호도 증대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3), 159-196. 

  15. 김은정(2011). 일가정양립지원 정책 목표와 대상 간 정합성 연구. 가족과문화, 24(3), 131-160. 

  16. 박연숙.박정윤(2017). 유자녀 맞벌이 남녀의 일-가족 갈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2), 51-72. DOI : 10.22626/jkfrma.2017.21.2.003. 

  17. 박주희(2015). 중년기 기혼 남녀의 가족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원이 결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71-94. 

  18. 송민영(2018). 일 가정 양립정책, 직무만족도가 부부관계를 매개하여 취업모의 후속 출산 의도와 자녀 가치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3(3), 3-52. 

  19. 엄명용.김효순(2011). 미혼 남녀의 향후 일.가정 양립 방안, 부부 성 역할 태도, 저출산 문제에 대한 견해 간 관계 탐색 연구. 한국인구학, 34(3), 179 -208. 

  20. 원숙연(2013). 'Flexibility Stigma'? 유연 근무 관련 정책의 현실과 맥락: 젠더관점의 적용.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858-875. 

  21. 이재용(2020). 포스트 코로나, 유연근무제 개선방안연구. 한국행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1-221. 

  22. 이재용.김정숙(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사제도 개선 방안 연구: 지방자치단체 유연근무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5(2), 75-101. 

  23. 이해인(2015). 여성 고용 정책과 관련한 법과 제도의 개선 방향-유연근무제를 중심으로. KHU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8(1), 117-140. 

  24. 이현아.김선미.이승미(2012). 외국계 기업사례분석을 통한 유연근무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173-187. 

  25. 임미령.김대욱(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산업단지 근로자의 일-가족 갈등과 근무환경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4), 371-388. 

  26. 장윤옥.정서린(2017).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조정전략이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2), 73-93. DOI : 10.22626/jkfrma.2017.21.2.004. 

  27. 장현주.최무현(2009). 참여정부의 가족 친화적 근무제도에 대한 평가: 재택 및 탄력근무제에 대한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8(3), 121-154. 

  28. 정소연.김은정(2009). 노인 돌보미 바우처서비스 효과성과 영향 요인. 가족과 문화, 21(1), 117-149. DOI : 10.21478/family.21.1.200903.005. 

  29. 정재우(2017). 한국의 유연근무제 도입현황. 노동리뷰, 146, 87-92. 

  30. 정희정(2019). 일.생활균형 및 성평등 현안과 유연근로제의 한계. 국제사회보장리뷰, 8, 49-60. 

  31. 지상훈(2021).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로 바라본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유연근무제 활용과 변화. 노동리뷰, 66-76. 

  32. 통계청(2020). 2020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부가항목). 자녀특성별 여성의 고용지표. 

  33. 통계청(2021a). 2020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현황. 

  34. 통계청(2021b). 경제활동인구연보. 

  35.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4). 여성 경력단절 예방 강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연구. DOI : 10.23000/TRKO201500001134. 

  36. 홍승아(2012). 일.가정양립의 관점에서 본 유연근무제 전략적 선택인가,젠더 함정인가?. 가족과 문화, 24(4), 135-165. DOI : 10.21478/family.24.4.201212.005. 

  37. Almer, E., Cohen,. J., R. & Single. L. E.(2003).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to Participate in Flexible Work Arrangements. Journal of Practice & Theory, 22(1), 69-91. DOI : 10.2308/aud.2003.22.1.69. 

  38. Chung, H.(2018). Gender, flexibility stigma, and the perceived negative consequences of flexible working in the UK. Social Indicators Research Online first. 

  39. Creswell, J. W.(2013).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40. Eby, L. T., Casper, W. J., Lockwood, A., Bordeaux, C. & Brinley, A.(2005). Work and family research in IO/OB: Content analysi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1980-2002).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1), 124-197. DOI : 10.1016/j.jvb.2003.11.003. 

  41. Delanoeije, J., Verbruggen, M. & Germeys, L.(2019). Boundary role transitions: A day-to-day approach to explain the effects of home-based telework on work-tohome conflict and home-to-work conflict. Human Relations, 72(12), 1843-1868. 

  42. Huws, U., Podro, S., Gunnarsson, E., Weijers, T., Arvanitaki, K. & Trova, V.(1996). Teleworking and gender Institute of Employment Studies. 

  43. Galinsky, E. & Stein, P. J.(1990).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policies on employees: Balancing work/family life. Journal of Family Issues, 11(4), 368-383. 

  44. Grover, S. L.(1991). Predicting the perceived fairness of parental leave polic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2), 247. 

  45. Gurstein, P.(1991). Working at home and living at home: Emerging scenarios.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8(2), 164-180. 

  46. Ilies, R., Wilson, K. & Wagner, D.(2009). The Spillover of Daily Job Satisfaction onto Employees' Family Lives: The Facilitating Role of Work- Family Integr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1), 87-102. DOI : 10.5465/amj.2009.36461938. 

  47. Kang, H. & Wang, J.(2018). Creating their own work-life balance: Experiences of highly educated and married female employees in South Korea. Asian Women, 34(2), 1-31. DOI : 10.14431/aw.2018.06.34.2.1. 

  48. Kim, J(2018). Workplace Flexibility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Among Working Parents in the U.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51, 427-469. DOI : 10.1007/s11205-018-2032-y. 

  49. Lott, Y.(2018). Does flexibility help employees switch off from work? Flexible working-time arrangements and cognitive work-to-home spillover for women and men in Germany. Social Indicators Research Online first. 

  50. McGuire, J. B. & Liro, J. R.(1986). Flexible work schedules, work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productivity. Public Personnel Management, 15(1), 65-73. DOI : 10.1177/009102608601500106. 

  51. Ugwu, D. I., Orjiakor, C. T., Enwereuzor, I. K., OnyeIbe, C. C. & Ugwu, L. I.(2016). Business-life balance and wellbeing: Exploring the lived experiences of women in a low-to middle income country.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11(1), 1-1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